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횡단 철도
시베리아 횡단 철도(러시아어: Транссибирская магистраль)는 러시아의 우랄산맥 동부의 첼랴빈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약 9288km의 대륙횡단철도이다.[1] 정식명칭은 대시베리아철도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노선을 포함해 야로슬라브스키 역부터 블라디보스토크 역까지의 9,297km 구간을 지칭하며, 또한 넓은 의미로는 몽골 횡단 철도, 만주횡단철도(동청철도)·바이칼-아무르 철도(제2 시베리아 횡단 철도)까지 포함해 시베리아 횡단 철도라고 부른다.
모스크바에서 시베리아까지의 구간은 1956년부터 2001년까지는 모스크바로부터 북동쪽 방향으로 모스크바~야로슬라블~키로프~페름~예카테린부르크를 경유하는 노선을 사용하였다. 2001년부터는 그보다 남쪽의 모스크바~블라디미르~니즈니노브고로드~키로프~페름~예카테린부르크 노선을 이용한다. 로시야 호는 모스크바의 야로슬라브스키 역을 출발하여 블라디보스토크 역까지 약 7일간에 걸쳐서 주파한다. 항공기가 등장하기 전에는 동양과 서양을 잇는 연락운송에 있어서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었다. 동양과 서양을 걸치는 노선이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몽골과의 직통운전도 있다.
역사[편집]
시베리아 철도를 건설하는 안은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가 완성된 후인 1859년에 이미 생겨났다. 이 철도는 극동지방의 군사적 의의의 증대, 식민, 대중국무역 등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이 계획은 1850-1860년대에 최초로 시작되었다. 예정선은 시베리아 가도를 따라 건설하기로 계획하고 1887년에 조사해, 1891년-1892년에 걸쳐 착공하고 1897년 부분적으로 개통되었다. 철도의 전철화는 1929년에 개시해서, 2002년에야 전 구간이 완료되었다.
이동 코스[편집]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해 6박 7일을 달려 종착역인 모스크바에 도착할 때까지 총 60여 개의 역에서 정차한다. 시베리아횡단선은 아시아대륙 동쪽의 끝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해 중국 북부를 지나 바이칼호를 남으로 끼고 이르쿠츠크, 노보시비르스크, 옴스크, 예카테린부르크를 거쳐 우랄산맥을 넘어 모스크바, 그리고 길게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그리고 핀란드의 헬싱키까지를 이어주는 철도이다.
- 주요 연결 도시
블라디보스토크 | → | 하바롭스크 | → | 울란우데 | → | 이르쿠츠크 | → | 크라스노야르스크 | → |
![]() |
![]() |
![]() |
|||||||
노보시비르스크 | → | 옴스크 | → | 예카테린부르크 | → | 페름 | → | 모스크바 | |
![]() |
![]() |
![]() |
![]() |
![]() |
각주[편집]
- ↑ 〈시베리아 철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Siberia鐵道 '시베리아 횡단철도'라고도 불린다. 보통은 유럽과 극동을 연결하는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톡간의 9,334km를 가리키지만 정식으로는 우랄산맥 동부의 첼야빈스크-블라디보스톡간의 약 7,400km의 철도를 말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편집]
- 이광희,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연결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같이 보기[편집]
- 아시아 고속도로(AH)
- 아시아 횡단 철도(TAR)
- 남북철도 연결사업(TKR)
- 몽골 종단 철도(TMR)
- 동청철도(CER)
- 바이칼-아무르 철도
- 바라놉스키-하산 선
- 만주횡단철도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시베리아 횡단 철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
- 러시아 철도 공식사이트-Российские желеэные дороги Archived 2018년 10월 11일 - 웨이백 머신
- Trans-Siberian Railway, national geographic expeditions
- Trans-Siberian Railway: a view from Moscow to Vladivostok – a photo essay (27 December 2016), The Guardian. Photographs of "life on board the Trans-Siberian Railway, and beyond the carriage window."
- Russian Railways official website
- Overview of passenger travel today
- “A 1903 map of Trans-Siberian railway”.
- Guide to the Great Siberian Railway (1900)
- Mikhailoff, M. (May 1900). “The Great Siberian Railway”. 《the North American Review》 170 (522).
- Manley, Deborah, 편집. (January 2009). 《The Trans-Siberian Railway: A Traveller's Anthology》. ISBN 1-904955-49-5. 2012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Winchester, Clarence, 편집. (1936), 〈The Trans-Siberian Express〉, 《Railway Wonders of the World》, 451–57쪽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route and the train
- Trans-Siberian Train № 1 "Russia". Depart Fast Train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