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호테프 2세
아멘호테프 2세
| |
---|---|
이집트 제18왕조의 제7대 파라오 | |
재위 | 기원전 1425년 ~ 기원전 1400년 |
전임 | 투트모세 3세 |
후임 | 투트모세 4세 |
신상정보 | |
사망일 | 기원전 1400년 |
왕조 | 이집트 제18왕조 |
부친 | 투트모세 3세 |
모친 | 메리트르-핫셉수트[1] |
배우자 | 티아(Tiaa) |
아멘호테프 2세(Amenhotep II)는 이집트 신왕국 제18왕조의 제7대 파라오이다. 아메노피스 2세(Amenophis II)라고도 한다.
한 때 투트모세 3세가 하트셉수트를 역사에서 지우고 그녀의 기념물들을 파괴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아멘호테프 2세가 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멘호테프 2세는 자신의 왕비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기록하지 않았으며, 아문의 신의 아내와 같은 칭호를 폐지하고, 여성의 강력한 직함과 공적 역할과 지위들을 없앴던 것으로도 확인되었다. 이집트 학자들은 그가 여성의 직함 등으로 인해 여성들이 너무 강력해졌다고 느꼈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가 없앤 여성과 관련한 직함들 중 일부는 그의 아들인 투트모세 4세의 치세 동안에 회복되었다.[2]
왕권 승계 과정
[편집]투트모세 3세는 말년에 이르자 아들 아멘호테프 2세가 자신처럼 섭정의 굴욕을 당하지 않고[3] 또 후계 체제를 확고하게 세우기 위해 공동 통치를 추진한 뒤 기원전 1400년에 사망했다.
성경과의 연관성
[편집]아멘호테프 2세는 재위 3년차인 기원전 1422년 아시아로 1차 원정을 떠났고,[4] 재위 9년차인 기원전 1416년에는 마지막 원정을 떠났는데[5] 비석의 기록에 따르면 아멘호테프가 이 원정에서 101,128명의 노예들을 잡아왔다고 하지만 확실치는 않다.[6][7] 아멘호테프 2세는 출애굽의 파라오로 자주 주장된다.[8] 이 노예들 중 일부가 이집트를 탈출하여 가나안으로 도망쳤을 수도 있다고 보아 출애굽이 그의 치세 동안에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9][10]
레데시예 사원(Temple of Redesiyeh)의 람세스 2세의 아버지 곧, 부왕인 세티 1세(기원전 1290–1279년)의 군사 원정 목록에서 므깃도와 가데스 사이의 땅이 아셀과 발음이 유사한 "i-ś-r"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아셀 지파와 동일시하는 학자들이 있다는 것[11][12], 그리고, 최근에는 메르넵타의 비문이 아니라 호렘헤브나 람세스 2세의 치세 동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베를린 비문(Berlin Pedestal Relief 또는 ÄM 21687)이 이스라엘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고 이에 따라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등장한 시기 또는 초기 이스라엘 사회가 가나안에서 형성된 시기가 기원전 13세기 말(기원전 1200년 무렵)이 아니라 기원전 13세기 초(기원전 1300년 무렵)나 기원전 14세기 중엽(기원전 1350년 무렵)부터였다고 주장되기도 한다는 것[13]을 고려하면, 그의 치세 동안에 출애굽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상당하다.
이외에도, 기원전 14세기의 기록인 아마르나 문서/서신(Amarna Letters)에서는 가나안에서 반란, 전쟁 등을 일으키는 하비루(히브리; Habiru)/아피루(Apiru)를 기록하는데, 출애굽을 그의 치세로 보는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삼는다. 참고로, 출애굽에 회의적인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가나안 내부에서 난을 일으키던 이 하비루/아피루들이 외곽 지역인 고원 지대로 도피해 이곳에서 초기 이스라엘을 형성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하비루가 이스라엘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은 현대 학계에서는 거의 정설처럼 작용하고 있다.
참고 문헌
[편집]- ML; Bierbrier. The Tomb-builders of the pharaohs. British Museum Press:London(1989)).
- James Bakie A. History of Egypt. NY:Macmillan Company (1929) 236).
- Hayes, ‘Internal Affairs’ in Cambridge Ancient History, 2.1, 333-34).
각주
[편집]- ↑ 메리트르-하트셉수트(Merytre-Hatshepsut)는 이집트 제18왕조 제5대 여성 파라오 하트셉수트와 전혀 다른 사람이다.
- ↑ Gardiner, Sir Alan (1961).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Clarendon Press. p. 198.
- ↑ 투트모세 3세는 29세까지 23년 동안 투트모세 2세 부인인 하트셉수트에게 섭정당했다.
- ↑ Gardiner, Alan. Egypt of the Pharaohs. p. 200.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 ↑ Gardiner, Alan. Egypt of the Pharaohs. p.202.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 ↑ Peter Der Manuelian, Studies in the Reign of Amenophis II, p.76. Hildesheimer Ägyptologische Beiträge 26, Gerstenbeg Verlag, Hildesheim, 1987.
- ↑ Manuelian, Peter der (1987). Studies in the Reign of Amenophis II. Verlag: Hildesheimer Ägyptologische Beiträge (HÄB). p. 77.
- ↑ 성경시대 역사탐방<56> 출애굽 당시 이집트왕 아멘호텝 2세, 장인수 박사(D.Min., Ph.D.) 성서역사배경연구학회 소장(The Biblical-Historical Backgrounds Institute)
- ↑ Douglas Petrovich. "Amenhotep II and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Pharaoh". biblearchaeology.org.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 ↑ "Who Was the Pharaoh of the Exodus?". 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 ↑ Muller, Asien und Europa nach Altägyptischen Denkmälern (Leipzig, 1893), 237.
- ↑ 물론, 이를 아셀 지파로 식별하는 것에 반대하는 학자들도 있다. 아셀 지파가 이스라엘로 귀화한 외국 민족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는데, 이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때 가나안으로 이주한 바다 민족(Sea Peoples)인 웨쉐시(Weshesh)와 동일한 민족으로 식별한다.
- ↑ Zwickel, Wolfgang & van der Veen, Pieter. (2017). The Earliest Reference to Israel and Its Possibl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Vetus Testamentum. 67. 129-140. 10.1163/15685330-1234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