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오레세인
![]() | |
![]() | |
![]() | |
이름 | |
---|---|
발음 | /flʊəˈrɛsi.ɪn, |
IUPAC 이름
3′,6′-dihydroxyspiro[isobenzofuran-1(3H),9′-[9H]xanthen]-3-one
| |
별칭
Fluorescein, resorcinolphthalein, C.I. 45350, solvent yellow 94, D & C yellow no. 7, angiofluor, Japan yellow 201, soap yellow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17.302 |
EC 번호 |
|
KEGG | |
MeSH | Fluorescein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20H12O5 | |
몰 질량 | 332.311 g·mol−1 |
밀도 | 1.602 g/mL |
녹는점 | 314 to 316 °C (597 to 601 °F; 587 to 589 K) |
Slightly | |
약리학 | |
S01JA01 (WHO) |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경고 |
H319 | |
P305, P351, P338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은 물과 알코올에 살며시 용해된 짙은 황색/빨간색의 파우더로 이용할 수 있는 합성 유기 화합물의 하나이다. 형광 트레이서로 수많은 분야에 널리 응용된다.
또, 플루오레세인은 460 나노미터의 등흡수점을 가지고 있다. 플루오레세인은 색상 첨가제로도 알려져 있다. (D&C 황색 번호 7)
합성[편집]
플루오레세인은 아돌프 폰 바이어가 1871년 처음 합성하였다.[1]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을 통해 염화 아연이 있는 데에서 프탈산 무수물과 레조르시놀을 가지고 준비할 수 있다.

안전[편집]
플루오레세인의 국부, 구강, 정맥에 이용하면 구역질, 구토, 두드러기, 급성 저혈압, 과민증[2][3], 심정지[4], 과민증으로 인한 돌연사를 포함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5][6]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Baeyer, Adolf (1871) "Uber ein neue Klasse von Farbstoffen" (On a new class of dyes), Berichte der Deutschen chemischen Gesellschaft zu Berlin, 4 : 555-558 ; see p. 558.
- ↑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naphylaxis. Joint Task Force on Practice Parameters,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and the Joint Council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PDF).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01 (6 Pt 2): S465–528. 1998. PMID 9673591. 2015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naphylaxis: an updated practice parameter. Archived 2007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
- ↑ El Harrar, N; Idali, B; Moutaouakkil, S; El Belhadji, M; Zaghloul, K; Amraoui, A; Benaguida, M (1996). “Anaphylactic shock caused by application of fluorescein on the ocular conjunctiva”. 《Presse medicale (Paris, France : 1983)》 25 (32): 1546–7. PMID 8952662.
- ↑ Fineschi V, Monasterolo G, Rosi R, Turillazzi E (1999). “Fatal anaphylactic shock during a fluorescein angiography”. 《Forensic Sci. Int.》 100 (1–2): 137–42. doi:10.1016/S0379-0738(98)00205-9. PMID 10356782.
- ↑ Hitosugi M, Omura K, Yokoyama T, Kawato H, Motozawa Y, Nagai T, Tokudome S (2004). “An autopsy case of fatal anaphylactic shock following fluorescein angiography: a case report”. 《Med Sci Law》 44 (3): 264–5. doi:10.1258/rsmmsl.44.3.264. PMID 15296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