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Theory
![]() | ||||
---|---|---|---|---|
![]() | ||||
린킨 파크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2000년 10월 24일 | |||
녹음 | 2000년 3월-7월
| |||
장르 | ||||
길이 | 37:45 | |||
레이블 | 워너 브라더스 | |||
프로듀서 | 돈 길모어 | |||
린킨 파크 스튜디오 음반 연표 | ||||
| ||||
‘’Hybrid Theory‘’의 싱글 | ||||
|
《Hybrid Theory》는 미국의 뉴 메탈 밴드 린킨 파크의 2000년 10월 24일에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에서 발매한 데뷔 음반이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음반 중 하나이며, 미국 빌보드 200에 2위에 오르고 대부분 세계 차트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녹음은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 위치한 NRG 레코드에서 녹음을 했으며 프로듀스는 돈 길모어가 맡았다. 음반 가사 주제는 대부분 리드 보컬 체스터 베닝턴이 사춘기 때 겪은 약물 남용, 그에 대한 싸움과 부모님 간의 이혼 등 문제들이다.
"One Step Closer", "Crawling", "Papercut", "In the End"로 음반에서 4개의 싱글 음반이 발매되었는데, "Crawling"은 그래미상을 수상하였고, 나머지 3개의 곡들은 발매 당시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받았다. 발매 후 RIAA에서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으며 전 세계에서 250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 (이중 절반 이상은 미국 내에서 기록) 하며 21세기 최고의 판매를 기록한 데뷔 음반이 되었고 2002년 그래미상에서는 최고의 락 음반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그래미 어워드 2002 Best Hard Rock Performance (Crawling)상을 수상하였다.
목차
배경[편집]
린킨 파크는 원래 1999년, MC 마이크 시노다, 드러머 롭 버든, 턴테이블 조지프 한, 베이시스트 데이브 파렐, 기타리스트 브래드 델슨으로 구성된 5인조 록 그룹 쎄로에 보컬 체스터 베닝턴이 합류하면서 구성되었다. 당시 쎄로는 전 보컬 마크 웨이크필드가 나가고 나서 보컬을 구하고 있는 상태였고 체스터 역시 보컬로 있던 밴드 그레이 데이즈가 해체되면서 다른 밴드를 구하고 있는 상태였다. 프로듀서 제프 블루의 도움으로 체스터는 2개의 테이프를 보내 쎄로에 합류하는 데 성공하며 합류 직후 밴드 이름을 하이브리드 씨어리 (Hybrid Thoery)로 바꾸고 EP 앨범을 발매했으나 밴드명에 대해 법적으로 웨일스 일렉트로니카 그룹 하이브리드와 마찰이 생겨 현 밴드이름인 린킨 파크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9년 동안, 로스앤젤레스 클럽 더 위스키에서 정규 공연을 했었다.
수록곡[편집]
일본 보너스 트랙[편집]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편집]
보너스 디스크 수록곡[편집]
멤버[편집]
린킨 파크[편집]
세션 멤버[편집]
|
차트[편집]
음반[편집]
차트 | 곡 순위 |
---|---|
빌보드 200 | 2 |
영국 톱 40 | 4 |
스웨덴 톱 60 | 4 |
뉴질랜드 | 1 |
오스트리아 | 2 |
핀란드 | 4 |
스위스 | 5 |
프랑스 | 17 |
네덜란드 | 13 |
싱글 음반[편집]
연도 | 곡 | 곡 순위 | ||||||||
---|---|---|---|---|---|---|---|---|---|---|
빌보드 100 | 미국 모던 록 | 미국 메인스트림 록 | 영국 톱 40 | 스웨덴 | 뉴질랜드 | 오스트리아 | 프랑스 | 네덜란드 | ||
2001 | "One Step Closer" | 75 | 5 | 4 | 24 | 46 | – | 38 | – | 57 |
2001 | "Crawling" | 79 | 5 | 3 | 16 | 27 | 37 | 8 | – | 45 |
2002 | "Runaway"† | – | 40 | 37 | – | – | – | – | – | – |
2002 | "Papercut" | – | 32 | – | 14 | – | – | 43 | – | 39 |
2002 | "In the End" | 2 | 1 | 3 | 8 | 3 | 10 | 6 | 40 | 5 |
- – - 싱글이 발매되지 않았거나 차트에 오르지 못함.
- † - “Runaway” 는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으나 미국 차트에 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