자쪽손목폄근
자쪽손목폄근 | |
---|---|
정보 | |
이는곳 | 위팔갈래: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 자갈래: 팔꿈치머리, 자뼈 뒷면, 아래팔근막 |
닿는곳 | 다섯째손허리뼈 |
동맥 | 자동맥 |
신경 | 뒤뼈사이신경 |
작용 | 손목을 펴고 모음 |
대항근 | 노쪽손목굽힘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extensor carpi ulnaris |
영어 | extensor carpi ulnaris muscle |
TA98 | A04.6.02.045 |
TA2 | 2507 |
FMA | 38506 |
자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ulnaris) 또는 척측수근신근(尺側手根伸筋)은 아래팔의 자쪽(안쪽)에 위치한 근육이다. 아래팔뒤칸 얕은층에 위치하며 손목을 펴고 모으는 작용을 한다.
구조
[편집]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와 자뼈 뒤쪽 모서리에서 기시한다. 이후 아래팔을 자쪽 측면에서 주행하여 다섯째손허리뼈 바닥에 닿는다.
신경 분포
[편집]자쪽손목폄근은 이름과 달리, 노신경 깊은가지가 연속된 신경인 뒤뼈사이신경(C7, C8)의 지배를 받는다.[1] 따라서 팔신경얼기 뒤다발 손상으로 인해 자쪽손목폄근에 마비가 생길 수 있다.[2][3]
작용
[편집]자쪽손목폄근은 손목을 펴는 역할을 하나, 홀로 작용하는 경우 손을 자쪽으로 모으는 작용도 한다. 팔꿈치관절 역시 편다.
육식동물에서는 자쪽손목폄근이 손목의 폄근이지만, 유제류에서는 굽힘근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ulnaris lateralis'로 기술한다.
부상
[편집]자쪽손목폄근에 일어나는 흔한 손상은 테니스 엘보로,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반복적으로 팔, 팔꿈치, 손목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는 사람에서 잘 발생하며, 특히 물체를 꽉 쥐고 있을 때 더욱 발생하기 쉽다. 자쪽손목폄근에 손상이 생겼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손을 흔들거나 물건을 쥐어짤 때, 혹은 물건을 쥘 때 유발되는 통증이다. 이러한 통증은 환자가 손목에 힘을 주고 움직일 때 악화된다. 이렇게 통증이 악화되는 이유는 팔꿈치 영역 부근에서 자쪽손목폄근에 손상이 생겼고, 환자가 팔을 움직이면서 근육이 수축해 염증 부위를 지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미 손상이 된 부위에 자극이 가해져 통증이 유발된다. 테니스 엘보 치료를 위해서는 작업치료, 물리치료, 항염증제, 손상을 유발한 활동 중지 등이 필요하다. 테니스 엘보와 유사하지만 안쪽위관절융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은 골프 엘보라고 한다.[4][5]
진단과 치료
[편집]자쪽손목폄근 손상 시 CT, MRI, 초음파 등 영상의학 기법을 진단에 가장 자주 이용한다.[6] 자쪽손목폄근 손상이 진단된 경우 의사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보존적 치료 시 깁스(보조기)로 손목을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안정시킨다.[7] 모든 손목의 움직임을 멈추기 위해서는 장상지 석고(long arm cast)가 필요할 수 있다. 고정 기간은 치료를 진행하는 의사의 재량에 달려 있다. 손상이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개선되지 않거나, 초기 손상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기에는 너무 심한 경우 침습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와 수술은 가장 중요한 침습적 치료 방식이다.[6] 자쪽손목폄근의 외과적 복구나 재건술은 자주 필요하지는 않으나, 중증의 손상 시 필요할 수 있다.[6]
추가 이미지
[편집]각주
[편집]- ↑ 《Clinically oriented anatomy.》. [S.l.]: Lippincott Williams & Wil. 2009. 751쪽. ISBN 978-1-6083-1181-1.
- ↑ Chung, K (1995). 《BRS: Gross Anatomy》.
- ↑ Moore, K; Agar, A (2002). 《Essential Clinical Anatomy》 2판. Lippincott.
- ↑ Nirschl, RP (October 1992). “Elbow Tendinosis/tennis Elbow”. 《Clin Sports Med.》 11 (4): 851–70. doi:10.1016/S0278-5919(20)30489-0. PMID 1423702.
- ↑ Saladin, Kenneth S.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and Form of Function》 5판. ISBN 9780077396336.
- ↑ 가 나 다 Campbell, Doug; Campbell, Rob; O'Connor, Phil; Hawkes, Roger (2013년 10월 4일). “Sports-Related Extensor Carpi Ulnaris Pathology: A Review of Functional Anatomy, Sports Injury and Management”.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 (17): 1105–1111. doi:10.1136/bjsports-2013-092835. PMC 3812850. PMID 24096897.
- ↑ Patterson, Steve M.; Picconatto, William J.; Alexander, Julie A.; Johnson, Rachel L. (September–October 2011). “Conservative Treatment of an Acute Traumatic Extensor Carpi Ulnaris Tendon Sublaxation in a Collegiate Basketball Player: A Case Report”.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6 (5): 574–576. doi:10.4085/1062-6050-46.5.574. PMC 3418964. PMID 22488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