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붉은쥐
![]() | ||||||||||||||||||||
![]() 애기붉은쥐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podemus argenteus (Temminck, 1844) | ||||||||||||||||||||
아종 | ||||||||||||||||||||
|
애기붉은쥐(학명: Apodemus argenteus)는 붉은쥐의 일종이다.[2] 일본에서만 발견된다.
특징[편집]
꼬리 길이 74~101mm를 제외한 몸길이가 75~94mm인 작은 설치류로 발 길이는 18~21mm, 귀 길이는 12.5~16mm이다. 몸무게는 최대 15.2g이다.[3]
생태[편집]
준 수상성 동물이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일본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2,500m 이하 저지대와 산지림의 식물이 울창한 성숙림에서 서식한다.
아종[편집]
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4]
- A. a. argenteus - 홋카이도, 혼슈, 규슈, 시코쿠, 고토 열도 후쿠에시와 나카도리, 아와지섬, 야쿠섬, 다네가섬, 긴카산섬, 아와시마섬, 사도가섬, 쇼도섬, 이쓰쿠시마섬
- A. a. celatus (Thomas, 1906) - 오키 제도의 도고섬과 니시노시마섬
- A. a. sagax (Thomas , 1908) - 쓰시마섬
각주[편집]
- ↑ Cassola, F. (2016). “Apodemus argente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42642A115198737. doi:10.2305/IUCN.UK.2016-3.RLTS.T42642A22424490.en. 2019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PECIES Apodemus argenteu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Kanagawa, Japan H. Abe, N. Ishii, T. Ito, Y. Kaneko, K. Maeda, S. Miura & M. Yoneda, A Guide to the Mammals of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1977, ISBN 978-4- 486-01802-5 . Other projects
- ↑ J. R. Ellerman & TCs Morrison-Scott, Checklist of Paleartic and Indian Mammals 1758-1946 ,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