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수학)
집합론과 조합론에서 해바라기(영어: sunflower)는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교집합이 항상 일정한 집합족이다.
정의
[편집]부분 순서 집합 가 만남 반격자라고 하자 (즉, 임의의 두 원소에 대하여 그 하한 이 존재한다고 하자). 속의 부분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하향 해바라기(영어: downward sunflower)라고 한다.[1]
이 경우, 는 의 핵(核, 영어: kernel, core)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가 이음 반격자일 경우, 상향 해바라기(영어: upward sunflower)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이다.
집합 속의 해바라기란 멱집합 속의 하향 해바라기를 뜻한다.[2]:49, Definition II.1.4[3]:89, §6.1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며 이라면, 이다.
성질
[편집]수
[편집]크기 의 집합 위의 해바라기 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제2종 스털링 수이다.
증명:
해바라기에는 항상 그 핵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므로, 총 해바라기의 수는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들의 수의 2배이다. 따라서,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의 수를 세자.
에 새 원소 를 추가한 집합 의, 조각으로의 분할 를 생각하자. 그 가짓수는 제2종 스털링 수 이다.
또한, 에서 임의의 원소 를 고르자.
이제, 이 데이터 에 다음과 같은,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 를 대응시킬 수 있다.
- 만약 라면, . 그 핵은 이다.
- 만약 이고 라면, . 그 핵은 이며, 는 해바라기의 "바깥"이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의 집합은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들의 집합과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의 크기는 물론
이다.
해바라기 정리
[편집]임의의 두 기수 에 대하여, 를 다음 조건이 성립하는 최소의 기수 라고 하자. (이러한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로 놓자.)
다음과 같은 성질이 알려져 있다.
- , 라면, 이다.[4][3]:89–90, §6.1
- 이다.[2]:49, Theorem II.1.5
- 만약 이며, 가 정칙 기수이며, 임의의 에 대하여 일 경우, 이다.[2]:49, Theorem II.1.6
- 자명하게, 이다. (이는 집합족은 스스로보다 더 큰 해바라기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자명하게,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일 경우, 이다. (이는 크기가 2 이하인 집합족은 항상 해바라기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다.
- 자명하게, 만약 이라면 이다. 마찬가지로, 만약 이라면 이다.
이와 같은, 에 대한 상계·하계들을 해바라기 정리(영어: sunflower theorem)라고 한다.
예
[편집]크기 2 이하의 집합족은 항상 (자명하게) 해바라기이다. 짝마다 서로소 집합족(즉, 서로 다른 두 원소가 항상 서로소인 집합족)은 (핵이 공집합인) 해바라기이다.
역사
[편집]1980년에 에르되시 팔과 리하르트 라도가 유한 해바라기에 대한 해바라기 정리를 증명하였다.[4] 에르되시와 라도는 해바라기를 "델타 계"(Δ界, 영어: Δ-system)라고 불렀다.
"해바라기"(영어: sunflower)라는 용어는 적어도 1981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5] "해바라기"라는 용어는 식물 해바라기의 꽃차례에 비유한 것이다. 이는 (유한) 해바라기의 벤 다이어그램을 대칭적으로 그리면, 이는 마치 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해바라기의 꽃차례는 중심의 갈색의 작은 관꽃들과, 이를 둘러싸는 노랗고 길쭉한 혀꽃들로 구성되어 있다. (흔히, 후자를 "꽃잎"으로 일컫는다.) 이 비유에서, 수학적 해바라기의 핵은 관꽃들의 집합에 해당하며, 수학적 해바라기의 각 원소는 모든 관꽃들의 집합과 하나의 혀꽃으로 구성된다.
참고 문헌
[편집]- ↑ McKenna, Geoffrey (2005). “Sunflowers in Lattices”. 《The Electronic Journal of Combinatorics》 (영어) 12: R66. ISSN 1077-8926.
- ↑ 가 나 다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Studies in Logic and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영어) 102. North-Holland. ISBN 978-0-444-86839-8. MR 597342. Zbl 0534.03026. 2016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Jukna, Stasys (2011). 《Extremal combinatorics with applications in computer science》. Text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영어) 2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17364-6. ISBN 978-3-642-17363-9. ISSN 1862-4499. Zbl 1239.05001.
- ↑ 가 나 Erdős, Paul; Rado, Richard (1960). “Intersection theorems for systems of sets” (PDF).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5 (1): 85–90. doi:10.1112/jlms/s1-35.1.85. ISSN 0024-6107. MR 0111692.
- ↑ Deza, Michael; Frankl, Péter (1981). “Every large set of equidistant (0, +1, −1)-vectors forms a sunflower”. 《Combinatorica》 (영어) 1 (3): 225–231. doi:10.1007/BF02579328. ISSN 0209-9683. MR 637827.
외부 링크
[편집]- “The Erdos-Rado sunflower lemma”. 《Polymath》 (영어).
- “The Erdos-Rado sunflower lemma”. 《TheoryApp》 (영어). 2013년 11월 6일.
- Kintali, Shiva (2009년 7월 15일). “The sunflower lemma”. 《My Brain is Open》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