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점에서 직선에 이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를 의미한다. 점에서 직선에 수선의 발을 내릴 때, 그 점과 수선의 발을 이은 선분의 길이와도 같다.
공식
[편집]직선의 방정식
[편집]직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x + by + c = 0
이 때 a, b, c는 모두 실수 상수이고 a와 b는 동시에 0이 될 수 없다. 이 직선에서 점 (x0, y0)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1][2]:p.14
이 때 점 (x0, y0)과 가장 가까운 직선상의 좌표, 즉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3]
수직선과 수평선의 경우
위에서 a와 b가 동시에 0이 될 수 없다고 했는데, 이 경우 직선이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a나 b 둘 중 하나만 0이 될 수는 있다. a가 0인 경우 직선의 방정식은 y = −cb이 되어 수평선의 형태를 띈다. 이 때 점 (x0, y0)로부터의 거리는 단순히 선분의 길이를 재면 되고, 그 결과 |y0 − (−cb)| = |by0 + c||b|로 나타난다. 이와 비슷하게 b만 0인 경우에는 직선이 수직선이 되어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ax0 + c||a|가 된다.
두 점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편집]방정식이 아니라 두 점 P1 = (x1, y1)과 P2 = (x2, y2)를 지난다고 정의된 직선의 경우를 한 번 살펴보자. 이 경우 점 (x0, y0)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4]
여기서 분모는 점 P1와 P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분자는 세 점 (x0, y0), P1, P2가 이루는 삼각형의 넓이의 2배와도 같다. 밑변의 길이가 b, 높이가 h라고 할 때 삼각형의 넓이가 A = 12 bh인 것을 생각해보자. 이 때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이 식에서 h를 남기고 나머지를 이항한 h = 2Ab과 다름 없다.
증명
[편집]대수적 증명
[편집]이 증명은 a와 b가 모두 0이 아닌 값을 가질 때만 사용 가능하다.
ax + by + c = 0이 나타내는 직선의 기울기는 −a/b이므로, 그 직선에 수직한 직선의 기울기는 b/a이다. 이 때 점 (x0, y0)을 지나고 기울기가 b/a인 직선이 ax + by + c = 0와 만나는 교점을 (m, n)이라 해보자. 그러면 기울기의 정의에 의해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다음의 식을 얻을 수 있다.
이제 다음을 생각해보자.
여기에 (m, n)이 ax + by + c = 0 위의 점이기 때문에 다음의 식도 성립한다.
즉 이 둘을 연립하면 아래의 식이 나온다.
유클리드 거리의 정의에 의해 (m, n)과 (x0, y0)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기하학적 증명
[편집]이 증명은 a와 b가 모두 0이 아닌 값을 가질 때만 사용 가능하다.[6]
점 P(x0, y0)에서 직선 Ax + By + C = 0에 내린 수선의 발을 R이라 하자. 또 P에서 y축에 평행한 직선을 내려 직선과 만나는 교점을 S라 하자. 직선에서 임의의 점 T를 잡아 우측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TVU를 만들자. 이 때 직선의 기울기는 -A/B로 쓸 수 있다.
∆PRS와 ∆TVU는 ∠PSR = ∠TUV인고로 세 내각이 모두 같아 서로 닮음이다.[7] 이에 따라 다음의 공식이 성립한다.
점 S의 좌표를 (x0, m)라 할 때 선분 PS, TV, TU의 길이를 고려하면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 때 S가 놓여있는 직선의 방정식을 알기 때문에 m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다음의 식을 얻는다.[8]
벡터의 사영을 사용한 증명
[편집]점 P(x0, y0)와 직선 ax + by + c = 0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싶다고 해보자. 이 때 직선에서 임의의 점 Q(x1, y1)을 잡고 이를 출발점으로 직선에 수직한 벡터 n=(a, b)을 잡는다. 점 P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를 n=(a, b)에 정사영한 길이와 같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므로 이다. 이므로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 때 Q(x1, y1)가 놓인 직선의 방정식을 알기 때문에 식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다.[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rson & Hostetler 2007, p. 452
- ↑ Spain 2007
- ↑ Larson & Hostetler 2007, p. 522
- ↑ Sunday, Dan. “Lines and Distance of a Point to a Line”. softSurfer. 2021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Between Certainty and Uncertainty: Statistics and Probability in Five Units With Notes on Historical Origins and Illustrative Numerical Examples
- ↑ Ballantine & Jerbert 1952 do not mention this restriction in their article
- ↑ If the two triangles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line, these angles are congruent because they are alternate interior angles.
- ↑ Ballantine & Jerbert 1952
- ↑ Anton 1994, pp. 138-9
참고 문헌
[편집]- Anton, Howard (1994), 《Elementary Linear Algebra》 7판, John Wiley & Sons, ISBN 0-471-58742-7
- Ballantine, J.P.; Jerbert, A.R. (1952), “Distance from a line or plane to a point”,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59: 242–243, doi:10.2307/2306514
- Larson, Ron; Hostetler, Robert (2007), 《Precalculus: A Concise Course》, Houghton Mifflin Co., ISBN 0-618-62719-7
- Spain, Barry (2007) [1957], 《Analytical Conics》, Dover Publications, ISBN 0-486-45773-7
읽을 거리
[편집]- Deza, Michel Marie; Deza, Elena (2013), 《Encyclopedia of Distances》 2판, Springer, 86쪽, ISBN 9783642309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