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 표기/Iceager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Iceager 님이 2004년 9월에 작성하셨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편집]

발음상의 예외 무시[편집]

외래어 표기법 제2장에는 현재 13개의 대조표가 있다.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비롯하여 일본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철자법 또는 부음기호에 따라 규칙적으로 발음을 예상할 수 있는 몇가지 언어에 대해 그 철자와 한글을 대조하는 표이다.

하지만 이를 단순히 따르는 데는 몇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 우선 표기규정의 기계적인 적용은 실제 발음과 동떨어진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다. 폴란드레흐 바웬사의 경우 표기규정을 따르면 "바웽사"로 적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인명표기 용례집에 보면 "바웬사"로 적게 되어 있다. 스웨덴케브네카이세 산의 경우, 표기 규정을 따르면 발음과 동떨어진 "셰브네카이세 산"으로 적게 되어 있는데, 이는 'k' 뒤에 'e', 'i', 'ä'가 오더라도 [k] 발음이 나오는 예외가 있다는 것을 대조표에 표시를 하지 않아서 나오는 경우이다. 이것도 지명표기 용례집에 보면 "케브네카이세 산"으로 적게 되어있다. 이는 13개의 대조표가 편리하긴 하지만 무조건 따를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규정의 애매모호함[편집]

또 표기 규정 자체가 애매해서 용례집에도 일관성이 없게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독일어에서 어말의 'ar'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외래어 표기 규정의 3장 2절 1항을 보면 독일어 어말의 [r]는 '어'로 적게 되어 있다. 그런데 거기 나오는 보기에는 어말이 'er', 'ur', 'ür' 등인 경우는 나오지만 'ar'으로 끝나는 경우는 나오지 않는다. 이 규칙을 무조건 적용하면 '아어'로 적어야 하겠는데, 문제는 지금까지 관용이 된 독일어 표기는 하나같이 'ar'는 '아르'로 적고 있다는 사실이다. 'Weimar'는 '바이마르'로, 'Saar'는 '자르'로 표기된다. 이는 지명표기용례집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인명표기용례집에 나오는 독일어 인명들을 보면 '아르'와 '아어'가 같이 쓰인다.

외래어 표기 용례집의 독일어의 'ar' 표기사례[편집]

  • Lothar
    • Wegener, Alfred Lothar. 베게너, 알프레트 로타르
    • de Maiziere, Lothar. 데메지에르, 로타어
  • Oskar
    • Hertwig, Oskar. 헤르트비히, 오스카르
    • Fischer, Oskar. 피셔, 오스카어
  • Ottmar
    • Mergenthaler, Ottmar. 머건탈러, 오트마르
    • Issing, Ottmar. 이싱, 오트마어

전체적으로 봤을 때 '아어' 표기가 약간 우세한 듯 하다. 그러나 위키백과에서는 관례인 '아르' 표기를 따르기로 한다. 영어를 제외한 기타 언어에서는 어말의 'ar'가 언제나 '아르'로 표기되고 특히 발음상 독일어와 유사한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등에서도 '아르'로 표기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아르' 표기가 '아어'보다 독일어 발음에 근접하기도 하다.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없는 언어의 한글표기[편집]

외래어 표기 규정은 러시아어그리스어에 대한 표기법을 마련해 놓지 않았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고시된 것은 아니지만 외래어 표기법 용례집을 만들 때 세칙 형태로 주어진 원칙이 있어 여기 일부 옮긴다. 이는 외래어 표기법은 아니지만 거기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다.

그리스어의 표기원칙[편집]

(여기 나오는 원칙은 고대 그리스어 표기에 적용된다.)

  • y는 '이'로 적는다. 예: Polybios 폴리비오스
  • ae, oe, ou는 각각 '아이', '오이', '우'로 적는다. 예: Achaea 아카이아, Delphoe 델포이, Epicouros 에피쿠로스
  • c와 ch는 [k]의 표기 방법에 따라 적는다. 예: Cercyra 케르키라 Aeschylos 아이스킬로스
  • g, c, ch, h 앞의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예: ancyra 앙키라

러시아어의 표기원칙[편집]

  • e는 모음 뒤 또는 어두에서 그 음가가 [je]인 경우가 있는바, 이러한 e는 '예'로 표기한다. 예: Enisei 예니세이, Nikolaev 니콜라예프
  • ii는 하나의 '이'로 적는다. 예: Chaikovskii 차이코프스키
  • 자음 앞 또는 어말의 y는 '이'로 적는다. 예: Kolyma 콜리마, Shakhty 샤흐티
  • y+모음은 '야', '예' 등으로 합쳐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으면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예: Yamal 야말, Pyotr 표트르
  • kh는 모음 앞에서는 'ㅎ'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흐'로 적는다. 예: Khiva 히바, Shakhty 샤흐티, Kazakh 카자흐
  • ch는 모음 앞에서는 'ㅊ'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치'로 적는다. 예: Chu 추, Ivanovich 이바노비치
  • sh는 뒤의 모음과 합쳐 '샤', '셰' 등으로 적되,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슈'로 적는다. 예: Shakhty 샤흐티, Ashkhabad 아슈하바트, Balkhash 발하슈
  • shch는 '시ㅊ/시치'로 적는다. 예: Khrushchyov 흐루시초프 (그러나 우크라이나어의 Yushchenko/Yuschenko는 '유셴코'로 표기)
  • zh는 모음 앞에서는 'ㅈ'로, 자음 앞에서는 '주/슈'로, 어말에서는 '슈'로 적는다. (다음항 참조) 예: Zhigansk 지간스크, Zhrau 주라우, manezh 마네슈
  • b, d, g, v, z, zh는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각각 p, t, k, f, s, sh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는다. 단, 지명의 -grad는 관용을 살려 '그라드'로 적는다.
  • 어말의 ng는 받침 'ㅇ'으로 적는다. 예: Rosing 로싱, flang 플랑
  • 어깻점 ’(연음부)이 있는 자음은 자음 또는 ya, yo, yu 앞에서, 그리고 어말에서 '이'를 붙여 적는다. 예: Gor’kii 고리키, drob’ 드로피
  • 단, ch’, sh’는 ya, yo, yu 앞에서는 각각 '치',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어깻점을 무시한다. 또, m’과 n’은 어말에서, l’은 모음과 자음 사이 또는 어말에서 어깻점을 무시하고 받침으로만 적는다. 예: Ch’ya 치야, Chitaesh’ 치타예슈, lin’ka 리니카, Kazan’ 카잔, L’vov 리보프(= 우크라이나어 L’viv 리비우), Il’ya 일리야, Vol’sk 볼스크, Gomel’ 고멜

된소리 표기의 제한[편집]

외래어 표기법 제1장 제4항은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아랍어, 산스크리트어, 태국어 등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구분이 중요한 언어에서 문제될 수 있다.

미해결 문제[편집]

[θ] 발음의 표기[편집]

영어의 think, 현대 그리스어의 θέμα 등의 첫 자음 [θ]의 표기는 특히 까다로운 문제이다. 외래어 표기법은 'ㅅ'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썩 만족할 만한 방법은 아니다. 'Thinktank'가 '싱크탱크'가 되고 'θέμα'는 '세마'가 되니 [θ] 발음 연상이 힘들다.

또 표기 용례집을 보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많다. 'MacArthur'는 '맥아더', 'Nathaniel'은 '너대니얼'로 쓰는 등 [θ] 발음을 쓸 때 'ㄷ'을 사용한 경우가 종종 있다. 순전히 표기법을 따르면 '매카서', '너새니얼'이 되니 어쩌면 이해할 만도 하다.

한편 표기법과는 다르지만 관습적으로 쓰이는 표기는 'ㅆ'이다. '씬 레드 라인', '싸우전드 아일랜드' 등의 경우가 그 예이다. 보통 [s] 발음에는 'ㅅ'을 사용하지만 음절 첫머리에 오는 [θ] 발음에는 'ㅆ'을 사용하는 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듯 하다. 다만 'south'에서와 같이 음절 끝에 [θ] 발음이 올 때는 그냥 'ㅅ'을 쓰는 것(예: 사우스)이 좋을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럴 때 문제는 외래어 표기법과 달라지는 표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특히 영어 이름에서 많이 달라진다. 그러니 현재로서는 외래어 표기법을 따라 'ㅅ'을 쓰는 것으로 통일하되 여러 의견을 계속 수렴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영어 이름 Joseph의 표기[편집]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는 언제나 '조지프'를 쓰고 있다. 하지만 보통 많이 쓰이는 '조세프'보다 원 발음에 가깝다고 하기도 어려워서 외래어 표기법에 한 쪽이 더 충실한 것은 아니다. 참고로 여기서 's'는 [s] 발음도 되고 [z] 발음도 되고 뒤의 모음은 [ə] 발음과 [i] 발음이 둘 다 쓰인다. 일부러 생소한 '조지프'를 쓰는 것보다 '조세프'를 쓰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여러 나라의 지명[편집]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공용어는 러시아어였다. 그러므로 소련 해체 이전의 소련 지명은 러시아어로 국제적으로 알려졌다. 외래어 지명 표기 용례집에는 옛 소련 지역의 지명을 거의 하나같이 러시아어 식 표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된 지 10여 년이 지난 시점에도 러시아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독립한 여러 나라들의 지명에 러시아어를 고집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정치적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또 지명의 표기는 현지어 발음을 따른다는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에도 어긋난다. 그러므로 위키백과는 현지어가 러시아어가 아닌 경우 러시아어식 표기에서 탈피하도록 한다.

위키백과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지어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현지어 명칭 러시아어 명칭 비고
Беларусь 벨라루스(O) Белорусь 벨로루시(X) 옛 러시아어 표기. 현재는 러시아어로도 Беларусь로 쓴다.
Vilnius 빌니우스(O) Вильнюс 빌뉴스(X) 리투아니아의 수도
Харків 하르키우(O) Харьков 하리코프(X) 우크라이나의 도시

그러나 현지어도 아니고 러시아어도 아닌 명칭(흔히 영어식 명칭)이 굳어진 경우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명칭 현지어 명칭 러시아어 명칭 비고
Lituania 리투아니아(O) Lietuva 리에투바(X) Литва 리트바(X) 라틴어식 표기
Latvia 라트비아(O) Latvija 라트비야(X) Латвия 라트비야(X) 영어식 표기
Armenia 아르메니아(O) Հայաստան 하야스탄(X) Армения 아르메니야(X) 라틴어식 표기

현지어와 어원이 완전히 다른 러시아어 명칭이 굳어져 있으며 국제적으로 통일된 명칭이 없는 경우는 결정을 보류한다.

현지어 명칭 러시아어 명칭 비고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사카르트벨로(?) Грузия 그루지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여러 국명의 어원은 페르시아어의 구르지(Gurj)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