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순안 국제공항
![]() | 이 문서의 제목을 평양국제비행장으로 바꾸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세요. |
평양 순안 국제공항 Pyongyang Sunan International Airport | ||||||
---|---|---|---|---|---|---|
![]() ![]()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UTC+09:00 | |||||
소유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
운영기관 | 조선민용항공총국 | |||||
지역 | ![]()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순안구역 룡복리 | |||||
해발고도 | 36 m / 118 ft | |||||
좌표 | 북위 39° 13′ 26″ 동경 125° 40′ 12″ / 북위 39.22389° 동경 125.67000°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7/35 | 3435 | 60 | YES | 콘크리트 | ||
01/19 | 3800 | 60 | NO | 콘크리트 |
평양 순안 국제공항(영어: Pyongyang Sunan International Airport, IATA: FNJ, ICAO: ZKPY)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순안구역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평양 도심의 평양역에서 약 25 km 북쪽에 있으며, 고려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평양국제비행장으로도 부른다.
역사[편집]

평양 순안 국제공항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1940년대 후반에 순안역 인근의 보통강변에 건설된 비행장에서 시작한 공항으로, 이 비행장 건설 당시 평양 동부에는 평양의 첫번째 비행장인 미림 비행장이 있었다.
한국 전쟁 당시 순안 국제공항은 UN군이 평양을 점령한 1950년 10월 19일부터 한 달 반 정도 UN군의 물자 수송에 이용되었고, 1953년 5월 13일 미공군이 독산댐 등 평양 인근의 저수지를 공습했을 때에는 침수 피해를 입기도 했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2개월 후부터 복구에 들어가 1955년 9월에 조선민항(현 고려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개항하였고, 1959년 2월 평양 - 모스크바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공항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1989년에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을 대비하여 공항 북쪽에 제2활주로(01/19)를 개장하였고, 2008년에 정비와 재포장을 위해 제1활주로를 폐쇄하였다. 2011년 8월부터 기존 여객터미널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 여객터미널을 건설하여 2015년 7월 1일에 개장하였고,[1] 그와 함께 제1활주로도 재개장하였다.
시설[편집]
평양 순안 국제공항은 2개의 항공역사(여객터미널)와 2본의 활주로를 갖추고 있다.
1항공역사[편집]
2항공역사 건설에 앞서 2011년 7월 15일에 옛 청사의 남쪽에 완공되었다.[2] 2015년 7월에 2항공역사가 완공된 후, 2016년 초에 서로 연결되었다.
2항공역사[편집]
2011년 8월부터 옛 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건설하여 2015년 7월 1일에 완공되었다.[3] 평양국제비행장의 메인 여객터미널이다.
활주로 및 지상 설비[편집]
- 활주로 용량
- 연간 20만 회 (추정)
- 활주로 : 2본
- 제1활주로(남): 3435 m × 60 m
- 제2활주로(북): 3800 m × 60 m
- 유도로
- 표면: 콘크리트
- 강도: 47/R/A/W/U
- 두께: 50 cm
- 지상 설비
- 지상 전원차(GPU), 토잉카 등
편의시설[편집]
주차장, 면세점, 라운지, 택시승강장 등이 있다.
항공관제[편집]
GND | 121.8MHz |
TWR | 118.3MHz |
APP | 130MHz |
운항 노선[편집]
운항 노선은 모두 고려항공이 운항하고 있다. 외국 항공사로는 중국국제항공이 평양 - 베이징 노선을 유일하게 운항하고 있는데, 수시로 단항과 재취항을 반복하고 있다.[4]
국내선은 과거 평양 - 청진 노선이 주 2회로 운항하는 유일한 정기 노선이었으나, 현재는 정기 국내선이 없다.
국제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베이징(서우두), 선양, 블라디보스토크, 마카오 |
![]() | 베이징(서우두) - (코로나-19의 확산방지를 위해 잠시 운휴)[5] |
국내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부정기편: 원산, 삼지연, 청진, 함흥 |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국제선: 블라디보스토크, 선양, 하얼빈 국내선: 원산, 삼지연, 청진, 함흥, 신의주, 해주 |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탑승구에 주기 중인 고려항공 소속 투폴레프 Tu-204
각주[편집]
- ↑ “북한, 평양 순안국제공항 신청사 완공…7월1일 준공식(종합)”. 연합뉴스. 2020년 3월 3일에 확인함.
- ↑ “평양 순안공항 현대식 터미널 개관”. 연합뉴스. 2011년 8월 23일. 2020년 3월 3일에 확인함.
- ↑ “북한 평양국제공항 신청사 준공식.."옛청사의 6배"”. 연합뉴스. 2015년 7월 1일. 2020년 3월 3일에 확인함.
- ↑ 강혜란 (2017년 11월 22일). “중국국제항공 평양 취항 중단…쑹타오 특사가 마지막 손님”. 중앙일보. 2020년 3월 3일에 확인함.
- ↑ 신은별 (2020년 1월 25일). “북한 "베이징-평양 항공편 취소".. '우한 폐렴' 차단 총력”. 한국일보. 2020년 2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