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알라미
아인알라미 | ||
궁수자리. 궁수자리 누(ν→ν¹+ν²)는 황도(하늘색 선) 위에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누¹(ν¹Sgr, Nu¹ Sgr)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궁수자리 32(32 Sgr) | |
밝은 별 목록 | HR 7116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74974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87426 | |
소천성표 | BD −22° 4907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2761 | |
다른 이름 | WDS J18542-2245.[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8h 54m 10.17695s[2] | |
적위(δ) | −22° 44′ 41.4247″[2] | |
겉보기등급(m) | +4.86[3] | |
절대등급(M) | −3.91[4] | |
위치천문학 | ||
적경 고유운동 | +2.59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8.41 mas/yr[2] | |
연주시차 | 2.90 ± 0.30 mas[2] | |
성질 | ||
분광형 | G2/K1 Ib/II + B9.2p[5] | |
U-B 색지수 | +1.34[3] | |
B-V 색지수 | +1.43[3] | |
항성 목록 |
아인알라미(Ainalrami) 또는 궁수자리 누¹(Nu¹ Sgr, ν¹ Sgr)은 지구로부터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1100 광년 떨어져 있는 다중성계이다.[6] 이 계의 구성원 셋은 각각 궁수자리 누¹ A(계의 명칭 아인알라미가 공식적으로 부여된 천체)[7], B, C[8]이다. 이들 중 A와 B는 각자가 다시 분광쌍성이다.[6]
명명법
[편집]궁수자리 누¹은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시한 이름이다.
궁수자리 누¹과 누²(둘을 합쳐 '궁수자리 누' ν Sgr로 표기)는 전통적 명칭 '아인 알 라미'로 불려 왔는데 이 명칭은 아랍어 عين الرامي (아인 알-라미, '궁수의 눈')에서 왔다.[9]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하고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10] WGSN의 명칭부여 규칙에 따르면 고유명칭은 계 전체가 아니라 계를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별에 붙이게 되어 있다.[11] 이 규칙에 따라 IAU는 2017년 9월 5일 고유명칭 아인알라미(Ainalrami)를 궁수자리 누¹ A에 부여했으며 현재 이 명칭은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7]
궁수자리 누¹과 누²는 궁수자리 타우, 궁수자리 프시, 궁수자리 오메가, 궁수자리 60, 궁수자리 제타와 함께 '알 우드히'(Al Udḥiyy, '타조들의 둥지')를 구성한다.[9]
속성
[편집]궁수자리 누¹은 분광형 K1의 밝은 거성으로 겉보기등급은 +4.86이다. 누¹은 극소변광성(microvariable)으로 2.3043일을 1주기로 0.0078 등급만큼의 밝기 진폭을 보인다.[12] 1982년 주성보다 더 뜨거운 반성 궁수자리 누¹ B가 발견되었으며 B의 분광형은 B9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13] A와 B는 약 370 일을 1주기로 질량 중심을 공전하고 있다.[6] 겉보기 등급 +11.2의 반성 궁수자리 누¹ C는[8] A-B로부터 2.5 초각만큼 떨어져 A-B를 공전하고 있다.[6]
각주
[편집]- ↑ “nu01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Lutz, T. E.; Lutz, J. H. (June 1977), “Spectral classification and UBV photometry of bright visual double stars”, 《Astronomical Journal》 82: 431–434, Bibcode:1977AJ.....82..431L, doi:10.1086/112066.
- ↑ Cardini, D. (January 2005), “Mg II chromospheric radiative loss rates in cool active and quie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303–311, arXiv:astro-ph/0409683, Bibcode:2005A&A...430..303C, doi:10.1051/0004-6361:20041440.
- ↑ Parsons, Sidney B.; Ake, Thomas B. (1998), “Ultraviolet and Optical Studies of Binaries with Luminous Cool Primaries and Hot Companions. V. The Entire IUE Sampl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19: 83, Bibcode:1998ApJS..119...83P, doi:10.1086/313152.
- ↑ 가 나 다 라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가 나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2011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Koen, Chris; Eyer, Laurent (2002), “New periodic variables from the Hipparcos epoch photometr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1: 45, arXiv:astro-ph/0112194, Bibcode:2002MNRAS.331...45K, doi:10.1046/j.1365-8711.2002.05150.x.
- ↑ Kondo, Y.; 외. (August 1982), “The early-type component in ν¹ Sagittarii”,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94: 647–649, Bibcode:1982PASP...94..647K, doi:10.1086/13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