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반왕
사반왕
沙伴王 | |
---|---|
제7대 백제 국왕 | |
재위 | 234년~234년 |
전임 | 구수왕 |
후임 | 고이왕 |
부왕 | 구수왕 |
이름 | |
휘 | 부여사반(扶餘沙伴) |
이칭 | ? |
별호 | ? |
시호 | 없음 |
묘호 | 없음 |
신상정보 | |
출생일 | ? |
출생지 | ? |
사망일 | 234년 |
사망지 | ? |
부친 | 구수왕 |
모친 | ? |
배우자 | ? |
자녀 | ? |
사반왕(沙伴王, 생몰년 미상, 재위: 234년 ~ 234년)은 백제의 제7대 국왕이다. 사이비왕(沙伊沸王) 또는 사이왕(沙伊王)으로도 부른다. 구수왕의 장남이다.
재위 기간에 왕족 종실인 부여고이가 섭정하였고, 재위한 지 1년 만에 살해당했다. 《삼국유사》와 달리 《삼국사기》에서는 왕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가 죽고 70년만에 즉위한 비류왕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생애[편집]
구수왕이 234년에 사망하자, 장남인 사반왕이 제7대 임금이 되었다. 그러나 5대 초고왕의 동생 또는 동생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는 고이왕에게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폐위되었다. 삼국유사에는 사이비왕(沙伊沸王) 또는 사이왕(沙伊王)으로 나온다. 그 후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학계에서는 왕으로 즉위하고 얼마 안되어 고이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것으로 보아, 폐위 직후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반왕이 폐위되고 고이왕이 즉위할 때 왕실 방계(傍系)의 강제력이 작용했고, 고이왕을 지지한 전라도의 진씨(眞氏) 세력이 사반왕을 지지한 충청도의 해씨(解氏) 세력을 몰락시킨 것으로 학계에서는 평가한다.
비류왕과의 관계 논란[편집]
삼국사기에 의하면 사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자 비류왕의 형이다. 비류왕과 사반왕 사이에는 7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나므로 형제 여부에 관하여 이견이 있다. 《삼국사기》에서 비류왕의 아버지로 지목하는 구수왕과 형으로 지목한 사반왕이 물러난 뒤 70년만에 즉위하여 40년을 통치했다고 한다.
가계[편집]
외부 추가 정보[편집]
참고[편집]
전 대 구수왕 |
제7대 백제 어라하 234년 |
후 대 고이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