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생리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토론)의 판 28825340으로 되돌림 (TW)
ㅋㄴㄴ
태그: 되돌려진 기여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Vlozka0707.JPG|섬네일|생리대]]
[[파일:Vlozka0707.JPG|섬네일|생리대]]

'''생리대'''(生理帶)는 [[여성]]이 [[월경]]을 할 때 [[질]]을 통하여 배출되는 [[혈액]]을 흡수하는 위생용품을 말한다.


== 역사 ==
== 역사 ==

2021년 7월 20일 (화) 14:46 판

생리대

역사

일회용 생리대

최초의 일회용 생리대는 제1차 세계대전 중 부상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소재의 붕대의 대용으로 킴벌리 클라크셀루코튼을 소재로하여 일회용 면 대용품을 개발하였고 이를 제1차 세계대전 중 야전병원에서 일하던 간호사들이 생리대로 활용한 것이 시초이다. 제1차 세계대전 후 킴벌리 클라크는 1920년 세계 최초의 일회용 생리대 코텍스를 출시하였고,[1] 일본 굴지의 위생용품 선두 업체인 유니참의 경우, 1963년(쇼와 38년) 생산을 시작하여, 1982년(쇼와 57년)에 입체패턴 생리대인 '소피(Sofy)'를 출시하였다.

대한민국의 생리대 역사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출시된 일회용 생리대는 1971년[2]에 위생용품 선두 업체인 유한킴벌리가 출시한 '코텍스'이고, 2006년에 설립한 후발 업체인 LG유니참의 경우, '쏘피 바디피트(Sofy Bodyfit)'라는 자사 브랜드로 국산화하여, '쏘피 바디피트'는 LG유니참 구미공장에서 제조 및 생산을 담당하고, 판매 및 마케팅은 LG생활건강에서 전담하고 있다.

LG유니참은 LG생활건강과 일본 최대의 위생용품 선두 업체인 유니참과 합작 투자로, 2006년 2월에 설립하여, LG유니참이 위생용품 선두 업체인 유한킴벌리의 점유율을 급속히 잠식하여 2위로 탈환한 것이다. 이는, LG유니참이 생리대 시장의 후발 주자로서 단기간 급부상한 건, LG생활건강이 그동안 대형마트 등에서 쌓아온 탄탄한 마케팅 노하우와 일본 유니참의 독보적인 제품 경쟁력이 만나 독특한 시너지 효과를 거둔 셈이다.[3]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