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캄보디아인
중국계 캄보디아인 ខ្មែរកាត់ចិន 柬埔寨華人 | |
캄퐁톰주에서 열린 결혼 축하 행사에 참석한 중국계 캄보디아인들 | |
총인구 | |
343,855명~700,000명[1][2] | |
언어 | |
크메르어 | |
종교 | |
민간신앙, 대승불교, 상좌부 불교, 기독교[3] | |
민족계통 | |
근연민족 | 화교 |
---|
중국계 캄보디아인(크메르어: ខ្មែរកាត់ចិន; 중국어: 柬埔寨華人)은 캄보디아 화교라고도 불리며 캄보디아의 중국계 후손이다. 크메르어 용어 크메르 캣 첸(크메르어: ខ្មែរកាត់ចិន)은 중국인과 크메르인이 혼혈인 사람들을 위해 사용되며, 첸 크메르(크메르어: ចិនខ្មែរ)는 중국 출신의 조상을 가진 캄보디아 태생의 시민을 의미한다. 크메르인은 캄보디아에서 가장 큰 민족으로, 첸은 "중국인"을 의미한다. 인도차이나를 정기적으로 방문했던 사절, 상인, 여행자, 외교관 등 중국인들과의 접촉은 공통의 시대가 시작된 이래 확실히 존재했다.[4][5][6] 그러나 캄보디아의 한족 공동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7] 한 세기에 걸친 정착촌 역사의 결과로 한족과 크메르족의 혼혈인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계 캄보디아인들도 캄보디아의 사업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늘날 캄보디아 경제를 지배하고 있다.[8][9][10][11] 게다가 캄보디아-한족 화교들은 많은 고위 정부 관료들과 일부 한족 혈통을 가진 정치 엘리트들로 캄보디아의 정치 현장에서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12][9][13][14][15]
인구 통계
[편집]2013년 캄보디아 정부의 기획부 통계에 따르면, 캄보디아 전체 인구 1,500만 명 중 0.1%에 해당하는 약 15,000명이 중국인으로 확인되었다.[2] 1년 후, 프놈펜의 중국 협회들은 약 70만 명의 캄보디아인들이 적어도 일부 중국계 혈통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한다.[16] 1962년에 실시된 정부 인구 조사에 따르면 163,000명의 캄보디아 국민이 중국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캄보디아 인구의 3%에 달한다. ECCC는 노로돔 시아누크 당시 왕세자가 1965년 캄보디아에 30만~43만5000명의 중국인으로 추산한 반면, CIA는 1975년 약 44만4000명의 중국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고 밝혔다.[17] 1961년 윌리엄 윌모트가 실시한 대학 현장 연구는 캄보디아에 42만 5천 명의 중국인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당시 전체 인구의 약 7.4%를 차지한다.[18] 윌모트는 캄보디아 시민권을 얻은 일부 중국인이나 혼인을 통해 크메르 사회에 동화된 중국 후손들이 정부 인구조사에서 크메르로 확인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19]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약 425,000명의 중국계 캄보디아인이 캄보디아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을 대표했다. 그러나 이 숫자는 1984년까지 61,400명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급속한 감소는 전쟁, 경제 침체, 크메르 루주 시대, 그리고 다른 정권의 기간들이 대량 이민을 야기한 것과 같은 원인의 축적에 기인한다.[20]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공식 인구조사에 따르면 중국인은 전체 도시 인구의 0.3%를 차지하며 대부분 프놈펜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중국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전체 농촌 인구의 0.0%에서 0.1% 사이를 변동했다.[2] 1963년 윌모트가 캄보디아 도시와 농촌에서 중국인을 연구한 결과 중국인의 59%가 도시와 마을에 살고 41%가 시골에 살고 있었다. 프놈펜의 중국 인구는 135,000명으로 도시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33.5%)이다.[18]
언어
[편집]많은 중국계 캄보디아 가정들은 만다린어가 점점 더 해외 중국인 비즈니스 커뮤니티의 주요 비즈니스 언어가 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자녀들에게 중국어를 배우게 한다. 한 가지 주요 요인은 중국의 세계적인 경제적 중요성의 상승과 많은 중국 캄보디아 사업가들은 만다린어를 캄보디아와 중국 본토 사이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경제적 연계를 참여하기 위한 유익한 자산으로 보고 있다.[21]
무역
[편집]동남아시아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중국인들은 사회의 모든 단계에서 캄보디아 상업을 지배한다.[22][23][8][24][25][26] 기업가적인 지식을 가진 중국인들은 문자 그대로 캄보디아의 경제 전체를 점령했다.[25] 중국인들은 토착 크메르인 다수파들에 대해 엄청난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제적 활력과 번영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4][25][27] 중국인 커뮤니티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사회경제적,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고 강력한 커뮤니티 중 하나이다. 이 공동체는 캄보디아의 전체 사업 부문을 지배하고 있으며, 소수 인구에 비해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있다. 강력한 경제적 중요성으로, 중국인들은 사실상 중국의 전체 부유한 엘리트들을 구성한다.[28] 이러한 구조 안에서, 경제 구조에서 한 사람의 위치가 자신의 민족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는 다원 사회로서의 캄보디아이다. 게다가, 중국계 캄보디아인들은 "상업을 전통적으로 경시해 온 가난한 토착 크메르인 노동자와 하층 계급과 대조적으로, 그들은 뚜렷한 민족 공동체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대체로 경제 계층을 형성한다."[26][29]
각주
[편집]- ↑ “Cambodia - the Chinese”.
- ↑ 가 나 다 “Cambodia Socio-Economic Survey 2013” (PDF).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Ministry of Planning, Government of Cambodia. July 2014. 12쪽. 2016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Willmott (1967), p. 38-9
- ↑ Martin Stuart-Fox (2003). 《A Short History of China and Southeast Asia: Tribute, Trade and Influence》. Allen & Unwin. 29쪽.
- ↑ Dougald JW O′Reilly (2007). 《Early Civilizations of Southeast Asia》. Altamira Press. 194쪽.
- ↑ John N. Miksic (2013년 9월 30일).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ISBN 9789971695583. 2018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Zhou Daguan (2007). 《A Record of Cambodia》. 번역 Peter Harri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ISBN 978-9749511244.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67–75쪽.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China-Cambodia: More than just friends?
- ↑ The China Beat (2008년 7월 31일). “The China Beat · Chinese in Cambodia”. Thechinabeat.org. 2012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Cambodia - The Chinese”. Countrystudies.us. 2012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78 & 90쪽.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华人在柬埔寨几度沉浮”. 2017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
- ↑ The rise and rise of a Cambodian capitalist
- ↑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74, 78 & 90쪽.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Moeun Nhean (2014년 1월 28일). “Chinese New Year: family, food and prosperity for the year ahead”. 《Phnom Penh Post》. 2015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Khmer Rouge Victims in Cambodia, 197501979 – A critical assessment of major estimates” (PDF). Extraordinary courts in the Chambers of Cambodia. 2009년 8월 10일. 47–49쪽. 00385243.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Willmott (1967), p. 16
- ↑ Willmott (1967), p. 110
- ↑ “The Chinese”. Country Studies.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74, 82–83쪽.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Chua, Amy L. (1998년 1월 1일). “Markets, Democracy, and Ethnicity: Toward A New Paradigm For Law and Development”. 《The Yale Law Journal》 108 (1): 21–22. doi:10.2307/797471. JSTOR 797471.
- ↑ E. Willmott, William (2009) [2009]. “The Chinese in Cambodia”. 《American Anthropologist》 (2009년 10월 28일) 70 (6): 1215–1216. doi:10.1525/aa.1968.70.6.02a00510.
- ↑ 가 나 Chan, Kwok (1991). 《Smoke and Fire: The Chinese in Montreal》.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67쪽. ISBN 978-9622014619.
- ↑ 가 나 다 Chua, Amy (2003).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37쪽. ISBN 978-0385721868.
- ↑ 가 나 Hays, Jeffrey (2015년 6월 15일). “Chinese in Cambodia After the Khmer Rouge”. 《Facts and Details》.
- ↑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Verver, Michiel (2012).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Cross-Currents: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Review》 1 (2): 291–322. doi:10.1353/ach.2012.0017.
- ↑ “Templates of "Chineseness" and Trajectories of Cambodian Chinese Entrepreneurship in Phnom Penh*”.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67쪽. 201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WorldChinese: Cambodia
- The Growing Cambodian-Chinese Alliance (with information on the Chinese community in Cambo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