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AFC U-16 챔피언십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 |
---|---|
2012 AFC U-16 Championship مسابقات فوتبال زیر ۱۶ سال آسیا ۲۰۱۲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9월 22일 ~ 10월 6일 |
참가팀 | 16개국 (1개 대륙) |
경기장 | 2개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31경기 |
총 득점 | 97골 (경기당 3.13골) |
총 관중 | 12,853명 (경기당 415명) |
« 2010 2014 » |
2012년 AFC U-16 챔피언십은 2012년 9월 22일부터 10월 6일까지 이란에서 열린 15번째 AFC U-16 챔피언십이다. 이 대회에서 준결승전에 진출한 4개 팀은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테헤란 | |
---|---|
PAS 스타디움 | 라흐 알란 스타디움 |
수용 인원: 8,250 | 수용 인원: 12,000 |
![]() |
예선[편집]
서아시아에 9장, 동아시아에 7장의 출전권이 배당되어 있다.
몽골,
부탄,
요르단,
투르크메니스탄,
필리핀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브루나이는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여서 예선에 참가하지 못했다.
레바논,
마카오,
스리랑카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
아프가니스탄은 예선 종료 후 연령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선수가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
![]() |
지역 예선 A조 1위 | ![]() |
지역 예선 E조 1위 | |
![]() |
지역 예선 A조 2위 | ![]() |
지역 예선 E조 2위 | |
![]() |
지역 예선 B조 1위 | ![]() |
지역 예선 F조 1위 | |
![]() |
지역 예선 B조 2위 | ![]() |
지역 예선 F조 2위 | |
![]() |
지역 예선 C조 1위 | ![]() |
지역 예선 G조 1위 | |
![]() |
지역 예선 C조 2위 | ![]() |
지역 예선 G조 2위 | |
![]() |
지역 예선 D조 1위 | |||
![]() |
지역 예선 D조 2위 | |||
조 3위 추가 진출 | 조 3위 추가 진출 | |||
![]() |
추가 진출 (서아시아) | ![]() |
추가 진출 (동아시아) |
시드 배정[편집]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본선 조 추첨은 2012년 5월 10일 이란 테헤란에서 열렸다.[1]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010년 AFC U-16 챔피언십 본선과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이란은 자동으로 A1에 배정되었다.
포트 1 (개최국 및 시드국)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
조별 예선[편집]
-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전에 진출한 팀 |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
A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
9 | 3 | 3 | 0 | 0 | 9 | 3 | +6 |
![]() |
4 | 3 | 1 | 1 | 1 | 6 | 6 | 0 |
![]() |
3 | 3 | 1 | 0 | 2 | 6 | 8 | -2 |
![]() |
1 | 3 | 0 | 1 | 2 | 3 | 7 | -4 |
2012년 9월 22일 13:00 (UTC+03:30) | ||||||
쿠웨이트 ![]() |
1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모하메드 알자루니 (아랍에미리트) | |||
바데르 테크르 알라 ![]() |
모하메드 알다히 ![]() | |||||
2012년 9월 22일 17:00 (UTC+03:30) | ||||||
이란 ![]() |
3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450 심판: 드미트리 마셴체프 (키르기스스탄) | |||
아미르 모함마드 마즐룸 ![]() 마지드 호세이니 ![]() |
아노우사이 노요봉 ![]() | |||||
2012년 9월 24일 13:00 (UTC+03:30) | ||||||
라오스 ![]() |
3 – 4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살라흐 아밧 알라바시 (바레인) | |||
타닌 판타봉 ![]() 아르미사이 케타봉 ![]() 아노우사이 노요봉 ![]() |
나와프 마르주크 ![]() 아노우콘 케올라 ![]() 나지 알라즈미 ![]() | |||||
2012년 9월 24일 17:00 (UTC+03:30) | ||||||
예멘 ![]() |
1 – 4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421 심판: 도마 마사아키 (일본) | |||
모하메드 알다히 ![]() |
알리 리기 ![]() 사에드 에자톨라히 ![]() 사산 자파리 ![]() 레자 카라몰라차브 ![]() | |||||
2012년 9월 26일 17:00 (UTC+03:30) | ||||||
이란 ![]() |
2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510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 |||
마지드 호세이니 ![]() 알리 쇼자에이 ![]() |
바데르 테크르 알라 ![]() | |||||
2012년 9월 26일 17:00 (UTC+03:30) | ||||||
예멘 ![]() |
1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50 심판: 차이야 마하팝 (태국) | |||
모하메드 알다히 ![]() |
알라 아딘 마흐디 ![]() 아르미사이 케타봉 ![]() | |||||
B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
7 | 3 | 2 | 1 | 0 | 4 | 1 | +3 |
![]() |
7 | 3 | 2 | 1 | 0 | 4 | 1 | +3 |
![]() |
3 | 3 | 1 | 0 | 2 | 4 | 6 | -2 |
![]() |
0 | 3 | 0 | 0 | 3 | 2 | 7 | -5 |
2012년 9월 22일 15:00 (UTC+03:30) | ||||||
오스트레일리아 ![]() |
2 – 0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83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 |||
테일러 톰비데스 ![]() 조슈아 맥도널드 ![]() |
||||||
2012년 9월 22일 19:00 (UTC+03:30) | ||||||
이라크 ![]() |
2 – 1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50 심판: 압둘라만 압두 (카타르) | |||
마흐디 압둘자흐라 ![]() 사메르 마제드 ![]() |
아템 술탄 압델라흐 알루샤디 ![]() | |||||
2012년 9월 24일 15:00 (UTC+03:30) | ||||||
태국 ![]() |
0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350 심판: 나세르 알가라피 (욜단) | |||
셰르코 카림 ![]() 모하메드 라티프 ![]() | ||||||
2012년 9월 24일 19:00 (UTC+03:30) | ||||||
오만 ![]() |
1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유세프 알마르주크 (쿠웨이트) | |||
아템 술탄 압델라흐 알루샤디 ![]() |
조슈아 맥도널드 ![]() 제임스 발다키노 ![]() | |||||
2012년 9월 26일 13:00 (UTC+03:30) | ||||||
오스트레일리아 ![]() |
0 – 0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50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 |||
2012년 9월 26일 13:00 (UTC+03:30) | ||||||
오만 ![]() |
3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55 심판: 살라흐 아바스 알라바시 (바레인) | |||
사미르 알알라위 ![]() 마르완 무바라크 ![]() 아템 술탄 압델라흐 알루샤디 ![]() |
사란 뿌앙붓 ![]() 피리낫 통마 ![]() | |||||
오스트레일리아와 이라크는 조별 리그 최종전까지의 결과, 승점과 골득실, 다득점 모두 동률로 승부차기로 순위를 가렸다. 그 결과 이라크가 오스트레일리아를 3-2로 이기고 조 1위를 차지했다.
C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
9 | 3 | 3 | 0 | 0 | 7 | 1 | +6 |
![]() |
6 | 3 | 2 | 0 | 1 | 6 | 3 | +3 |
![]() |
3 | 3 | 1 | 0 | 2 | 2 | 7 | -5 |
![]() |
0 | 3 | 0 | 0 | 3 | 1 | 5 | -4 |
2012년 9월 23일 13:00 (UTC+03: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0 – 3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331 심판: 야돌라흐 자한바지 (이란) | |||
황희찬 ![]() | ||||||
2012년 9월 23일 17:00 (UTC+03:30) | ||||||
일본 ![]() |
2 – 0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200 심판: 스트레브레 델로프스키 (오스트레일리아) | |||
사사키 와타루 ![]() 스기모토 다로 ![]() |
||||||
2012년 9월 25일 13:00 (UTC+03:30) | ||||||
대한민국 ![]() |
3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350 심판: 모하메드 알자루니 (아랍에미리트) | |||
황희찬 ![]() 최주용 ![]() 고민혁 ![]() |
오가와 히로키 ![]() | |||||
2012년 9월 25일 17:00 (UTC+03:30) | ||||||
사우디아라비아 ![]() |
1 - 2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237 심판: 드미트리 마셴체프 (키르기스스탄) | |||
압둘카림 알카타니 ![]() |
리룡 ![]() 리광성 ![]() | |||||
2012년 9월 27일 17:00 (UTC+03: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0 - 3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50 심판: 압둘라만 압두 (카타르) | |||
나카무라 후미야 ![]() 스기모토 다로 ![]() 오가와 히로키 ![]() | ||||||
2012년 9월 27일 17:00 (UTC+03:30) | ||||||
사우디아라비아 ![]() |
0 - 1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62 심판: 유세프 알마르주크 (쿠웨이트) | |||
정훈우 ![]() | ||||||
D조[편집]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
5 | 3 | 1 | 2 | 0 | 2 | 1 | +1 |
![]() |
4 | 3 | 1 | 1 | 1 | 4 | 4 | 0 |
![]() |
3 | 3 | 0 | 3 | 0 | 4 | 4 | 0 |
![]() |
2 | 3 | 0 | 2 | 1 | 4 | 5 | -1 |
2012년 9월 23일 15:00 (UTC+03:30) | ||||||
우즈베키스탄 ![]() |
3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차이야 마하팝 (태국) | |||
무히딘 오딜로프 ![]() 이브로힘 압둘라예프 ![]() 일홈존 압디가니예프 ![]() |
우탐 라이 ![]() | |||||
2012년 9월 23일 19:00 (UTC+03:30) | ||||||
시리아 ![]() |
1 – 1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 |||
칼레드 쿠르다글리 ![]() |
장위닝 ![]() | |||||
2012년 9월 25일 15:00 (UTC+03:30) | ||||||
인도 ![]() |
0 - 0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50 심판: 스트레브레 델로프스키 (오스트레일리아) | |||
2012년 9월 25일 19:00 (UTC+03:30) | ||||||
중국 ![]() |
1 - 1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야돌라흐 자한바지 (이란) | |||
후징항 ![]() |
잠시드 볼타보예프 ![]() | |||||
2012년 9월 27일 13:00 (UTC+03:30) | ||||||
우즈베키스탄 ![]() |
0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20 심판: 도마 마사아키 (일본) | |||
수비에 알후스니 ![]() | ||||||
2012년 9월 27일 13:00 (UTC+03:30) | ||||||
중국 ![]() |
2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00 심판: 나세르 알가라피 (요르단) | |||
왕진셴 ![]() 장위닝 ![]() |
대니얼 랄흘림푸이아 ![]() 마이런 멘데스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9월 30일 - 테헤란 (PAS) | ||||||||||
![]() | 5 | |||||||||
10월 3일 - 테헤란 (PAS) | ||||||||||
![]() | 1 | |||||||||
![]() | 2 | |||||||||
9월 30일 - 테헤란 (라흐 알란) | ||||||||||
![]() | 3 | |||||||||
![]() | 1 (3) | |||||||||
10월 6일 - 테헤란 (PAS) | ||||||||||
![]() | 1 (5) | |||||||||
![]() | 1 (3) | |||||||||
9월 30일 - 테헤란 (PAS) | ||||||||||
![]() | 1 (1) | |||||||||
![]() | 3 | |||||||||
10월 3일 - 테헤란 (PAS) | ||||||||||
![]() | 1 | |||||||||
![]() | 1 | |||||||||
9월 30일 - 테헤란 (라흐 알란) | ||||||||||
![]() | 5 | |||||||||
![]() | 1 | |||||||||
![]() | 2 | |||||||||
8강전[편집]
2012년 9월 30일 13:00 (UTC+03:30) | ||||||
이라크 ![]() |
3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500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 |||
알리 에삼 카딤 ![]() 살만 알리 살만 ![]() 사메르 마제드 ![]() |
압둘라 알라스푸르 ![]() | |||||
2012년 9월 30일 15:00 (UTC+03:30) | ||||||
대한민국 ![]() |
1 - 1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200 심판: 모하메드 알자루니 (아랍에미리트) | |||
황희찬 ![]() |
아코비르 투라예프 ![]() | |||||
승부차기 | ||||||
유원종 ![]() 황희찬 ![]() 이건 ![]() 임은수 ![]() |
3 – 5 | ![]() ![]() ![]() ![]() ![]() |
||||
2012년 9월 30일 17:00 (UTC+03:30) | ||||||
이란 ![]() |
5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3,850 심판: 도마 마사아키 (일본) | |||
사에이드 에자톨라히 ![]() 레자 카라몰라차브 ![]() 모하메드 레자 바자즈 ![]() 알리 리기 ![]() |
바이 안토니우 ![]() | |||||
2012년 9월 30일 19:00 (UTC+03:30) | ||||||
시리아 ![]() |
1 - 2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197 심판: 스트레브레 델로프스키 (오스트레일리아) | |||
칼레드 쿠르다글리 ![]() |
스기모리 고키 ![]() 스기모토 다로 ![]() | |||||
준결승전[편집]
2012년 10월 3일 17:00 (UTC+03:30) | ||||||
이란 ![]() |
2 - 3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3,050 심판: 유세프 알마르주크 (쿠웨이트) | |||
마지드 호세이니 ![]() 아미르 모함마드 마즐룸 ![]() |
도스톤베크 함다모프 ![]() 이자틸라 압둘라예프 ![]() 오타베크 슈쿠로프 ![]() | |||||
2012년 10월 3일 19:00 (UTC+03:30) | ||||||
이라크 ![]() |
1 - 5 | ![]() |
라흐 알란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537 심판: 모하메드 알자루니 (아랍에미리트) | |||
야시르 암마르 사미 ![]() |
오니시 유키 ![]() 기타가와 고야 ![]() 와타나베 료마 ![]() 사사키 와타루 ![]() | |||||
결승전[편집]
2012년 10월 6일 17:00 (UTC+03:30) | ||||||
우즈베키스탄 ![]() |
1 - 1 | ![]() |
PAS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213 심판: 압둘라만 압두 (카타르) | |||
아코비르 투라예프 ![]() |
미즈타니 다쿠마 ![]() | |||||
승부차기 | ||||||
아크람존 코밀로프 ![]() 오타베크 슈쿠로프 ![]() 알리셰르 미르자예프 ![]() |
3 – 1 | ![]() ![]() ![]() ![]() |
||||
우승[편집]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
---|
![]() 우즈베키스탄 1번째 우승 |
수상[편집]
득점왕 | 대회 MVP |
---|---|
![]() |
![]() |
2013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팀[편집]
다음 5개 팀은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아랍에미리트 (2013년 FIFA U-17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
우즈베키스탄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우승)
일본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준우승)
이란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공동 3위)
이라크 (2012년 AFC U-16 챔피언십 공동 3위)
각주[편집]
- ↑ “U-16 Draw procedures confirmed”.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2년 4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