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준
![]() | |
---|---|
![]() 2013년 11월 《MBC 가요베스트》 녹화 현장에서 공연 중인 박일준 | |
기본 정보 | |
본명 | 박양엽 |
출생 | 1954년 5월 31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69세)
직업 | 가수 작사가 영화배우 뮤지컬 배우 음반 프로듀서 기업가 |
장르 | 대중음악, 트로트 |
활동 시기 | 1977년 ~ 현재 |
악기 | 보컬, 기타 |
배우자 | 임경애 |
가족 | 슬하 1남 1녀 (아들 박형우 목사, 딸 박혜나) 손녀 박예닮, 김아린 손자 박예찬, 김아준 |
종교 | 불교[1] |
박일준(朴一埈, 개명전 이름은 박양엽(朴良燁), 1954년 5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한때 배우로도 활약하였다.
외모로 알 수 있듯이 한국인과 흑인의 혼혈이다.
생애[편집]
박일준은 1954년 5월 31일 서울에서 출생하였고[2][3] 1977년 레스 백스터와 라이처스 브라더스가 불렀던 《Unchained Melody》를 번안한 《오! 진아》라는 곡으로 가수로서 첫 데뷔하였다. 싱어송라이터 겸 영화배우 김상범이 프로듀싱한 음반으로 데뷔한 그는 당시 혼혈 가수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1991년 영화사업에 실패하며 이에 따른 과음으로 간경화 증세를 갖게 됐고, 2002년 간경화에 따른 심각한 식도정맥 파열로 생명에 위협을 받았으나 몇 달간의 입원 끝에 다행히 호전되어 건강을 되찾았다. 퇴원 후 3년만에 2005년 12월 트로트 앨범 《왜!왜!왜!》를 발표하였다. 이후 선배가수 김국환 등과 아울러 트로트 음악 가수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서울 동대문구에서는 2013년 7월 3일 박일준을 구 홍보대사로 위촉을 하기로 하였다.[4]
앨범[편집]
- 1집 《오! 진아》(1977년)
- 2집 《잘 가요/파란 마음/아가씨》(1978년)
- 3집 《누나야/당신뿐인데》(1979년)
- 4집 《꽃네야/타인의 가방》(1980년)
- 5집 《닻/참아야만 하겠지》(1981년)
- 6집 《잊을길 정말 없어요/누가 와 나를 찾으면》(1983년)
- 7집 《아내의 기도/분홍빛 사연은 모르지만》(1985년)
- 8집 《그사람/이세상 끝까지》(1986년)
- 9집 《사랑은 3.14/너는 지금 어디에》(1991년)
- 10집 《박일준 노래모음 제2집》(2005년)
- 11집 《2008 트위스트 박》(2008년)
- 12집 《꽃바람 불면》(2011년)
- 13집 《남자도 가끔 / 올레길 / 꽃바람 불면》(2012년)
- 14집 《박일준》(2012년)
- 15집 《놀아봅시다》(2014년)
- 16집 《한박자 쉬고》(2016년)
- 17집 《꽃네야,타인의 가방》(2016년)
- 18집 《닻,참아야만 하겠지》(2016년)
- 19집 《미웠다가 그리웠다가》(2018년)
- 20집 《죽고 못 사는 웬수 / 이젠 너의 삶이다》(2019년)
- 21집 《인생은》(2022년)
영화 출연[편집]
홍보대사 활동[편집]
수상[편집]
각주[편집]
- ↑ https://www.youtube.com/watch?v=Tb4PkQvlW2o
- ↑ 네이버. “네이버 인물 정보 - 박일준”. 2014년 3월 6일에 확인함.
- ↑ 김문 (2006년 4월 18일). “[김문기자가 만난사람] 14년만에 재기 혼혈가수 박일준”. 서울신문. 12면. 2014년 3월 6일에 확인함.
1954년 서울 출생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국민일보, 서울 동대문구 홍보대사 박일준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한국 가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