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정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자장론에서 c-정리(c-定理, 영어: c-theorem)는 2차원 양자장론들의 공간 위에서, 양자장론의 자유도의 수를 나타내고, 재규격화군 흐름에 따라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함수 c가 존재한다는 정리다. 이는 재규격화군에 따라 높은 에너지의 물리가 잊혀지므로 그에 따라 자유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재규격화군의 고정점에서, c등각 장론비라소로 대수의 중심 전하가 된다.

정의[편집]

2차원 공간 위에서, 복소 좌표 를 사용하자. 2차원에서 에너지-운동량 텐서는 대칭성에 의해 세 개의 독립된 성분을 가지는데, 이를 각각

로 적자. 등각 장론의 경우 후자는 0이 된다.

양자장론은 일련의 결합 상수 재규격화 에너지 눈금 에 의존하는 국소 라그랑지언 밀도 에 의해 정의된다. 양자장론이 재규격화 가능하다는 것은 다음 세 조건들을 의미한다.

  • 유동 결합 상수 가 존재하여, 모든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 유동 결합 상수는 자율적 1차 상미분 방정식을 따른다. 즉, 베타 함수 가 존재하여,
이어야 한다.

c-정리에 따르면, 모든 재규격화 가능한 2차원 양자장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 가 존재한다.

  • (단조성) 에 대한 증가함수이다.
  • (고정점에서의 등각 대칭) 재규격화군고정점 (의 영점) 에서, 이론은 2차원 비라소로 대수를 대칭으로 가진다. (즉, 단순한 축척 대칭 말고도, 모든 2차원 등각 대칭에 대하여 불변이다.)
  • (등각 중심 전하와의 일치) 재규격화군의 고정점 에서, 는 이에 대응하는 2차원 등각 장론비라소로 대수의 중심 전하 c와 일치한다.

c의 정의[편집]

다음과 같은 값들을 정의하자.

이들은 모두 어떤 임의의 주어진 에너지 눈금 에서 정의된다. 정의에 따라 이들은 모두 차원이 0인 로런츠 스칼라이다. 또한,

라고 놓으면, 양의 정부호인 대칭 행렬이다. 이 구조에 따라서 리만 다양체를 이루며, 또한 항상 이 된다.

그렇다면 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캘런-쥐만치크 방정식에 따라서

이 된다.

역사[편집]

존 카디는 중심 원소 c가 계의 자유도의 수를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이후,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가 1986년 〈2차원 장론의 재규격화군의 "비가역성"〉이라는 제목의 논문[1][2]에서 c-정리를 증명하였다.[3]:37–39[4]:91

고차원에서의 c-정리[편집]

c-정리는 2차원의 경우에는 증명되었으나, 아직 고차원에서 성립하는지 알려지지 않았고, 특수한 경우에는 고차원에서의 반례도 발견되었다. 짝수 차원의 시공간에서, 존 카디c에 해당하는 값을 정의하였고,[5], 이는 a라고 불리게 되었다.[6] 카디는 a재규격화군 흐름에 따라 항상 감소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a-정리(영어: a-theorem)라고 한다. 4차원의 경우, a-정리는 2011년에 증명되었다.[7][8][9] 6차원의 경우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10]

2010년에는 3차원 등각 장론에 대하여 F라는 값이 정의되었다.[11][12] 이는 3차원에서 c 또는 a에 대응하는 값으로 추측된다.

2010년에는 홀로그래피 원리를 사용하여, 임의의 차원에서의 c-정리들이 제안되었다.[13] 이는 3차원에서 이미 정의된 F와 일치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14]

참고 문헌[편집]

  1. Замолодчиков, А.Б. (1986년 6월 25일). “О ”необратимости” потока ренормализационной группы в двумерной теории поля”. 《Письма в Журнал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и теоретической физики》 (러시아어) 43 (12): 565–567. Bibcode:1986ZhPmR..43..565Z. 2020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2. Zamolodchikov, Alexander (1986). ““Irreversibility” of the Flux of the Renormalization Group in a 2-D Field Theory” (PDF).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 Letters》 (영어) 43: 730–732. Bibcode:1986JETPL..43..730Z. 2015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3. Nakayama, Yu. “A lecture note on scale invariance vs conformal invariance” (영어). arXiv:1302.0884. Bibcode:2013arXiv1302.0884N. 
  4. Tong, David (2009). “Lectures on string theory” (영어). arXiv:0908.0333. Bibcode:2009arXiv0908.0333T. 
  5. Cardy, John L. (1988년 12월 29일). “Is there a c-theorem in four dimensions?”. 《Physics Letters B》 215 (4): 749-752. Bibcode:1988PhLB..215..749C. doi:10.1016/0370-2693(88)90054-8. ISSN 0370-2693. 
  6. Renormalisation group flows in four dimensions and the ‘a-theorem’
  7. Komargodski, Z.; A. Schwimmer (2011). “On renormalization group flows in four dimension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1 (12): 99. arXiv:1107.3987. Bibcode:2011JHEP...12..099K. doi:10.1007/JHEP12(2011)099. ISSN 1029-8479. 
  8. Komargodski, Zohar (2012년 7월). “The constraints of conformal symmetry on RG flow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2 (7): 69. arXiv:1112.4538. Bibcode:2012JHEP...07..069K. doi:10.1007/JHEP07(2012)069. ISSN 1029-8479. 
  9. Reich, Eugenie Samuel (2011년 11월 14일). “Proof found for unifying quantum principle”. 《Nature》 (영어). doi:10.1038/nature.2011.9352. 
  10. Elvang, Henriette; Daniel Z. Freedman; Ling-Yan Hung; Michael Kiermaier; Robert C. Myers; Stefan Theisen (2012년 10월). “On renormalization group flows and the a-theorem in 6d”.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2 (10): 11. arXiv:1205.3994. Bibcode:2012JHEP...10..011E. ISSN 1029-8479. 
  11. Jafferis, Daniel L. “The Exact Superconformal R-Symmetry Extremizes Z” (영어). arXiv:1012.3210. doi:10.1007/JHEP05(2012)159. 
  12. Jafferis, Daniel L.; Igor R. Klebanov; Silviu S. Pufu; Benjamin R. Safdi. “Towards the F-Theorem: N=2 Field Theories on the Three-Sphere” (영어). arXiv:1103.1181. doi:10.1007/JHEP06(2011)102. 
  13. Myers, Robert C.; Aninda Sinha. “Holographic c-theorems in arbitrary dimensions” (영어). arXiv:1011.5819. 
  14. Casini, Horacio; Marina Huerta, Robert C. Myers (2011년 2월 27일). “Towards a derivation of holographic entanglement entropy”. arXiv:1102.044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