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생물학
![]() |
|

우주생물학(宇宙生物學, astrobiology)은 생물의 탄생과 진화의 과정을 규명하여,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외계 생물의 존재 여부와, 이런 생물들의 생명 유지 활동이 일어나는 기작에 대하여 예측하는 학문이다.
개요[편집]
외계 생물에 대한 현대 이전의 추측[편집]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예로부터 있어왔다. 서양에서는 이미 1600년에 이탈리아의 신학자인 조르다노 브루노가 외계 생물의 존재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주장한 바 있었고,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도 독자적으로 외계 생물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조선의 실학자인 홍대용이 처음으로 외계 생물의 존재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외계 생물의 존재 가능성은 이후, 생물권의 개념과, 이에 근거한 행성 거주가능성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져, 우주생물학의 탄생을 촉발시켰다.
우주생물학의 탄생[편집]
우주생물학(astrobiology)을 처음으로 학문적인 영역에서 진지하게 언급한 인물은 영국의 생물학자인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였고, 우주생물학이라는 학문을 처음으로 탄생시킨 인물은 미국의 천문학자인 칼 세이건이었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