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Qābūs bin Sa’īd Āl Sa’īd | |
---|---|
![]()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 |
오만 술탄국 제14대 술탄 | |
재위 | 1970년 7월 23일 ~ 2020년 1월 10일 |
오만 술탄국 초대 총리 | |
재위 | 1970년 7월 23일 ~ 2020년 1월 10일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40년 11월 18일 |
출생지 |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살랄라 |
사망일 | 2020년 1월 10일 | (79세)
국적 | 오만 술탄국 |
학력 |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
왕조 | 사이드 왕조 |
종교 | 이슬람교 |
군사 경력 | |
복무 | 오만 술탄국 국방부 |
복무기간 | 1970년 7월 29일 ~ 1989년 8월 21일 |
근무 | 오만 술탄국 총리실 |
최종계급 | 오만 술탄국 명예 육해공군 원수 |
지휘 | 오만 술탄국 국방부 장관 |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아랍어: قابوس بن سعيد آل سعيد Qābūs bin Sa’īd Āl Sa’īd, 문화어: 까부스 빈 싸이드, 1940년 11월 18일 ~ 2020년 1월 10일)는 오만 술탄국의 술탄(재위 : 1970년 7월 23일 ~ 2020년 1월 10일)으로, 총리, 국방장관, 외상, 재무상 등을 겸임해 오만에서 전제 군주로 군림하였다. 그는 18세기 이후에 지속된 알부사이디 오만 왕조 국가의 제14대 군주에 해당된다.
생애[편집]
카부스 빈 사이드는 대대로 술탄을 배출해온 오만 남부의 항구 도시 살랄라 출신으로, 영국의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를 나온 뒤, 1964년에 귀국하였다. 자신의 아버지인 당시 오만의 술탄이었던 사이드 빈 타이무르의 보수적인 정치 제도에 반대하여 1970년 7월 23일, 영국의 지원을 받아 궁 안에서 쿠데타를 일으켰고, 결과적으로 국왕을 축출하고 자신이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오만의 모든 국가 관련 권한과 실권은 오직 카부스 빈 사이드 군주 그만이 가지고 있기에 그는 쇄국 정책에 반대하여 1971년에는 오만을 유엔에 가입시키는 한편, 이바드파[1]의 관념에 근거하는 이슬람적 전통을 견지하면서 국왕 주도에 의한 근대화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2020년 1월 10일 향년 79세로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슬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슬람교의 한 분파
전임 사이드 빈 타이무르 |
오만의 술탄 1970년 7월 23일 ~ 2020년 1월 10일 |
후임 하이탐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오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