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보기등급
(겉보기 등급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해서 구분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러 영국의 포그슨이 빛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1등급 별의 밝기는 6등급 별의 밝기의 약 100배임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6등급을 1등급보다 100배 어두운 별로 정의한다. 즉, 1등급 별보다 2등급 별은 1001/5 = 약 2.512배 어둡다.
절대등급은 항성의 본래의 밝기이며, 지구로부터 10파섹(약 32.6광년)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예를 들면 태양의 절대등급은 4.8등급이고,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다.
식[편집]
지구로부터 파섹의 거리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등급 와 절대등급 의 사이에는
의 관계가 있다.[1]
겉보기등급 표[편집]
밝기 | 천체 | 기준점 |
---|---|---|
−40.98 | 카시오페이아자리 로 | 1 AU 거리 |
−38.00 | 리겔 | 1 AU 거리, It would be seen as a large very bright bluish disk of 35° apparent diameter. |
−30.30 | 시리우스 | 1 AU 거리 |
−29.30 | 태양 | 근일점의 수성 |
−27.40 | 태양 | 근일점의 금성 |
−26.74 | 태양 | 지구[2], 보름달 보다 400,000배 밝다. |
−25.60 | 태양 | 원일점의 화성 |
−25.00 | 일반적인 눈에 약간의 통증을 일으키는 최소 밝기. | |
−23.00 | 태양 | 원일점의 목성 |
−21.70 | 태양 | 원일점의 토성 |
−20.20 | 태양 | 원일점의 천왕성 |
−19.30 | 태양 | 원일점의 해왕성 |
−18.20 | 태양 | 원일점의 명왕성 |
−16.70 | 태양 | 원일점의 에리스 |
−14.2 | 1 럭스의 밝기[3][4] | |
−12.90 | 보름달 | 근지점+근일점 보름달의 최대 밝기 (평균 거리 등급은 −12.74다,[5] though both values are about 0.18 magnitude brighter when including the opposition effect) |
−11.20 | 태양 | 원일점의 세드나 |
−10 | 이케야-세키 혜성 | 지난 1천 년간 가장 밝은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한다. (1965년) [6] |
−9.50 | 이리듐 인공위성 플레어 | 최대 밝기 |
−7.50 | 초신성 1006 | 역사에 기록된 가장 밝은 초신성 폭발 사건. (7200 광년의 거리)[7] |
−6.50 | 밤하늘의 전체 통합 등급 | 지구 |
−6.00 | 초신성 1054 | 6500 광년의 거리[8] |
−5.9 | 국제 우주 정거장 | 근지점, 완전히 태양에 의해 반사 될 경우[9] |
−4.89 | 금성 | 초승달 모양의 금성일 경우, 최대 밝기[10] |
−4.00 | 낮 시간 중 맨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 | |
−3.99 | 아다라 | 역사상 가장 밝은 별인 약 470만 년 전 최대 밝기. 앞으로 500만 년 이내에 이보다 더 밝게 빛나는 별은 지구 근처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지구에서 34광년 거리) |
−3.82 | 금성 | 합 일 경우, 최소 밝기 |
−2.94 | 목성 | 최대 밝기[11] |
−2.91 | 화성 | 최대 밝기[12] |
−2.50 | 태양이 지평선보다 10 ° 아래에 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희미한 천체 | |
−2.50 | 신월 | 최소 밝기 |
−2.45 | 수성 | 외합 일 경우, 최대 밝기 |
−1.61 | 목성 | 최소 밝기 |
−1.47 | 시리우스 |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별.[13] |
−0.83 | 용골자리 에타 | 1843년 3월 11일, 14일 당시 |
−0.72 | 카노푸스 | 두번째로 밝은 별.[14] |
−0.49 | 토성 | 고리가 전부 펼쳐지고, 충과 근일점의 최대 밝기 (2003년) |
−0.27 | 알파 센타우리 AB 항성계 | 전체 밝기 (세번째로 밝은 별) |
−0.04 | 아크투루스 | 네번째로 밝은 별[15] |
−0.01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망원경으로 봤을 경우, 네번째로 밝은 개개의 별 |
+0.03 | 베가 | 밝기의 기준[16] |
+0.50 | 태양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
1.47 | 토성 | 최소 밝기 |
1.84 | 화성 | 최소 밝기 |
3.03 | 초신성 1987A | |
3 ~ 4 | 육안으로 도시 인근에서 간신히 보이는 별 | |
3.44 | 안드로메다 은하 | [17] |
4.38 | 가니메데 | 최대 밝기[18] |
4.50 | 메시에 41 | [19] |
5.20 | 4 베스타 | 최대 밝기 |
5.32 | 천왕성 | 최대 밝기[20] |
5.72 | 삼각형자리 은하 | 광공해가 없는 매우 어두운 하늘 일 경우 볼 수 있다.[21][22] |
5.73 | 수성 | 최소 밝기 |
5.8 | 감마선 폭발 GRB 080319B | 2008년 3월 19일의 최대 밝기, 75억 광년 거리 (the "Clarke Event") |
5.95 | 천왕성 | 최소 밝기 |
6.49 | 2 팔라스 | 최대 밝기 |
6.50 | 좋은 환경에서 육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 6.5등급 까지 9,500개의 별이 있다.[23] | |
6.64 | 세레스 | 최대 밝기 |
6.75 | 7 이리스 | 최대 밝기 |
6.90 | 보데 은하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한계다.[24] |
7.0 ~ 8.0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한계 등급, 보틀 등급의 1급[25] | |
7.78 | 해왕성 | 최대 밝기[26] |
8.02 | 해왕성 | 최소 밝기 |
8.10 | 타이탄 | 최대 밝기[27][28], 평균 충 등급은 8.4다[29] |
8.94 | 10 히기에이아 | 최대 밝기[30] |
9.50 | 일반적인 조건에서 일반 7 × 50 쌍안경을 사용하여 보이는 가장 희미한 천체[31] | |
10.20 | 이아페투스 | 최대 밝기[28], (brightest when west of Saturn and takes 40 days to switch sides) |
12.91 | 퀘이사 3C 273 | 밝은 퀘이사 |
13.42 | 트리톤 | 최대 밝기[29] |
13.65 | 명왕성 | 최대 밝기[32], 6.5등급보다 725배 희미하다 |
15.40 | 2060 키론 | 최대 밝기[33] |
15.55 | 카론 | 최대 밝기 |
16.80 | 마케마케 | 현재 충 밝기[34] |
17.27 | 하우메아 | 현재 충 밝기[35] |
18.70 | 에리스 | 현재 충 밝기 |
20.70 | 칼리로에 | 목성의 ~ 8km 작은 위성[29] |
22.00 | Approximate limiting magnitude of a 24-inch (600 mm) Ritchey-Chrétien telescope with 30 minutes of stacked images (6 subframes at 300 seconds each) using a CCD detector[36] | |
22.91 | 히드라 | 최대 밝기 |
23.38 | 닉스 | 최대 밝기 |
25.00 | 펜리르 | 토성의 ~ 4km 작은 위성[37] |
27.60 | 목성 | 태양과 목성을 5000 AU 거리에 놓고, 지구에서 본 밝기[38] |
27.70 | 스바루 망원경같이 8m 지름의 지상 망원경과 10시간 노출 할 경우 가장 어두운 별[39] | |
28.20 | 핼리 혜성 | 태양 (28AU 거리, 2003년)[40] |
31.50 |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보이는 가장 어두운 별 (가시광선)[41] | |
35.00 | LBV 1806-20 | 이 별과 지구 사이 우주 공간에 있는 성간매질이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등급이 낮다. |
![]() |
각주[편집]
- ↑ 김대규; 김성진; 문연호; 박정일; 배미정; 이진우; 최승규; 한인옥 (2011). 《HIGH TOP 고등학교 과학》 1판. 두산동아. 8쪽.
- ↑ Williams, David R. (2004년 9월 1일). “Sun Fact Sheet”.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0년 7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 Dufay, Je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The Stars》. 3쪽.
- ↑ McLean, Ian S. (2008). 《Electronic Imaging in Astronomy: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Springer. 529쪽. ISBN 3-540-76582-4.
- ↑ Williams, David R. (2010년 2월 2일). “Moon Fact Sheet”.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0년 3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9일에 확인함.
- ↑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Winkler, P. Frank; Gupta, Gaurav; Long, Knox S. (2003).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The Astrophysical Journal》 585: 324–335. Bibcode:2003ApJ...585..324W. arXiv:astro-ph/0208415. doi:10.1086/345985.
- ↑ “Supernova 1054 – Creation of the Crab Nebula”. 《SEDS》.
- ↑ “ISS Information - Heavens-above.com”. Heavens-above. 2007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HORIZONS Web-Interface for Venus (Major Body=299)” (2006 February 27 (GEOPHYSICAL DATA)).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 2010년 11월 28일에 확인함. (Using JPL Horizons you can see that on 2013-Dec-08 Venus will have an apmag of −4.89)
- ↑ Williams, David R. (2007년 11월 2일). “Jupiter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1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Williams, David R. (2007년 11월 29일). “Mars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Siri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Canop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Arctur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Veg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SIMBAD-M31”.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Yeomans; Chamberlin.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Ganymede (Major Body 5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년 4월 14일에 확인함. (4.38 on 1951-Oct-03)
- ↑ “M41 possibly recorded by Aristotle”.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6년 7월 28일. 2009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Williams, David R. (2005년 1월 31일). “Uranus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0년 6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SIMBAD-M33”.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Lodriguss, Jerry (1993). “M33 (Triangulum Galaxy)”. 200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Shows bolometric magnitude not visual magnitude.)
- ↑ “Vmag<6.5”.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Messier 81”.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7년 9월 2일.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John E. Bortle (February 2001). “The Bortle Dark-Sky Scale”. Sky & Telescope.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Williams, David R. (2007년 11월 29일). “Neptune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0년 7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Yeomans; Chamberlin.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Titan (Major Body 6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년 6월 28일에 확인함. (8.10 on 2003-Dec-30) Archived November 13, 2012, - 웨이백 머신.
- ↑ 가 나 “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 Observatorio ARVAL. 2010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9년 4월 3일. 2009년 7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5일에 확인함.
- ↑ “AstDys (10) Hygiea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Zarenski, Ed (2004). “Limiting Magnitude in Binoculars” (PDF). Cloudy Nights. 2011년 5월 6일에 확인함.
- ↑ Williams, David R. (2006년 9월 7일). “Pluto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0년 7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AstDys (2060) Chiron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AstDys (136472) Makemake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AstDys (136108) Haumea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Steve Cullen (sgcullen) (2009년 10월 5일). “17 New Asteroids Found by LightBuckets”. LightBuckets. 2010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Sheppard, Scott S. “Saturn's Known Satellites”. Carnegie Institution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2010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Magnitude difference is 2.512 log10[(5000/5)2 × (4999/4)2] ≈ 30.6, so Jupiter is 30.6 magnitudes fainter at 5000 AU
- ↑ 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 by: The Editors of Sky Telescope, July 24, 2006
- ↑ “New Image of Comet Halley in the Cold”. ESO. 2003년 9월 1일. 2009년 3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2일에 확인함.
- ↑ 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