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그룹
![]() | |
원어 | Citigroup Inc. |
---|---|
형태 | 주식회사 |
ISIN | US1729674242 |
산업 분야 | 은행업, 금융 서비스 |
창립 | 1812년 6월 16일[1] |
창립자 | Sanford I. Weill ![]() |
본사 소재지 | 뉴욕주 뉴욕 맨해튼 애비뉴 파크 399 |
핵심 인물 | Michael Corbat (CEO) John C. Dugan (회장) |
제품 | 신용 카드 소매은행 업무 도매은행 업무 투자은행 업무 글로벌 자산 관리 재무분석 사모 펀드 |
매출액 | 889억 3,000만 달러 (2020) |
영업이익 | 136억 달러 (2020년) |
113억 7,000만 달러 (2020) | |
자산총액 | 2조 2,260억 달러 (2020) |
종업원 수 | 210,000명 (2020년) |
자회사 | Banamex, CitiMortgage 시티은행 CitiBranded Cards Citi Private Bank Citi Securities & Banking Morgan Stanley Smith Barney (49%) Nikko Citigroup Railmark Holdings Salomon BIG Sedna Finance |
자본금 | 743억 달러 (2020년) |
시장 정보 | NYSE: C S&P 100 구성 요소 S&P 500 구성요소 |
웹사이트 | 공식 사이트 |
씨티그룹(영어: Citigroup Inc.)은 미국의 대형 금융 서비스 기업이다.
개요[편집]
1998년 4월 7일, 미국계 은행인 씨티코프(Citicorp)와 금융서비스 그룹인 트래블러스 그룹(Travelers Group)의 일대일 합병에 의해 생겨났다. 씨티코프의 존 S. 리드와 트래블러스의 샌포드 I. 워일이 최고경영자의 역할을 분담했다. 그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최고의 존경을 받아왔으며, 이러한 리더십의 공유가 궁극적으로 고객과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여겨졌다.[2] 1975년 OPEC 회원국에서 유입된 오일달러는 113억 달러였는데, 이 돈은 씨티그룹을 비롯한 미국의 대형은행 7곳에 예치되어 있었다. 물론 씨티그룹이 가장 많은 오일달러를 유치했다. 석유파동과 오일달러 유입이라는 겉보기에 우연한 이 사건이 10년 뒤 씨티그룹의 국내외 대출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일단 씨티그룹은 유입된 오일달러를 아르헨티나, 브라질, 에콰도르, 멕시코, 페루,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등에 대출해주면서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수수료와 예대마진을 챙길 수 있었다.[3]
2007년 3월〈포브스 글로벌 2000〉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총 자산 2조 4천억 달러(2007년 9월 기준)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회사이다. 세계적으로 332,000여 명의 사원이 분포되어 있으며, 100개 이상의 국가에 2억 개가 넘는 고객 계좌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 국채의 주 딜러이고, 1997년부터 2009년까지는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의 구성 종목에 포함되어 있기도 했다. 주식의 단일 최대주주는 아부다비 정부가 운영하는 투자기관인 아부다비투자청이다. 이 국부펀드는 씨티그룹이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따른 손실 만회를 위해 대규모 상각을 발표한 이후, 2007년 말 75억 달러의 자본을 회사에 투자하는 대가로 4.9퍼센트의 지분을 얻어 최대 주주가 되었다. 씨티그룹의 제2대 주주는 3.6퍼센트의 지분을 갖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자 Al-Waleed bin Talal 소유의 킹덤지주회사(Kingdom Holding Company)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 이후 경영난을 겪어 다이너스 클럽을 2008년 7월 디스커버에 매각하였다.
정보[편집]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한 부실 투자로 회사 순이익이 무려 57% 격감하자, 최고경영자이자 회장직을 맡고 있던 척 프린스는 2007년 11월 4일 사임했다. 씨티그룹은 척 프린스의 갑작스런 사퇴 후 적당한 CEO 후계자가 없어 당황하였다. 씨티그룹의 유럽시장을 이끌었던 윈 비스코프(Win Bischoff)를 임시 CEO로 임명했지만, 비크람 팬디트(Vikram Pandit) 현 CEO가 임명(12월 11일)되기 전까지 한 달이 넘도록 최고경영자 없이 위기와 맞서 싸워야 했다.[4] 윈 비스코프도 같은 날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씨티그룹은 직급별로 다양하고 우수한 인재를 끌어들였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은 그 자체로도 씨티그룹의 거대한 자산이기도 하다. 그 자체로 씨티그룹은 관련 조직과 협력하면서 대학생, 졸업생, 전문가 등 다양한 인재를 모집한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itibank.com”. citibank.com. 2011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워렌 베니스 외 (2002). 《퓨처리더십》. 최종옥 옮김. 생각의 나무. 211쪽. ISBN 978-89-8498-171-3.
- ↑ 로버트 D. 매닝 (2002). 《신용카드 제국》. 참솔. 114쪽. ISBN 89-88430-26-3.
- ↑ 정동일 교수 (2009년 5월 15일). “당신 회사엔 지금 CEO 승계 계획이 있나”. 조선일보사. 2011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0일에 확인함.
- ↑ 궁후이민 (2008). 《人의 경영》. 문현선 역. 매직하우스. 400쪽. ISBN 978-89-960379-4-1.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씨티그룹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