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학교

전문학교(專門學校, vocational school, trade school, career center, vocational college[1])는 교육기관의 일종으로, 국가에 따라 2차 또는 고등 교육기관을 가리킬 수 있으며[2] 보통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입학하는 특정한 직업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교육기관이다.
오스트레일리아[편집]
전문학교는 오스트레일라에서 테크니컬 칼리지(technical college)라고 부르며[3] VET(vocational educational training)에 특화된 20개 이상의 학교가 있다.[4]
캐나다[편집]
캐나다에서는 전문학교를 종종 칼리지(college)라고 부른다.[5] 그러나 칼리지는 대학교 학위의 일부를 제공하는 기관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중앙아시아 및 동유럽[편집]
PTU(ПТУ) 또는 technikum라 불리며 졸업후에는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한다.
대한민국[편집]
교육기관[편집]
- 구제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에 존재했던 기관이었다. 구제전문학교는 구제고등학교나 대학교 예과 과정과 동일한 학력으로 인정하며 학사과정인 대학교 본과에 입학할 수 있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국내 여러 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 고등전문학교는 고등학교과정(3년)과 전문대학과정(2년)을 통합한 5년 과정의 교육기관이었다. 1963년 도입되어 1979년 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 전문학교는 고등전문학교에서 고등학교과정(3년)을 제거한 전문대학과정(2년)의 고등교육기관이었다. 1970년 도입되어 1979년 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경찰전문학교[편집]
직업전문학교[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What are Vocational Schools?”. 《Study.com》 (영어). 201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Vocational Education in the US”. 《nces.ed.gov》. 201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TAFE) | Study in Australia”. 《Studies in Australia》 (미국 영어). 201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Department of Training and Workforce Development”. 《www.dtwd.wa.gov.au》 (영어). 201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Canadian Vocational Schools & Training Programs”. 《www.vocationalschools.ca》 (영어). 2018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경찰대학직제(대통령령 제609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