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쪽뼈사이근 (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등쪽뼈사이근
왼손의 등쪽뼈사이근. 위에서 본 모습.
정보
이는곳손허리뼈
닿는곳둘째, 셋째, 넷째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폄근널힘줄
동맥등쪽손허리동맥, 바닥쪽손허리동맥
신경자신경 깊은가지
작용손가락을 벌림
대항근바닥쪽뼈사이근
식별자
라틴어musculi interossei dorsales manus
영어dorsal interossei of the hand
TA98A04.6.02.066
TA22533
FMA37418

등쪽뼈사이근(dorsal interossei, DI) 또는 배측골간근(背側骨間筋)은 손등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한쪽 손에 네 개씩 존재한다. 집게손가락약손가락을 손의 정중선(가운뎃손가락의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즉 벌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에서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굽힘, 손가락사이관절의 폄을 돕는다.[1]

구조[편집]

한쪽 손에는 네 개의 등쪽뼈사이근이 존재한다. 바닥쪽뼈사이근손허리뼈의 앞쪽에 위치하여, 뒤쪽에 위치하는 등쪽뼈사이근과 대조된다.

등쪽뼈사이근은 모두 깃근육(bipennate)으로, 각각의 등쪽뼈사이근은 이웃하는 손허리뼈의 인접한 측면에서 두 갈래로 일어난다. 몸쪽손가락뼈 바닥과, 대응하는 손가락폄근 힘줄의 폄근널힘줄에 닿는다. 가운뎃손가락에는 두 개의 등쪽뼈사이근이 와서 닿으며,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에는 등쪽뼈사이근이 닿지 않는다. 등쪽뼈사이근과 바닥쪽뼈사이근을 합치면,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에는 모두 두 개의 뼈사이근이 붙는다. 새끼손가락의 경우 등쪽뼈사이근 대신 새끼벌림근이 붙는다.[2]

첫째 등쪽뼈사이근은 다른 등쪽뼈사이근보다 크기가 크다. 첫째 등쪽뼈사이근의 두 근육갈래 사이로는 노동맥이 손등에서 손바닥으로 지나간다. 둘째, 셋째, 넷째 등쪽뼈사이근의 두 근육갈래 사이로는 깊은손바닥동맥활에서 나오는 관통가지가 주행한다.[2]

  이는곳 닿는곳
첫째 첫째손허리뼈 자쪽 측면 몸쪽 절반과 둘째손허리뼈 노쪽 측면 집게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노쪽 측면과 폄근널힘줄
둘째 둘째손허리뼈 자쪽 측면과 셋째손허리뼈 노쪽 측면 가운뎃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노쪽 측면과 폄근널힘줄
셋째 셋째손허리뼈 자쪽 측면과 넷째손허리뼈 노쪽 측면 가운뎃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자쪽 측면과 폄근널힘줄
넷째 넷째손허리뼈 자쪽 측면과 다섯째손허리뼈 노쪽 측면 약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 바닥 자쪽 측면과 폄근널힘줄

신경 분포[편집]

모든 등쪽뼈사이근에는 자신경깊은가지가 분포한다.[3]

기능[편집]

등쪽뼈사이근은 둘째, 셋째, 넷째 손가락을 벌린다. 첫째 등쪽뼈사이근은 손허리손가락관절에서 집게손가락을 약간 돌릴 수 있으며, 엄지를 모을 때 엄지모음근을 돕는다.[4]

임상적 중요성[편집]

손의 첫째 등쪽뼈사이근에서는 드물게 구획증후군이 발생한다.[5] 이는 손의 과도한 사용 때문에 발생하며, 손등의 통증종창을 유발한다. 단순 근막절개술로 치료 가능하다.[5]

추가 이미지[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64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Dorsal Interossei (DI)”.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 in St.Louis. 2010. 2021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9일에 확인함. 
  2. Gray's Anatomy 1918, see infobox
  3. Origin, insertion and nerve supply of the muscle at Loyola University Chicago Stritch School of Medicine
  4. Palastanga, N; Soames, R (2012). 《Anatomy and Human Movement: Structure and Function》 6판. ISBN 978-0-7020-4053-5. 
  5. Abdul-Hamid, A. K. (1987). “First dorsal interosseous compartment syndrome”. 《Journal of Hand Surgery (Edinburgh, Scotland)》 12 (2): 269–272. doi:10.1016/0266-7681(87)90031-3. ISSN 0266-7681. PMID 3624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