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보이기
2006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06 AFC U-17 Championship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9월 3일 ~ 9월 19일 |
참가팀 | 16개 (1개 대륙) |
경기장 | 2개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경기 수 | 29경기 |
득점 수 | 98골 (경기당 3.38골)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04 2008 » |
2006년 AFC U-17 챔피언십은 2006년 9월 3일부터 9월 19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12번째 AFC U-17 챔피언십이다. 이 대회에서 준결승전에 진출한 4개 팀은 대한민국에서 열린 2007년 FIFA U-17 월드컵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싱가포르 | |
---|---|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 비샨 스타디움 |
수용 인원: 6,000 | 수용 인원: 3,500 |
예선
[편집]2006년 AFC U-17 챔피언십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본선 조 추첨은 2006년 4월 17일에 싱가포르에서 진행되었다. A조에는 대한민국·싱가포르·일본·네팔, B조에는 이란·예멘·이라크·타지키스탄, C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우디아라비아·라오스·미얀마, D조에는 중국·시리아·방글라데시·베트남이 각각 편성되었다.[1]
싱가포르 (개최국)
이라크 (예선 A조 1위)
예멘 (예선 B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예선 C조 1위)
시리아 (예선 D조 1위)
방글라데시 (예선 E조 1위)
네팔 (예선 F조 1위)
타지키스탄 (예선 G조 1위)
이란 (예선 H조 1위)
1라오스 (예선 I조 1위)
미얀마 (예선 J조 1위)
베트남 (예선 K조 1위)
일본 (예선 L조 1위)
중화인민공화국 (예선 M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예선 N조 1위)
대한민국 (예선 플레이오프(동남아시아-동아시아) 승자)
1 라오스는 본선 조 추첨에서 C조에 편성되었으나 2005년 4월에 라오스에서 열린 AFC U-13 축구 대회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아시아 축구 연맹(AFC) 징계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통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2] 라오스의 자리는 다른 팀으로 대체되지 않았으며 C조는 3개 팀만으로 경기를 치렀다.
조별 예선
[편집]A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10 | 3 | +7 | 7 |
![]() |
3 | 2 | 0 | 1 | 7 | 4 | +3 | 6 |
![]() |
3 | 0 | 2 | 1 | 2 | 4 | -2 | 2 |
![]() |
3 | 0 | 1 | 2 | 0 | 8 | -8 | 1 |
B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7 | 4 | +3 | 9 |
![]() |
3 | 1 | 1 | 1 | 2 | 2 | 0 | 4 |
![]() |
3 | 0 | 2 | 1 | 1 | 2 | -1 | 2 |
![]() |
3 | 0 | 1 | 2 | 4 | 6 | -2 | 1 |
이란 ![]() |
1 – 0 | ![]() |
---|---|---|
잘랄레딘 알리모함마디 ![]() |
예멘 ![]() |
3 – 4 | ![]() |
---|---|---|
무아드 알아메리 ![]() 압둘라 오마르 ![]() |
파르호드 토히로프 ![]() 다브론존 투흐타수노프 ![]() 파르호드 바시예프 ![]() |
C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2 | 2 | 0 | 0 | 7 | 1 | +6 | 6 |
![]() |
2 | 1 | 0 | 1 | 7 | 4 | +3 | 3 |
![]() |
2 | 0 | 0 | 2 | 2 | 11 | -9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2 | ![]() |
---|---|---|
안일범 ![]() |
파하드 알도사리 ![]() 라키 팔라타 ![]() |
관중: 1,511
D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9 | 3 | +6 | 7 |
![]() |
3 | 2 | 0 | 1 | 9 | 1 | +8 | 6 |
![]() |
3 | 1 | 1 | 1 | 5 | 5 | 0 | 4 |
![]() |
3 | 0 | 0 | 3 | 0 | 14 | -14 | 0 |
결선 토너먼트
[편집]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9월 11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1 (8) | |||||||||
9월 14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1 (7) | |||||||||
![]() | 2 | |||||||||
9월 11일 – 싱가포르 (비샨) | ||||||||||
![]() | 0 | |||||||||
![]() | 1 | |||||||||
9월 17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2 | |||||||||
![]() | 4 | |||||||||
9월 11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2 | |||||||||
![]() | 1 | |||||||||
9월 14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0 | |||||||||
![]() | 0 | |||||||||
9월 11일 – 싱가포르 (비샨) | ||||||||||
![]() | 3 | 3·4위전 | ||||||||
![]() | 1 | |||||||||
9월 17일 – 싱가포르 (잘란브사르) | ||||||||||
![]() | 2 | |||||||||
![]() | 3 (4) | |||||||||
![]() | 3 (5) | |||||||||
8강전
[편집]준결승전
[편집]타지키스탄 ![]() |
0 – 3 | ![]() |
---|---|---|
안일범 ![]() 리상철 ![]() |
관중: 2,654
3·4위전
[편집]시리아 ![]() |
3 – 3 | ![]() |
---|---|---|
모하마드 자파르 ![]() 솔라이만 솔라이만 ![]() |
파트훌로 파트훌로예프 ![]() 쿠르보날리 소비로프 ![]() 압둘카윰 카라바예프 ![]() | |
승부차기 | ||
4 – 5 |
관중: 300
결승전
[편집]우승
[편집]2006년 AFC U-17 챔피언십 |
---|
![]() 일본 2번째 우승 |
수상
[편집]득점왕 | 대회 MVP |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 |
![]() |
![]() |
2007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팀
[편집]다음 5개 팀은 대한민국에서 열린 2007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2007년 FIFA U-17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
일본 (2006년 AFC U-17 챔피언십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6년 AFC U-17 챔피언십 준우승)
타지키스탄 (2006년 AFC U-17 챔피언십 3위)
시리아 (2006년 AFC U-17 챔피언십 4위)
각주
[편집]- ↑ “한국, U-17 亞청소년축구서 일본과 한조”. 《연합뉴스》. 2006년 4월 18일. 2023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Reports from the confederations” (PDF). 《FIFA Magazine Inside》 (영어): 80. 2006년 12월. 2023년 7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