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호


= | |
---|---|
등호 | |
유니코드 | U+003D = equals sign (HTML: = ) |
관련 | |
같이 보기 | U+2260 ≠ not equal to U+2248 ≈ almost equal to U+2261 ≡ identical to |
등호(等號, 문화어: 같기표, =)는 수학에서 수의 같음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1557년 웨일스인 로버트 레코드가 만들었다. 유니코드와 아스키에서는 003D(16진법)에 위치해 있다.
역사[편집]
로버트 레코드가 1557년 《기지(機智)의 숫돌》(The Whetstone of Witte)에서 처음 사용했다. 레코드는 길이가 같은 두 평행한 선분을 보며 ‘어떠한 두 개도 이것보다 더 같을 수는 없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다만 당시 레코드가 사용한 등호는 현재의 등호보다 옆으로 더 길었었다.
용례[편집]
수학적인 쓰임 외에도 같거나 비슷하다는 의미를 가질 때 이 용어를 사용하며, 보통 대명사 격으로 불리는 것을 지칭하기도 한다. 용어의 사용이 이퀄의 일본식 발음인 이코루(イコール)에서 시작됨에 따라 한국에서는 이꼴, 이꼬르 등으로 불린다.
관련 기호[편집]
근삿값을 나타내는 기호로 “≒”(U+2252)이, 같지 않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slashed equal sign; U+2260). 합동을 나타내는 기호로 “≡”(U+2261)이 있다.
인코딩[편집]
- U+003D = equals sign (HTML:
=
)
관련 항목:
- U+2260 ≠ not equal to (HTML:
≠
≠
)
![]() |
이 글은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