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오미크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궁수자리 오미크론
궁수자리 오미크론의 위치(화살표). 셀레스티아로 작성.
궁수자리 오미크론의 위치(화살표). 셀레스티아로 작성.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오미크론 (ο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궁수자리 39 (39 Sgr)
밝은 별 목록 HR 7217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7724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87643
소천성표 BD −21°5237
히파르코스 목록 HIP 93683
다른 이름 CCDM J19047-2144A, GC 26224, IDS 18587-2153, PPM 269274, ADS 11996, WDS J19047-2144A[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9h 04m 40.98177s[2]
적위(δ) −21° 44′ 29.3845″[2]
겉보기등급(m) +3.771[3]
절대등급(M) 0.625[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6.1±0.6 km/s[4]
적경 고유운동 +76.35±0.31 mas/yr[2]
적위 고유운동 −58.12±0.18mas/yr[2]
연주시차 22.96 ± 0.24 mas[2]
성질
광도 66.7±1.1 L[5]
나이 23억 9천만 년[6]
분광형 G9IIIb[7]
B-V 색지수 +1.012±0.008[4]
추가 사항
질량 1.80 M[6]
반지름 12.09+0.29
−0.17
R[5]
중원소 함량 (Fe/H) −0.04[3]
표면 중력 (log g) 2.66 cgs[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궁수자리 오미크론(ο Sgr)은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단독성이다.[8] 겉보기 등급은 +3.77로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노란색 빛을 낸다.[3] 이 별까지의 거리는 시차에 따르면 약 142 광년이다.[2] 오미크론은 초당 +26 킬로미터의 시선 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100만 년 전에 지구에 86 광년까지 접근했었다.[4]

오미크론은 황도로부터 0.86 도 북쪽에 자리잡고 있어 달이나 행성이 이 별을 가릴 때가 있다. 다만 지금까지 이 별을 가장 자주 가려 온 천체는 태양이다.(지금까지의 엄폐 시기는 1월 5일이었다.)[9] 따라서 이 별을 밤새 내내 볼 수 있는 시기는 이른 7월이다.

이 별의 분광형은 G9IIIb로 주계열을 탈출한 거성이다.[7] 구체적으로 레드클럼프 거성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이 별이 중심핵에서 헬륨 융합을 하는 수평가지 단계에 있음을 뜻한다.[10] 별의 나이는 23억 9천만 년이며[6] 질량은 태양의 1.8 배이다.[6] 반지름은 태양의 12 배까지 팽창한 상태이며 광구에서의 유효 온도는 4744 켈빈으로 전체 광도는 태양의 67 배이다.[5]

오미크론은 2010년 기준으로 방위각 252도 위치에 주성으로부터 38.4 초각 떨어진 곳에 겉보기 등급 13.8의 희미한 반성 하나를 거느리고 있다.[11]

이름과 어원[편집]

중화권에서 이 별은 두수의 건(建)을 구성하는 일원이다. 건은 궁수자리 오미크론 이외에 궁수자리 크시2, 파이, 43, 로1, 웁실론으로 구성된다. 이들 중 오미크론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건2(建二)이다.[12]

각주[편집]

  1. “omi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년 10월 9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Liu, Y. J.; 외. (2007), “The abundances of nearby red clump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2 (2): 553–66, Bibcode:2007MNRAS.382..553L, doi:10.1111/j.1365-2966.2007.11852.x.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5. Brown, A. G. A. (2018년 8월).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22. doi:10.1051/0004-6361/201833051. 2020년 1월 27일에 확인함. 
  6. Luck, R. Earle (2015),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 G and K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0 (3): 88, arXiv:1507.01466, Bibcode:2015AJ....150...88L, doi:10.1088/0004-6256/150/3/88. 
  7.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9. In the Sky Earth astronomy reference utility showing the ecliptic and relevant date as at J2000 - present
  10. Alves, David R. (August 2000), “K-Band Calibration of the Red Clump Luminosity”, 《The Astrophysical Journal》 539 (2): 732–741, arXiv:astro-ph/0003329, Bibcode:2000ApJ...539..732A, doi:10.1086/309278. 
  11. Mason, Brian D.; 외.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12.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좌표: 하늘 지도 19h 04m 40.98177s, −21° 44′ 29.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