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쪽손목폄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쪽손목폄근
아래팔을 뒤쪽에서 본 모습. 자쪽손목폄근은 그림의 오른쪽 중간에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보
이는곳위팔갈래: 위팔뼈가쪽위관절융기
자갈래: 팔꿈치머리, 자뼈 뒷면, 아래팔근막
닿는곳다섯째손허리뼈
동맥자동맥
신경뒤뼈사이신경
작용손목을 펴고 모음
대항근노쪽손목굽힘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extensor carpi ulnaris
영어extensor carpi ulnaris muscle
TA98A04.6.02.045
TA22507
FMA38506

자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ulnaris) 또는 척측수근신근(尺側手根伸筋)은 아래팔의 자쪽(안쪽)에 위치한 근육이다. 아래팔뒤칸 얕은층에 위치하며 손목을 펴고 모으는 작용을 한다.

구조[편집]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자뼈 뒤쪽 모서리에서 기시한다. 이후 아래팔을 자쪽 측면에서 주행하여 다섯째손허리뼈 바닥에 닿는다.

신경 분포[편집]

자쪽손목폄근은 이름과 달리, 노신경 깊은가지가 연속된 신경인 뒤뼈사이신경(C7, C8)의 지배를 받는다.[1] 따라서 팔신경얼기 뒤다발 손상으로 인해 자쪽손목폄근에 마비가 생길 수 있다.[2][3]

작용[편집]

자쪽손목폄근은 손목을 펴는 역할을 하나, 홀로 작용하는 경우 손을 자쪽으로 모으는 작용도 한다. 팔꿈치관절 역시 편다.

육식동물에서는 자쪽손목폄근이 손목의 폄근이지만, 유제류에서는 굽힘근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ulnaris lateralis'로 기술한다.

부상[편집]

자쪽손목폄근에 일어나는 흔한 손상은 테니스 엘보로,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반복적으로 팔, 팔꿈치, 손목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는 사람에서 잘 발생하며, 특히 물체를 꽉 쥐고 있을 때 더욱 발생하기 쉽다. 자쪽손목폄근에 손상이 생겼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손을 흔들거나 물건을 쥐어짤 때, 혹은 물건을 쥘 때 유발되는 통증이다. 이러한 통증은 환자가 손목에 힘을 주고 움직일 때 악화된다. 이렇게 통증이 악화되는 이유는 팔꿈치 영역 부근에서 자쪽손목폄근에 손상이 생겼고, 환자가 팔을 움직이면서 근육이 수축해 염증 부위를 지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미 손상이 된 부위에 자극이 가해져 통증이 유발된다. 테니스 엘보 치료를 위해서는 작업치료, 물리치료, 항염증제, 손상을 유발한 활동 중지 등이 필요하다. 테니스 엘보와 유사하지만 안쪽위관절융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은 골프 엘보라고 한다.[4][5]

진단과 치료[편집]

자쪽손목폄근 손상 시 CT, MRI, 초음파 등 영상의학 기법을 진단에 가장 자주 이용한다.[6] 자쪽손목폄근 손상이 진단된 경우 의사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보존적 치료 시 깁스(보조기)로 손목을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안정시킨다.[7] 모든 손목의 움직임을 멈추기 위해서는 장상지 석고(long arm cast)가 필요할 수 있다. 고정 기간은 치료를 진행하는 의사의 재량에 달려 있다. 손상이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개선되지 않거나, 초기 손상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기에는 너무 심한 경우 침습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와 수술은 가장 중요한 침습적 치료 방식이다.[6] 자쪽손목폄근의 외과적 복구나 재건술은 자주 필요하지는 않으나, 중증의 손상 시 필요할 수 있다.[6]

추가 이미지[편집]

참고 문헌[편집]

  1. 《Clinically oriented anatomy.》. [S.l.]: Lippincott Williams & Wil. 2009. 751쪽. ISBN 978-1-6083-1181-1. 
  2. Chung, K (1995). 《BRS: Gross Anatomy》. 
  3. Moore, K; Agar, A (2002). 《Essential Clinical Anatomy》 2판. Lippincott. 
  4. Nirschl, RP (October 1992). “Elbow Tendinosis/tennis Elbow”. 《Clin Sports Med.》 11 (4): 851–70. doi:10.1016/S0278-5919(20)30489-0. PMID 1423702. 
  5. Saladin, Kenneth S.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and Form of Function》 5판. ISBN 9780077396336. 
  6. Campbell, Doug; Campbell, Rob; O'Connor, Phil; Hawkes, Roger (2013년 10월 4일). “Sports-Related Extensor Carpi Ulnaris Pathology: A Review of Functional Anatomy, Sports Injury and Management”.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7 (17): 1105–1111. doi:10.1136/bjsports-2013-092835. PMC 3812850. PMID 24096897. 
  7. Patterson, Steve M.; Picconatto, William J.; Alexander, Julie A.; Johnson, Rachel L. (September–October 2011). “Conservative Treatment of an Acute Traumatic Extensor Carpi Ulnaris Tendon Sublaxation in a Collegiate Basketball Player: A Case Report”.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6 (5): 574–576. doi:10.4085/1062-6050-46.5.574. PMC 3418964. PMID 22488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