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이강철/관리자 당선 기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리자 당선 기준 조정 제안[편집]

여러 차례 관리자 당선 기준을 완화하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제자리 걸음이었습니다. 그래서 전체적인 역사를 검토해보고, 앞으로 어떻게 했으면 좋을지 사용자들의 의견을 모았으면 합니다. 이 논의는 관리자 당선 기준 완화 (현행: 3/4이상 및 찬성 20표)에만 초점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논의[편집]

아래의 모든 시각은 한국 표준시에 따릅니다. 대화는 편의상 평어체 내지는 반말체로 하였습니다. 실제의 토론은 아래와 다르므로 다른 사용자 분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2007년 지침 제정[편집]


2009년 지침 개정[편집]

  • 2008년 12월 13일 ~ 09년 2월 14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3#관리자_당선_기준의_변경_요청
    • 영어위키백과처럼 70~80% 범위로 두는 경우, 사무관에게 결정권을 주는 것이 사무관에게 상당한 부담을 줌 - Hun99
    • 50인 이상의 투표를 요구하자. - BongGon
      • 49명이 참여하여 불성립하는 투표가, 반대 1명으로 성립하는 아이러니. - Chongdae
    • 75% 이상에 대해서는 총의가 형성되었으므로 75% 이상시 당선으로 수정 - Mhha
  • 2009년 2월 14일 - 특수:차이/2554400/2878238 : 사무관의 판단에 의한 결정권 폐지. 찬성-반대>=20 규정 삭제. - Mhha
    • 찬성 >= 유효투표의 3/4


  • 2009년 2월 21일~5월 4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3#20표_이상_삭제토론부터 아래의 모든 문단
    • 찬성-반대>=20 폐지하자. - Mhha
    • 과반수 이상(50%이상) 5표 차이로 하자 - Yknok29
    • 과반으로 관리자 뽑는 위키 없어. 유효 투표 중 찬성 2/3~3/4 보완책으로 찬성-반대>=20 도입. 대안으로 유효투표 중 찬성 3/4와 찬성>=20으로 완화 제안 - Hun99
    • 여러 의견 산술 평균하여, 60% 하자 - Mhha
      • 4월 30일의 성급한 변경에 반대 - tiens



  • 2009년 4월 30일 14:48 - 특수:차이/3182067/3185920 : 총의 없는 당선자 결정 규정 변경. - Mhha. 이 변경은 Kwj2772 사용자가 철회함.
    • 찬성 >=유효투표의 60% AND 찬성>=20

2009~2017년 총의 실패[편집]

  • 2009년 12월 15일~20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5#관리자_선출_조건을_완화합시다.
    • 찬성>=유효투표 2/3 AND 찬성>=20표으로 낮추자 - adidas
    • 찬성 >=40표로 두자 - BongGon
    • 영어는 70%- 낙선/ 70~80% 사무관 재량 / 80%+ 당선
      프랑스어는 사무관 재량
      독일어는 찬성>=유효투표의 2/3 AND 찬성>=50표
      일본어는 찬성>=75%
      중국어는 찬성>=80%
      선거 기준보다 정치적 견해가 다른 사용자들을 공격하는 선거 문화가 우려. 과거의 시비를 가리는 결투장 안 돼.
      찬성-반대>=20표, 찬성 >=20표으로 변경이면 충분. -Hun99


  • 2011년 2월 11일~14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5#최소_유효_투표_수
    • 찬성-반대>=20표를 유효 투표>=20표으로 변경하자 - 쿨쿨
    • 인터넷에서의 투표는 재적(투표 정원)이 없어, 현재의 규정이 이미 실질 최소 유효 투표 수로 작용. - ChongDae
    • 일본어 찬성>=10표, 중국어>=찬반도합 25표, 독일어 찬성>=50표. 한국어 위키백과의 성장에 따라 조정하면 될 것, 현실 세계와 연동할 필요 없어. - hun99
    • 위키백과가 더 성장해도 사용가능해야한다. 투표의 역설은 없어야 한다. 현재의 규정은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 위한 규정. -- ChongDae



  • 2011년 8월 19일 ~ 9월 2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6#관리자_선거_기준을_제대로_논의합시다.
    • 소수인 1/4의 사용자의 투표에서의 영향력이 과대 반영된다.
      관리자 잘못 뽑는다고 위키백과가 붕괴되지는 않는다. 사회적으로도 2/3 정도의 찬성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다수.
      투표하는 사용자가 입후보한 사용자를 평가할 자질은 되는가? 스스로가 그러한 자질을 가지고 있으면 왜 관리자 선거에 나오지 않는가?
      (스스로는 선거에 입후보하지 않으며, 이유 없이 반대 의견을 날리는 사용자 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강철)
      찬성>=50%, 투표자, 후보자 모두 30일 기여 20회
      찬성>=75%, 66%, 50% 이 셋 중에 하나와 투표자, 후보자 모두 90일, 기여 1000회. - Hijin6908
    • 90일, 1000회에 동의 - Bonafide2004
    •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같을 필요는 없다. 현행 기준을 완화하는데는 동의한다. 66%를 제일 선호. - SHION
    • 기여수가 절대적으로 좋은 관리자 자질이라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1000회 미만이지만 적극적으로 활동해온 사용자로써 유감 - Bfrenzwithme
    • 반대 25%는 위키백과 참여자가 늘어나며, 자연적으로 희석되어 높지 않은 기준이 될 것. 투표권 기준은 60일, 500회를 제안. - 이강철
    • 찬성-반대>=20 폐지하자. - 더위먹은민츠
      • 근래 대부분의 투표가 총 투표 40표 이상이라 사실상 사문화 - 이강철
        • 그럼 삭제 하자 - 더위먹은민츠

  • 2012년 10월 4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6#관리자_당선_기준_하락
    • 찬성55%로 낮추자 - 스T로폼(자업자득36699284)
      • 현재 특별한 문제 이유 없어, 55%의 근거는? - ChongDae
      • 타당한 사유 없어 - 가람

  • 2013년 2월 18일~20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7#당선_기준을_'득표_차이'만_조정 및 다음 문단
    • 찬성-반대>=15로 바꾸자. - 관인생략
    • 총투표 40표 이상이라 죽은 규정. 개정 의미 없어. - hun99
    • 아예 찬성-반대>=20을 없애자 - Nuevik
      • 그건 너무 나감 - 관인생략
        • 20표는 안전장치로 보여 차라리 찬성>=20 어떤가? - ChongDae
    • 70%, 찬성-반대>=15로 하자 - 관인생략
      • 나쁘지 않지만, 관리자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더 중요 - hun99

  • 2013년 9월 12일~10월 6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_절차/보존3#선출_기준_낮추기
    • 찬성>=70%, 찬성-반대>=15 표로 하자. - 관인생략
      • 1/2, 2/3, 3/4 등 사회적으로 합의된 기준과 괴리. 수학적 조정에 불과. 큰 의미 없어. - hun99
    • (2009년에)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사무관의 재량권이 제거되면서 발생한 문제.
      영어위키백과는 사무관이 찬성과 반대에서 합당하지 않은 의견을 제하고, 판단할 수 있었음.
      다른 위키미디어재단 프로젝트에서도 기본값은 75%, 공동체의 합의로 70%로 조정가능 - Sotiale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사무관의 결정에 조차 불복하고, 사무관 권한 회수 투표를 발의하는 등의 부작용이 예상 75% 기준 유지 선호 - 아사달.
    • (이후 총의 선언 없이 종결)

  • 2015년 9월 2일~6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7#당선_요건
    • 현행보다 낮추자 - Leedors
    • 찬성-반대>=10으로 낮추자 - 노닉

  • 2017년 3월 11일~13일 - 위키백과:사랑방_(일반)/2017년_제10주#관리자_당선_기준_완화_논의_재개하였으면_합니다
    • (2009년 12월 15일에 제기한) 찬성>=유효투표 2/3 AND 찬성>=20표으로 낮추자. 이후 고작 8명 증원 - adidas
    • 1/2로 낮추자 - Leedors
    • 찬성-반대>=20표를 찬성-반대>=15,10표로 하거나 폐지하자 - 책읽는달팽
    • 신뢰의 문제 때문에 현행 유지하자 - 이강철
    • 과거 사례 고려할 때, 완화에 회의적 - Jtm71
    • 관리자에게 여러 역할이 공동체에 의해 기대. 권한 오용의 피해 우려 커.
      관리자 선출은 권한을 올바르게 사용할 것이라는 공동체의 신뢰의 표시.
      대개 당락선과 먼 지점에서 결과 확정.
      공동체의 신뢰 반영. 관리자가 올바르게 일을 처리할 것인지에 비중을 두어야 - IRTC1015
    • 반대1표, 찬성3표 동등의 상황 개선해야 - Jjw
    • '관리자 권한 오용안하면 시켜주자'가 아니라 '모범적이고 실수하지 않을 사용자만 관리자로 뽑자'는 것이 문제 - ChongDae
    • 너무 높은 당선 기준이 관리자의 권력화를 조장한다. 3/5로 낮추자. - Ellif

  • 2017년 3월 18일~7월 23일 - 위키백과토론:관리자_선거/보존7#선거_당락_기준
    • 여기서 논의 이어가자. - Leedors
    • 사회 통례에 따라 2/3이상 찬성으로 하자 - 콩가루
      • 1/3 반대 괜찮은가? - ChongDae
        • 2/3 찬성과 3/4 찬성 사이의 표 차이 적어 - Tablemaker
          • 32명이 있으니, 현행유지 - 일단술먹고합시다
            • 그 사람들은 어디에, 관리자 도움이 필요한 공간에서 체감해 보셨는지? - Tursetic
              •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관리자들을 정리하는게 먼저 - 일단술먹고합시다
    • 관리자가 책임지는 일이 많아, 현행 기준 유지 - KingKenny1967
      • 1/3과 1/4는 9% 차이, 큰 차이 없어. 찬성 2/3 지지 - Tablemaker

2017년 지침 개정[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