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손실 JPEG
무손실 JPEG는 1993년 정지 화상 전문가 그룹이 무손실 압축을 위해 만든 JPEG 표준의 추가판이다. 그러나 정지 영상 전문가 그룹이 개발한 모든 무손실 압축 프로젝트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JPEG 2000과 JPEG-LS를 모두 포함한다.
무손실 JPEG[편집]
무손실 JPEG은 손실 압축 방식의 JPEG 표준과는 완전히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1993년에 개발한 JPEG의 이후 버전이다.
JPEG-LS[편집]
JPEG-LS는 연속적인 톤(continous-tone)이미지를 위한 무손실 혹은 근접무손실 압축 표준이다.[1] 공식적인 명칭은 ISO-14495-1/ITU-T.87이다.[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HP Labs LOCO-I/JPEG-LS 홈페이지”.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2005년 5월 13일. 2011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T.87 : 정보기술 – 연속적인 톤 정지 화상의 무손실 및 근접무손실 압축 – Baselin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년 10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JPEG 2000 정지 화상 부호화 vs. 다른 표준
- JPEG2000, JPEG-LS, 흑백 이미지의 다른 무손실 코덱
- JPEG-LS 홈페이지
- LOCO-I 홈페이지
- JPEG-LS 안의 HP의 LOCO 기술 라이선스 조항 (free reg. req.; not sublicensable; available only to companies) Archived 2019년 12월 26일 - 웨이백 머신
- 다양한 구현 링크
- 단일 톤/흑백 JPEG-LS 인코더 알고리즘
- JPEG-LS 평가,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39, NO. 10, OCTOBER 2001
![]() |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