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미자리
두루미자리 Grus | |
두루미자리의 항성 목록 | |
학명 | Grus |
---|---|
약자 | Gru |
소유격 | Gruis |
상징 | 두루미 |
적경 | 22h 27m |
적위 | −45°49′ |
남중 | 10월 10일 오후 9시 (지방시) |
관측 가능 | 위도 +34°에서 −90° 사이 |
넓이 | 366 평방도 (45위) |
별의 수 (등급<3.00m) |
3 |
가장 밝은 별 | 두루미자리 알파 (α Gru) (1.73 등성) |
유성우 |
|
이웃 별자리 | |
두루미자리(Grus, [ˈɡrʌs] 또는 [ˈɡruːs])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 남부 지방에서 일부분만 볼 수 있다.
특징[편집]
남쪽물고기자리에서 분리되었다.
별과 천체[편집]
두루미자리는 새로 만들어진 별자리 중에서는, 밝은 별이 많은 편이다.
- 두루미자리 α (Alnair; 알나이): 1.73등급의 별로, 청백색이다.
- 두루미자리 β(Tiaki, 티아키): 2.07등급의 붉은색 별이다.
- 두루미자리 γ(Al Dhanab, 알 다나브): 3.0 등급의 별이다.
어두운 천체들[편집]
신화와 역사[편집]
두루미자리는 1600년경에 두 명의 모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가 만들어낸 12개 별자리 중 하나로, 1603년의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으로 나타났다. 이 별자리는 17세기에 영국에서 잠시 '포에니콥테루스(Phoenicopterus; 플라밍고)'로 여겨졌었다.[1]
17세기까지 두루미자리는 남쪽물고기자리의 일부로 여겨졌다. 별자리의 별들에 붙여진 아라비아식 이름은 이를 반영한다.
17세기에 만들어진 별자리이므로, 관련된 신화는 없다.
각주[편집]
- ↑ “Obsolete Constellations: Phoenicopterus”. 2007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The Deep Photographic Guide to the Constellations: Grus
- The clickable Grus
- Starry Night Photography - Grus Constellation
- Star Tales – Grus
![]() |
이 글은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