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프포독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프포독심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6R,7R)-7-{[(2Z)-2-(2-amino-1,3-thiazol-4-yl)-2-methoxyimino-acetyl]amino}-3-(methoxymethyl)-8-oxo-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80210-62-4
ATC 코드 J01DD13
PubChem 6335986
드러그뱅크 DB01416
ChemSpider 4891496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5H17N5O6S2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Cefpodoxime proxetil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50%
단백질 결합 21~29%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미미함, 세프포독심 프록세틸은 에서 세프포독심으로 대사됨
생물학적 반감기 2시간
배출 대사되지 않은 채 콩팥으로 배설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B1(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세프포독심(Cefpodoxime)은 경구용 3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이다. 여러 그람 양성균음성균에 모두 효과가 좋으나, 녹농균, 엔테로코커스,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등에는 효과가 없다. 급성 중이염, 인두염, 부비동염, 임질 등에 보통 사용한다. 세프트리악손 같은 정주 세팔로스포린이 더 이상 치료에 필요하지 않을 때, 경구 약제로 치료를 지속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한다.

세프포독심은 세균 세포벽 형성 과정에서 펩티도글리칸 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한다. 경구 생체이용률은 약 50%이며 음식과 함께 복용 시 상승한다. 성인에서 반감기는 2~3시간이며 신부전 환자에서는 반감기가 늘어난다. 승인된 적응증지역사회획득 폐렴, 단순 피부 및 연조직 감염, 단순 요로감염증 등이다.

1980년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사용 승인된 것은 1989년이다.[1]

활성 범위[편집]

세프포독심은 임질, 편도염, 폐렴, 기관지염 치료에 쓰인다. 몇몇 주요 미생물의 최소 저지 농도(MIC)는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2]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