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디킨소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킨소니아
화석 범위:
에디아카라기
디킨소니아 화석 표본
디킨소니아 화석 표본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전관절동물문
강: †디플루에로조아
과: †디킨소니아과
속: 디킨소니아속
(Dickinsonia)
Sprigg, 1947
  • D. costata (Sprigg, 1947)
  • D. menneri(Keller, 1976)
  • D. tenuis(Glaessner & Wade, 1966)

디킨소니아(학명Dickinsonia)는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에서 선캄브리아대 에디아카라기 후반에 나타났다 멸종한, 동물을 매우 닮은 유기체의 한 속이다. 에디아카라 생물군에서 잘 알려진 구성원 중 하나이다. 디킨소니아 각 개체는 좌우대칭의 길게 늘어진 타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어디에 속한 분류군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성장 단계를 볼 때에 좌우대칭동물의 초기 분기군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1] 다른 가설도 제시된 상태이다.[2][3][4] 디킨소니아는 에디아카라기 후기 (선캄브리아대 후반)에 나타났다.[5] 디킨소니아의 화석표본에서 나온 콜레스테롤 분자의 발견은 디킨소니아가 '동물'임을 뒷받침해주는 증거가 된다.[6] 그러나 이 결론은 아직 오리무중에 있다.[7]

형태[편집]

디킨소니아의 화석표본은 사암 층에 그대로 찍힌 채 인상화석(흔적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다. 모식표본은 몸 길이가 수 mm에서 최대 1.4m에 이르기도 한다. 일부는 몸 두께가 1mm에서 수 mm에 이르기도 한다.[8] 디킨소니아는 그 모습이 좌우대칭에 체절화되고 동그랗거나 타원형, 또는 몸의 한 끝으로 약간 확장되어 있는 모습이다(달걀형). 갈빗대 모양의 마디는 끝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을 향해 방사 형태로 기울어진 형세를 띠고 있으며 마디의 넓이와 길이는 화석의 넓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증가한다.[9][10] 몸체는 정중앙의 능선부나 홈으로 인해 둘로 쪼개지며,[9][10][11] 한쪽 끝의 쌍이 맞지 않은 마디를 제외하면 '최전면부'(anterior most unit)라 불리는 부위가 이 유기체의 앞쪽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11]

이성질엽(isomer)으로도 불리는 이 마디들은 미끄럼 반사에 따라 제각기 상쇄하는 식으로 나열되어 있는지[9][10][12][13], 아니면 마디가 중심부로는 대칭이어서 진짜 좌우대칭인 것인지는 여전히 논쟁 거리이다. 화석에서 보이는 포개진 마디들은 화석 뒤틀림으로 인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11][14] 마디 또는 이성질엽의 갯수는 작은 개체의 경우 12쌍부터 시작해서 호주의 화석 표본의 경우 74쌍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4]

디킨소니아의 몸체는 자루 같았을 것으로 보이며 외피가 저항성이 있으나 비광물질로 구성되어 있었을 것이다.[13] 러시아의 일부 표본은 가지가 뻗어 있는 내부 구조의 존재를 보인다.[15][13] 혹자는 디킨소니아의 바닥면에는 보송보송한 섬모가 뒤덮고 있었으며 주름 형태의 주머니 구조도 달려 있었을 수 있다 보고 있다.[13]

디킨소니아는 짝이 맞지 않는 최전면부의 반대편 끝에서 새로운 마디 또는 이성절을 추가하는 식으로 생장했음을 보여준다.[11][16] 디킨소니아는 아마 불분명한 성장을 했는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화석 기록이 최대 크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새로운 마디의 형성이 이후에 전체적 생장을 느리게 만들었을 것이라 보는 의견이 있다.[17] 러시아에서 발견된 변형된 형태의 디킨소니아 화석은 이들이 생전에 피해를 입었을 시 손상된 부위 등을 재생성시킬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16]

생태[편집]

디킨소니아는 바닥면에 나 있는 구조물을 사용하여 해저 바닥에서 자라나는 미생물막을 섭식하며 살아 간 움직일 수 있는 해양성 유기체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먹이 섭취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디킨소니아 모양의 인상화석은 때때로 이러한 습성을 보여주는 것이 연이어서 발견되는 것으로 관찰된다.[13] 이러한 인상화석들은 에피바이온(Epibaion)속의 것으로 인정받았다.[12][18][19] 2022년 연구에서는 디킨소니아는 점액을 사용하여 해저에 잠시동안 달라붙어 있었을지 모른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는 매우 얕은 수서환경에 잘 적응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20]

다른 동물과의 관련성[편집]

디킨소니아는 전관절동물문 또는 디킨소니아형류의 일부로 분류받았다.[13] 전관절동물문은 스프리기나, 요르기아, 안디바, 그리고 케팔로네가 같은 형태가 비슷한 많은 수의 유기체들로 구성한다. 이들은 동일한 체절화된 관절구를 공유한다.[21] 란게오모르프 같은 에디아카라 생물군의 다른 구성원을 포함한 여타 유기체로의 전관절동물에 대한 관련성은 오랫동안 논쟁 가운데에 있었다.[6] 대부분의 에디아카라기 유기체들은 서로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오랫동안 가설로 제시한 것이었는데, 이를 벤도바이온타(Vendobionta)라는 하나의 분류군으로 묶었다.[3] 하지만 저자들은 최근에 이 분류군 전체를 다계통군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6] 그레고리 리톨랙(Gregory Retallack)은 디킨소니아의 화석과 다른 에디아카라 생물군의 화석을 육상 환경에 적응해 자라 난 지의류로 해석하기도 하였다.[22] 하지만 이것은 다른 저자로 인해 완전히 부정당했는데, 그는 해양 퇴적환경이 이용 환경에 더욱 적합하다고 주장했다.[23][6][24] 다른 가설은 아돌프 자일라허(Adolf Seilacher)가 내놓은 것으로서, 거대한 원생생물으로 보고 있는 시각이었다.[25] 대부분 현대에 이른 연구에서는 디킨소니아와 다른 전관절동물이 진정후생동물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동물인 것으로 본다.[17][11][13] 러시아 표본에 대한 화학 연구에서는 이들 디킨소니아가 콜레스테롤이 풍부함을 밝혀냈는데, 콜레스테롤은 동물에게서만 생산되는 것이기에 따라서 동물과 관련성이 높다는 설을 지지해준다.[6] 하지만 이러한 결과물은 다른 저자들에게 의문을 남겼는데, 이들은 콜레스테롤 분자와 디킨소니아 화석 간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7] 동물계 내에서 수많은 관련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보통은 란게오모르프와 함께 분기군을 형성하는 초기 진정후생동물에서[26] 판형동물로도 포함시켰다.[27] 자포동물로 보는 시각도 있다.[28] 많은 윤구자들이 좌우대칭동물과의 밀접성을 제시했는데, 이는 전관절동물의 구조가 좌우대칭 또는 좌우대칭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는 것에 기반한다.[13][1] 하지만 전관절동물은 좌우대칭동물의 왕관군의 구성원으로서는 포함되지 않는 듯하다.[1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Gold, D.A.; Runnegar, B.; Gehling, J.G.; Jacobs, D.K. (2015).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of ontogeny supports a bilaterian affinity for Dickinsonia”. 《Evolution & Development》 17 (6): 315–397. doi:10.1111/ede.12168. PMID 26492825. S2CID 26099557. 
  2. Pflug (1973). “Zur fauna der Nama-Schichten in Südwest-Afrika. IV. Mikroscopische anatomie der petalo-organisme”. 《Palaeontographica》 (B144): 166–202. 
  3. Seilacher, Adolf (1992). “Vendobionta and Psammocorallia: Lost constructions of Precambrian evolu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149 (4): 607–613. Bibcode:1992JGSoc.149..607S. doi:10.1144/gsjgs.149.4.0607. S2CID 128681462. 2007년 6월 21일에 확인함. 
  4. McMenamin, M. (1998). 《The Garden of Ediacar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0559-0. OCLC 228271905. 
  5. 《Dinosaurs: A visual encyclopedia》. New York, NY: DK Publishing. 3 April 2018. ISBN 9781465469489. 
  6. Bobrovskiy, Ilya; Hope, Janet M.; Ivantsov, Andrey; Nettersheim, Benjamin J.; Hallmann, Christian; Brocks, Jochen J. (2018년 9월 20일). “Ancient steroids establish the Ediacaran fossil Dickinsonia as one of the earliest animals”. 《Science》 361 (6408): 1246–1249. Bibcode:2018Sci...361.1246B. doi:10.1126/science.aat7228. hdl:1885/230014. PMID 30237355. 
  7. Love, G.D.; Zumberge, J.A. (2021). “Emerging patterns in Proterozoic lipid biomarker records”. 《Cambridge Elements》 361 (6408). doi:10.1017/9781108847117. ISBN 9781108847117. 
  8. Fedonkin, M.A.; Gehling, J.G.; Grey, K.; Narbonne, G.M.; Vickers-Rich, P. (2007). 《The Rise of Animals: 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kingdom Animali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26쪽. ISBN 978-0-8018-8679-9. 
  9. Ivantsov, A.Y. (2007a). “Small Vendian transversely articulated fossils”. 《Paleontological Journal》 41 (2): 113–122. doi:10.1134/S0031030107020013. S2CID 86636748. 
  10. Ivantsov, A. Yu (2012). “Becoming metamery and bilateral symmetry in Metazoa: Way of Proarticulata”. 《Morphogenesis in the Individu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Symmetry and Asymmetry》: 16–17. 
  11. Evans, Scott D.; Droser, Mary L.; Gehling, James G. (2017년 5월 17일). Hejnol, Andreas, 편집. “Highly regulat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Ediacara macrofossil Dickinsonia costata”. 《PLOS ONE》 (영어) 12 (5): e0176874. doi:10.1371/journal.pone.0176874. ISSN 1932-6203. PMC 5435172. PMID 28520741. 
  12. Ivantsov, A.Y. (2011). “Feeding traces of Proarticulata — the Vendian metazoa”. 《Paleontological Journal》 45 (3): 237–248. doi:10.1134/S0031030111030063. S2CID 128741869. 
  13. Ivantsov, Andrey Yu; Zakrevskaya, Maria (2023년 2월 23일). “Body plan of Dickinsonia , the oldest mobile animal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영어) 114 (1–2): 95–108. doi:10.1017/S175569102300004X. ISSN 1755-6910. 
  14. Dunn, Frances S.; Liu, Alexander G.; Donoghue, Philip C.J. (2018년 5월). “Ediacaran developmental biology”. 《Biological Reviews》 (영어) 93 (2): 914–932. doi:10.1111/brv.12379. ISSN 1464-7931. PMC 5947158. PMID 29105292. 
  15. Ivantsov, A.Y. (2004). “New Proarticulata from the Vendian of the Arkhangel'sk region” (PDF). 《Paleontological Journal》 38 (3): 247–253.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27일에 확인함. 
  16. Ivantsov, Andrey; Zakrevskaya, Maria; Nagovitsyn, Aleksey; Krasnova, Anna; Bobrovskiy, Ilya; Luzhnaya (Serezhnikova), Ekaterina (2020년 11월). “Intravital damage to the body of Dickinsonia (Metazoa of the late Ediacaran)”. 《Journal of Paleontology》 94 (6): 1019–1033. doi:10.1017/jpa.2020.65. ISSN 0022-3360. 
  17. Evans, Scott D.; Hunt, Gene; Gehling, James G.; Sperling, Erik A.; Droser, Mary L. (2023 1월). Rahman, Imran, 편집. “Species of Dickinsonia Sprigg from the Ediacaran of South Australia”. 《Palaeontology》 (영어) 66 (1). doi:10.1111/pala.12635. ISSN 0031-0239. 
  18. Ivantsov, A.Y. (2013). “Trace Fossils of Precambrian Metazoans "Vendobionta" and "Mollusks". 《Stratigraphy and Geological Correlation》 21 (3): 252–264. Bibcode:2013SGC....21..252I. doi:10.1134/S0869593813030039. S2CID 128638405. 
  19. Ivantsov, A.Y.; Malakhovskaya, Y.E. (2002). “Giant Traces of Vendian Animals” (PDF). 《Doklady Earth Sciences》 385 (6): 618–622. 2007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20. Ivantsov, Andrey; Zakrevskaya, Maria (2022년 7월). “Dickinsonia : mobile and adhered”. 《Geological Magazine》 (영어) 159 (7): 1118–1133. doi:10.1017/S0016756821000194. ISSN 0016-7568. 
  21. Ivantsov, A.Y.; Fedonkin, M.A.; Nagovitsyn, A.L.; M.A. Zakrevskaya (2019). Cephalonega, a new generic name, and the system of Vendian Proarticulata”. 《Paleontological Journal》 53 (5): 447–454. doi:10.1134/S0031030119050046. S2CID 203853224. 
  22. Retallack, Gregory J. (2013년 1월). “Ediacaran life on land”. 《Nature》 (영어) 493 (7430): 89–92. doi:10.1038/nature11777. ISSN 0028-0836. 
  23. Xiao, Shuhai; Knauth, L. Paul (2013년 1월). “Fossils come in to land”. 《Nature》 (영어) 493 (7430): 28–29. doi:10.1038/nature11765. ISSN 0028-0836. 
  24. Xiao, Shuhai; Droser, Mary; Gehling, James G.; Hughes, Ian V.; Wan, Bin; Chen, Zhe; Yuan, Xunlai (2014년 3월). “Affirming life aquatic for the Ediacara biota in China and Australia: REPLY”. 《Geology》 (영어) 42 (3): e326. doi:10.1130/G35364Y.1. ISSN 1943-2682. 
  25. Seilacher, A. (2007년 1월). “The nature of vendobiont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영어) 286 (1): 387–397. doi:10.1144/SP286.28. ISSN 0305-8719. 
  26. Hoyal Cuthill, Jennifer F.; Han, Jian (2018년 11월). “Cambrian petalonamid Stromatoveris phylogenetically links Ediacaran biota to later animals”. 《Palaeontology》 (영어) 61 (6): 813–823. doi:10.1111/pala.12393. ISSN 0031-0239. 
  27. Sperling, Erik; 외. (2008). “A placozoan affinity for Dickinsonia and the evolution of late Precambrian metazoan feeding mod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0 (6): 508. 2018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7일에 확인함. 
  28. J.W. Valentine Dickinsonia as a polypoid organism Paleobiology, 18 (1992), pp. 378-382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디킨소니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