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스 오스트랄리스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 ||
궁수자리. 카우스 오스트랄리스는 ε이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엡실론(ε Sgr)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궁수자리 20 | |
밝은 별 목록 | HR 6879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69022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1009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0185 | |
다른 이름 | CCDM J18242-3423A, FK5 689, GC 25100, IDS 18175-3427 A, PPM 297655, WDS J18242-3423A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8h 24m 10.31840s[1] | |
적위(δ) | –34° 23′ 04.6193″[1] | |
겉보기등급(m) | +1.85[2] | |
절대등급(M) | –1.41[3]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5 km/s[4] | |
적경 고유운동 | –39.42 밀리초각/년[1] | |
적위 고유운동 | –124.20 밀리초각/년[1] | |
연주시차 | 22.76 ± 0.24 밀리초각[1] | |
성질 | ||
광도 | A: 63 / B: 0.89 L☉[3] | |
나이 | A: 2억 3200만 년[3] | |
분광형 | B9.5 III[5] | |
U-B 색지수 | +0.13[2] | |
B-V 색지수 | –0.03[2] | |
추가 사항 | ||
질량 | A: 3.515 ± 0.138 / B: 0.95 M☉[3] | |
반지름 | A: 6.8 R☉[6] | |
표면온도 | A: 9,960[7] / B: 5,807[3] K | |
표면 중력 (log g) | A: 4.50 cgs[8] | |
자전 속도 | A: 236 km/s[9] | |
항성 목록 |
카우스 오스트랄리스(Kaus Australis) 또는 궁수자리 엡실론(ε Sgr)[10][11]은 천구 남반구의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이다. 겉보기등급은 +1.85로[2] 궁수자리에서 가장 밝다. 시차 자료에 의하면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466 광년 (143 파섹) 떨어져 있다.
항성계
[편집]쌍성계 내 주성인 궁수자리 엡실론 A의 분광형은 B9.5 III로[5] 광도분류 III은 이 별이 중심핵에서의 수소 공급이 고갈되어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간섭계가 측정한 이 별의 각지름은 주연감광을 고려하여 보정했을 때 1.44 ± 0.06 밀리초각이다.[12]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대입하면 A의 물리적 반지름은 태양의 약 6.8 배이다.[6] 이는 경험적으로 얻어낸 값인 태양 반경 6.9 배와 거의 일치한다.[13] 질량은 태양의 약 3.5 배이며 외곽 대기의 유효 온도는 9960 켈빈으로 태양 광도의 363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다.[3] 이 온도에서 A는 청백색의 빛을 뿜는다.[14]
엡실론 A는 초속 236 킬로미터의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9] A는 10.5 ~ 130.5 가우스 범위 힘을 지닌 자기장을 갖고 있으며[15] 초당 1030 erg의 광도를 지닌 엑스선원이다.[3] 엡실론 계는 초과 적외선 방출을 보이는데 이는 별 주위에 먼지로 된 원반이 존재함을 뜻한다. 원반은 그 온도로 보아 항성으로부터 평균 155 천문단위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다.[16]
2001년 기준으로 반성 궁수자리 엡실론 B는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142.3° 위치에 2.392 초각만큼 떨어져 있다. 이 거리는 약 106 천문단위로 먼지 원반보다 안쪽이다. B는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95% 정도이다. 엡실론 계는 태양과의 거리로부터 예상했던 수치보다 높은 안시 선형편광 값을 보여주는데 이는 반성에서 나온 빛이 원반을 지나가면서 흩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17] 반성은 1993년 적응광학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하여 발견했으며, 그 전에는 B가 계의 스펙트럼에 일으키는 불규칙성을 주성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인식했었다.[18] 주성으로부터 32.3 초각 떨어진 곳에 또 다른 동반성으로 추정되는 후보 별이 하나 있다.[3]
명명법
[편집]전통적으로 불러오던 이름 카우스 오스트랄리스(Kaus Australis)는 아랍어 قوس ('카우스', 활)와 라틴어 austrālis ('아우스트랄리스', 남쪽)에서 유래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의 고유 명칭들을 표준화 및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9] 2016년 7월 WGSN이 최초로 고시한 항성명 목록에[20] 카우스 오스트랄리스가 포함되었으며 이 명칭은 계 구성원 중 A에 부여되었다.
궁수자리 엡실론(ε Sgr)은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이 별은 Thalath al Waridah (탈라스 알 와리다) 또는 Thalith al Waridah (탈리스 알 와리다)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와리다 중 세 번째라는 뜻이다.[21]
중화권에서 엡실론은 기수(箕宿)에 속해 있다. 기수는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 궁수자리 에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엡실론 하나만을 부르는 이름은 기수3(宿三箕)이다.[22]
카우스 오스트랄리스와 함께
-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 궁수자리 제타, 궁수자리 람다, 궁수자리 시그마, 궁수자리 타우, 궁수자리 피는 '찻주전자' 별자리를 구성한다.[23]
-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 궁수자리 에타는 '알 나암 알 와리드'(النعم الوارد, '나아가는 타조들')의 구성원들이었다.[24]
-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는 아카드어로 '신-눈-투' 또는 '시-누-툼'으로 불렸으며 그 뜻은 '제비'이다.[24]
카우스 오스트랄리스는 바빌로니아 천문학 개요서 물.아핀에 마.구르8로 수록되어 있으며 '짖는 소리'를 뜻한다.[25]
브라질 마투그로수주의 칼라팔루 족은 이 별과 전갈자리의 람다, 이오타, 세타, 누, 웁실론, 로를 통틀어 '타우기 쿠수구'로 부르며 그 뜻은 '타우기의 낚시 바구니'이다.[26]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100, Bibcode:1966CoLPL...4...99J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Hubrig, S.; Le Mignant, D.; North, P.; Krautter, J. (June 2001), “Search for low-mass PMS companions around X-ray selected late B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72: 152–164, arXiv:astro-ph/0103201, Bibcode:2001A&A...372..152H, doi:10.1051/0004-6361:20010452
- ↑ Evans, D. S. (June 20–24, 1966).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57쪽. Bibcode:1967IAUS...30...57E.
- ↑ 가 나 Houk, Nancy; Smith-Moore, M.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_3. Declinations -40_ƒ0 to -26_ƒ0》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3, Bibcode:1982mcts.book.....H
- ↑ 가 나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반지름(R*)은 다음과 같다.
- ↑ Zorec, J.; 외. (July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 ↑ Adelman, Saul J. (December 2004). 〈The physical properties of normal A stars〉. Zverko, J.; Ziznovsky, J.; Adelman, S. J.; Weiss, W. W. 《The A-Star Puzzle, held in Poprad, Slovakia, July 8-13, 2004》. 《IAU Symposium》 2004 (224)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쪽. Bibcode:2004IAUS..224....1A. doi:10.1017/S1743921304004314.
- ↑ 가 나 Royer, F.; 외. (October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I. Measurement of v sin i”,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3 (3): 897–911, arXiv:astro-ph/0205255, Bibcode:2002A&A...393..897R, doi:10.1051/0004-6361:20020943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February 2005),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2):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 ↑ Jerzykiewicz, M.; Molenda-Zakowicz, J. (September 2000), “Empirical Luminosities and Radii of Early-Type Stars after Hipparcos”, 《Acta Astronomica》 50: 369–380, Bibcode:2000AcA....50..369J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Bychkov, V. D.; Bychkova, L. V.; Madej, J. (August 2003), “Catalogue of averaged stellar effective magnetic fields. I. Chemically peculiar A and B typ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07 (2): 631–642, arXiv:astro-ph/0307356, Bibcode:2003A&A...407..631B, doi:10.1051/0004-6361:20030741
- ↑ Rodriguez, David R.; Zuckerman, B. (February 2012), “Binaries among Debris Disk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45 (2): 147, arXiv:1111.5618, Bibcode:2012ApJ...745..147R, doi:10.1088/0004-637X/745/2/147
- ↑ Cotton, D. V.; 외. (January 2016). “The linear polarization of Southern bright stars measured at the parts-per-million level”.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55 (2): 1607–1628. arXiv:1509.07221. Bibcode:2016MNRAS.455.1607C. doi:10.1093/mnras/stv2185.
- ↑ Golimowski, David A.; Durrance, Samuel T.; Clampin, Mark (March 1993), “Detection of an apparent star 2.1 arcsec from the circumstellar disk candidate Epsilon Sagittarii”, 《Astronomical Journal》 105 (3): 1108–1113, Bibcode:1993AJ....105.1108G, doi:10.1086/116498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35.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Archived 2011년 5월 22일 - 웨이백 머신
- ↑ “Teapot”. constellation-guide.com. 2017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 Rogers, J. H. (February 1998),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8 (1): 9–28, Bibcode:1998JBAA..108....9R
- ↑ Basso, Ellen B. (1987). 《In Favor of Deceit: A Study of Tricksters in an Amazonian Society》. Tucson, Arizona: University of Arizona Press. 360쪽. ISBN 0-8165-1022-9.
외부 링크
[편집]- (영어) Kaus Austra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