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나무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Juglans regia L. | ||||||||||||||||
영어명 | ||||||||||||||||
Persian walnut, English walnut, Carpathian walnut, Madeira walnu |
호두나무(호도(胡桃)>호두)는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갈잎 큰키나무이다. 학명은 Juglans regia이다. 호도나무라고도 부른다. 발칸 반도에서 히말라야, 동쪽으로는 중국에 이르는 유라시아 대륙 원산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 이남에서 심는다.
생태[편집]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며 잎은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이 5~7개 달린다. 작은 잎은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매달린 잎은 끝으로 갈수록 조금씩 커진다. 암수한그루로 암꽃은 어린 가지 끝에 1~3개씩 모여 피고, 길이 15cm 정도의 수꽃은 밑으로 늘어진다. 9월에 달걀 모양의 핵과가 열린다. 열매의 씨를 호두라 부른다.
우리나라 호두나무[편집]
호두가 국내에 들어온 때는 4세기 말경으로 추정된다. 물론 이설이 많다.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시대 후기로 보기도 한다.
고려 충렬왕 16년(1290) 9월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류청신(柳淸臣, ?~1329)이 임금의 수레를 모시고 돌아올 때 호두나무의 묘목과 열매를 가져와 묘목은 광덕사 안에 심고, 열매는 유청신 선생의 고향집 뜰 앞에 심었다는 것이 고려시대 전래설의 기원이다[1][2].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보호)
- 호두기름(호두유)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 천안시.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천안시. 2020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장영섭 기자 (2008년 9월 23일). “천안 광덕사의 호두나무”. 불교신문. 2020년 5월 22일에 확인함.
- 《조경수목 핸드북》(광일문화사, 2000) ISBN 89-85243-25-X
- 《나무 쉽게 찾기》(진선출판사, 2004) ISBN 978-89-7221-414-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두나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국가표준식물목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USDA GRIN Taxonomy fo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