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상의 명칭은 스페인 골키퍼 리카르도 사모라의 이름에서 땄다.

1926년 엘 그라피코 표지를 장식한 사모라와 두 명의 아르헨티나 골키퍼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스페인어: Trofeo Ricardo Zamora)는 스페인 정간지 마르카의 주간으로 1958부터 매년 수여되는 축구 상이다. 수상 대상자는 "경기당 실점률"이 가장 낮은 골키퍼에게 주어진다.[a]
원년 수상자는 해당 시즌에 최소 15경기 출장해야 수상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1964년 수상 대상이 될 수 있는 최소 출장 횟수가 22번으로 늘어났다. 1983년부터는 현재 규정인 최소 28경기 출전해야 후보가 될 수 있게 되었으며, 1경기 출전을 인정받으려면 최소 60분을 출전해야 된다.
상이 신설되기 전인 1958년에 수상했을 골키퍼의 목록이 공개되었다. 해당 시즌에 수상자가 될 수 있는 최소 출장 기준도 세웠다. 10개 구단이 경쟁하던 시절의 경우 최소 14번으로, 12개 구단이 경쟁하던 시절은 17번, 14개 구단이 경쟁하던 시절은 최소 20경기로 기준을 잡았다. 16개 구단이 경쟁하던 시절은 22번 출장을 최소 출전 기준으로 삼아 1964년부터 1983년까지의 기준을 놓고 선정했다.
목차
규정[편집]
- 수상 후보가 되려면 최소 28경기는 출전해야 하며, 해당 시즌의 리그 경기만 산출 대상이다. 1경기 출장을 인정받으려면 각 경기를 최소 60분은 나서야 한다.
- 경기당 실점률이 최저인 골키퍼가 수상자로 선정되며, 0.01 단위로 반올림하여 산정된다. 실점은 해당 시즌에 출전한 리그 경기에서 기록한 실점 총 횟수를 출전 경기 횟수로 나누어 산정한다. (실점은 60분 미만 출전한 경기에서 범한 것도 산정 대상이 된다.)
- 복수의 골키퍼가 같은 경기당 실점률을 낸 경우 공동 수상자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골키퍼가 트로피를 가져갈 수 있다.
- 마르카는 한 차전이 끝날 때마다 통계표를 제공한다. 28차전이 끝나기 전에 리그가 종료되면 최다 경기에 출전한 골키퍼에게 상이 주어지며, 이들 중에 최저 경기당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주어진다.
프리메라 디비시온[편집]
수상자 목록[편집]
통계[편집]
선수별[편집]
선수 | 수상 연도 | 시즌 |
---|---|---|
![]() |
5 | 1951–52, 1955–56, 1956–57, 1958–59, 1959–60 |
![]() |
5 | 2004–05, 2008–09, 2009–10, 2010–11, 2011–12 |
![]() |
4 | 1941–42, 1942–43, 1949–50, 1950–51 |
![]() |
4 | 1992–93, 2000–01, 2001–02, 2003–04 |
![]() |
4 | 2015–16, 2016–17, 2017–18, 2018–19 |
![]() |
3 | 1929, 1931–32, 1932–33 |
![]() |
3 | 1929–30, 1933–34, 1935–36 |
![]() |
3 | 1960–61, 1962–63, 1963–64 |
![]() |
3 | 1968–69, 1973–74, 1974–75 |
![]() |
3 | 1979–80, 1980–81, 1981–82 |
![]() |
3 | 1984–85, 1985–86, 1989–90 |
![]() |
2 | 1943–44, 1944–45 |
![]() |
2 | 1948–49, 1952–53 |
![]() |
2 | 1964–65, 1966–67 |
![]() |
2 | 1987–88, 1991–92 |
![]() |
2 | 2012–13, 2013–14 |
![]() |
2 | 1972–73, 1976–77 |
![]() |
2 | 1992–93, 1993–94 |
구단별[편집]
구단 | 선수 | 합계 |
---|---|---|
바르셀로나 | 10 | 20 |
레알 마드리드 | 10 | 16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7 | 11 |
발렌시아 | 6 | 9 |
데포르티보 | 4 | 8 |
아틀레틱 빌바오 | 4 | 6 |
레알 소시에다드 | 1 | 3 |
스포르팅 히혼 | 1 | 3 |
셀타 비고 | 3 | 3 |
에스파뇰 | 3 | 3 |
베티스 | 2 | 2 |
아레나스 게초 | 1 | 1 |
알라베스 | 1 | 1 |
헤타페 | 1 | 1 |
말라가 | 1 | 1 |
마요르카 | 1 | 1 |
국적별[편집]
국가 | 선수 | 합계 |
---|---|---|
![]() |
47 | 78 |
![]() |
4 | 4 |
![]() |
1 | 4 |
![]() |
1 | 2 |
![]() |
1 | 2 |
![]() |
1 | 1 |
![]() |
1 | 1 |
세군다 디비시온[편집]
수상자[편집]
* 가야르도는 예비 수상자로 사후에 수상되었다.[1]
통계[편집]
선수별[편집]
선수 | 수상 연도 | 시즌 |
---|---|---|
![]() |
2 | 1985–86, 1987–88 |
![]() |
2 | 1991–92, 1995–96 |
![]() |
2 | 1994–95, 1997–98 |
구단별[편집]
구단 | 선수 | 합계 |
---|---|---|
에이바르 | 3 | 4 |
레크레아티보 | 3 | 3 |
카디스 | 2 | 2 |
메리다 | 2 | 2 |
레알 무르시아 | 2 | 2 |
세스타오 | 2 | 2 |
스포르팅 히혼 | 2 | 2 |
바야돌리드 | 2 | 2 |
알라베스 | 1 | 1 |
바다호스 | 1 | 1 |
레알 부르고스 | 1 | 1 |
카스테욘 | 1 | 1 |
엘체 | 1 | 1 |
에스파뇰 | 1 | 1 |
피게레스 | 1 | 1 |
지로나 | 1 | 1 |
그라나다 | 1 | 1 |
우에스카 | 1 | 1 |
라스 팔마스 | 1 | 1 |
레반테 | 1 | 1 |
예이다 | 1 | 1 |
말라가 | 1 | 1 |
마요르카 | 1 | 1 |
라요 바예카노 | 1 | 1 |
레알 소시에다드 | 1 | 1 |
국가별[편집]
국가 | 선수 | 합계 |
---|---|---|
![]() |
25 | 28 |
![]() |
2 | 2 |
![]() |
2 | 2 |
![]() |
1 | 1 |
![]() |
1 | 1 |
![]() |
1 | 1 |
참조[편집]
- ↑ 아이스하키의 평균실점률이나 야구의 평균자책점 산정 방식과 유사하다.
- ↑ 가 나 마르카는 1970-71 시즌과 1972-73 시즌에 두 명의 공동 수상자에게 트로피를 수여했다. 한 명은 경기당 실점률이 최소인 선수에게, 다른 한 명은 총 실점이 최소인 선수에게 수여했다.
- ↑ 1992-93 시즌에는 두 골키퍼가 0.01자리까지 경기당 실점률에서 동률을 이루었다. 동률인 선수들 간의 순위를 정하기 위해 출장 횟수를 고려할 경우, 리아뇨가 더 많이 출전해 유리했다. 0.001의 자리까지 경기당 실점률을 고려할 경우 카니사레스가 경기당 실점률이 더 낮아 유리했다. 마르카는 두 선수 모두에게 트로피를 수여했다.
각주[편집]
- ↑ “José Antonio Gallardo dies after eight days in coma”. El País.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