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딘화 나트륨
보이기
| |||
NaI(Tl) scintillators
| |||
식별자 | |||
---|---|---|---|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8.800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aI | |||
몰 질량 | 149.894[1] | ||
겉보기 | white solid deliquescent[1] | ||
냄새 | odorless | ||
밀도 | 3.67 g cm−3[1] | ||
녹는점 | 661 °C (1,222 °F; 934 K) [1] | ||
끓는점 | 1,304 °C (2,379 °F; 1,577 K) [1] | ||
1587 g/L (0 °C) 1842 g/L (25 °C) 2278 g/L (50 °C) 2940 g/L (70 °C) 3020 g/L (100 °C)[2][3] | |||
용해도 | ethanol, acetone[1] | ||
띠간격 | 5.89 eV[4][5] | ||
자화율 (χ)
|
−57×10−6 cm3 mol−1[6] | ||
굴절률 (nD)
|
1.93 (300 nm) 1.774 (589 nm) 1.71 (10 µm)[7] | ||
구조[8] | |||
Halite, cF8 | |||
Fm3m, No. 225 | |||
a = 0.6462 nm
| |||
단위 세포 화학식 (Z)
|
4 | ||
Octahedral | |||
열화학[9] | |||
열용량 (C)
|
52.1 J mol−1 K−1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98.5 J mol−1 K−1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287.8 kJ mol−1 | ||
기브스 자유 에너지 (ΔfG˚)
|
−286.1 kJ mol−1 | ||
위험 | |||
주요 위험 | Irritant, can harm the unborn child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1] | ||
GHS 그림문자 | |||
신호어 | 위험 | ||
H315, H319, H400 | |||
P273, P305+351+338[10]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Non-flammable |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Sodium fluoride Sodium chloride Sodium bromide Sodium astatide | ||
다른 양이온
|
Lithium iodide Potassium iodide Rubidium iodide Caesium iodide Francium iodide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아이오딘화 나트륨(분자식: NaI)은 산화 나트륨의 따뜻한 수용액에 아이오딘을 작용시켜 만드는 무색 결정이며 대개 의약으로 쓴다. 녹는점은 661℃이며, 끓는점은 1304℃이다.
용해도
[편집]H2O | 184 |
액체 암모니아 | 162 |
액체 이산화황 | 15 |
메탄올 | 62.5 - 83.0 |
폼산 | 61.8 |
아세토나이트릴 | 24.9 |
아세톤 | 28.0 |
포름아미드 | 57 - 85 |
아세트아미드 | 32.3 |
다이메틸폼아마이드 | 3.7 - 6.4 |
[11] |
같이 보기
[편집]참고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Haynes, p. 4.86
- ↑ Seidell, Atherton (1919). 《Solubiliti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c. 2》. D. Van Nostrand Company. 655쪽.
- ↑ Haynes, p. 5.171
- ↑ Miyata, Takeo (1969). “Exciton Structure of NaI and NaBr”. 《Journal of the Physical Society of Japan》 27 (1): 266. Bibcode:1969JPSJ...27..266M. doi:10.1143/JPSJ.27.266.
- ↑ Guizzetti, G.; Nosenzo, L.; Reguzzoni, E. (1977). “Optical properties and electronic structure of alkali halides by thermoreflectivity”. 《Physical Review B》 15 (12): 5921–5926. Bibcode:1977PhRvB..15.5921G. doi:10.1103/PhysRevB.15.5921.
- ↑ Haynes, p. 4.130
- ↑ Haynes, p. 10.250
- ↑ Davey, Wheeler P. (1923). “Precision Measurements of Crystals of the Alkali Halides”. 《Physical Review》 21 (2): 143–161. Bibcode:1923PhRv...21..143D. doi:10.1103/PhysRev.21.143.
- ↑ Haynes, p. 5.36
- ↑ “Sodium iodide 383112”. 《Sigma Aldrich》.
- ↑ Burgess, J. "Metal Ions in Solution" (Ellis Horwood, New York, 1978) ISBN 0-85312-0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