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암동
응암제1동 鷹岩第1洞 | |
---|---|
Eungam 1(il)-dong | |
![]() 응암제1동주민센터 | |
![]() | |
면적 | 1.20 km2 |
인구 | 32,994 명(2022년 2월) |
인구 밀도 | 27,500 명/km2 |
세대 | 14,925가구 |
법정동 | 응암동 |
통·리·반 | 32통 241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은평구 백련산로 179 |
웹사이트 | 응암1동 주민센터 |
응암제2동 鷹岩第2洞 | |
---|---|
Eungam 2(i)-dong | |
![]() 응암제2동주민센터 | |
면적 | 0.78 km2 |
인구 | 28,016 명(2022년 2월) |
인구 밀도 | 36,000 명/km2 |
세대 | 11,289가구 |
법정동 | 응암동 |
통·리·반 | 33통 209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은평구 백련산로 100 |
웹사이트 | 응암2동 주민센터 |
응암제3동 鷹岩第3洞 | |
---|---|
Eungam 3(sam)-dong | |
![]() 응암제3동주민센터 | |
면적 | 0.63 km2 |
인구 | 24,281 명(2022년 2월) |
인구 밀도 | 39,000 명/km2 |
세대 | 12,505가구 |
법정동 | 응암동 |
통·리·반 | 37통 248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천길 410-17 |
웹사이트 | 응암3동 주민센터 |
지명[편집]
응암동은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있는 커다란 바위의 생김새가 마치 매가 앉아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매바위(매바윗골)’에서 유래되었으며, 1949년 서울시에 편입되었다.[1]
연혁[편집]
- 조선: 한성부 연은방
- 1895년: 갑오개혁 당시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포반동, 와산동, 응암동이 됨
- 1911년 한성부 연은면 포반동, 응암동, 와산동
- 1914년 고양군 관내로 편입되면서 3개 동리가 합하여 하나의 응암리로 개칭
- 1949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편입, 은평출장소 설치
- 1950년: 응암동으로 다시 변경
- 1973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편입
- 1979년: 신설된 은평구로 이속
- 1988년 응암2, 3동을 응암2, 3, 4동으로 분동
- 2001년 11월 20일: 서대문구 북가좌동의 남청파인힐아파트 일대 지번[2]을 편입함.[3]
- 2008년 6월 응암2, 3, 4동을 응암2, 3동으로 재통합[4]
교육[편집]
교통[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