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엔 베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티엔 베주
출생 1730년 3월 31일(1730-03-31)
프랑스 프랑스 센에마른주 느무르(프랑스어: Nemours)
사망 1783년 9월 27일(1783-09-27)(53세)
프랑스 프랑스 센에마른주 아봉(프랑스어: Avon)
국적 프랑스 프랑스
주요 업적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분야 수학
소속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에티엔 베주(프랑스어: Étienne Bézout, 1730 – 1783)는 프랑스의 수학자다.

생애[편집]

1730년에 공무원이었던 아버지 피에르 베주(Pierre Bézout)와 어머니 엘렌잔 필즈(프랑스어: Hélène-Jeanne Filz)에게 태어났다.

1764년에는 한 논문에서 행렬식을 사용하였다. 1779년에 《대수방정식론》(프랑스어: Théorie générale des équations algébriques)을 출판하였고, 여기서 베주 정리를 언급하였다.

18세기의 여러 대수학자들은 연립차방정식을 풀기위해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다루었는데, 대표적으로 오일러(1748)와 베주(베조,1764)가 있다. [1] 특히 베조는 두 개의 이변수 방정식으로부터 종결식을 생성해 낸 오일러의 방법을 기반으로, 행렬을 체계화하여 사용하는변수 개 연립방정식으로부터 하나의 변수를 갖는 하나의 방정식을 찾아내는 연구를 했는데, 개 미지수를 갖는 개 방정식으로 구성된 연립방정식의 종결식으로 확장시켰다.[1] 종결식이라는 이름은 베조가 최초로 사용하였지만 오일러와 베조 모두는 종결식을 연립일차방정식의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2]

또한 이러한 연립방정식 풀이에서 행렬을 사용하는 중요한 아이디어로 인해, 1853년에 실베스터는 연립방정식의 계수 행렬식을 Bezoutiant라고 불렀다.[3]

그 후 종결식은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에 의해 두 방정식의 계수들로 이루어진 행렬식으로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1843).[4]

업적[편집]

각주[편집]

  1. http://society.kisti.re.kr/sv/SV_svpsbs03VR.do?method=detail&menuid=1&subid=11&cn2=KSHSBA_2013_v26n2_3_14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6 no.2/3, 2013년, pp.149-161 ,연립방정식 풀이의 역사발생적 고찰-종결식을 중심으로(최은미)
  2. J. Gathen and J. Gerhard,Modern computer algebra,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3.,p196
  3. 1764년에 발 표된 두 번째 논문 (Sur le degré des équations résultantes de l’évanouissement des inconnues)
  4. http://scholar.ndsl.kr/schArticleDetail.do?cn=JAKO201134953224676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v.24 no.4, 2011년, pp.143-155 ,Eun-Mi Choi(최은미)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