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도서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lan icon WHITE-01.svg 남산도서관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 로고.png
남산도서관 전경.jpg
국가대한민국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 (후암동 30-84)[1]
구분공공도서관(일반)
전신경성부립도서관[2]
개관1922년 10월 5일[2]
장서 수도서자료 44만여 권[2]
비도서자료 1.1만여 점
설립 주체경성부
운영 기관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http://nslib.sen.go.kr/

남산도서관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 (후암동 30-84)에 소재한 시립도서관이다. 바로 앞에 용산도서관이 있다.

1922년 10월 5일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 25에 경성부립도서관으로 개관한 후 1964년 12월 31일 현재 건물을 신축해 이전해 이듬해 남산도서관으로 변칭했다. 장서 44만여 권, 비도서 1만2천 점, 연속 간행물 1천2백여 점, 고서 1,876권, 동양책 68,119권을 보유한다.[2]

휴관일은 매월 1째와 3째 월요일과 일요일 제외 법정공휴일, 도서관이 정하는 임시 휴관일이다.

연혁[편집]

1922년 10월 5일 경성부립도서관으로 중구 명동2가 25에서 개관하였다.[3] 구 한성병원의 건물을 개수했고 2층 건물에 60개 열람석을 갖추었다. 1927년 5월 18일에는 중구 소공동 115으로 이전했고[4] 이듬해에는 3층 건물을 신축했다. 보유한 서적은 초기(1923년) 약 8천 권에서 1932년에는 3만여 권으로 늘어났다.[5]

1964년 12월 31일 이후로는 서울시립 남대문도서관으로 불렸고 1963년 7월 새 도서관 건축하고자 매각되기 전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후암동에 세워진 현재 건물은 설계도안 현상모집을 거쳐 선택되었으며, 좌석은 남대문도서관 600여 석에서 1,500석으로 늘고 5층 건물에 시청각 교실, 강당 등 부대시설을 갖추었다.[6]

2015년 7월 27일부로 남산도서관은 도서관 3층에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을 개관하였다.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은 한국고전부터 시, 평론, 소설, 수필 등 3만여 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489.36m2이다.

이용 정보[편집]

대출 정보[편집]

  • 도서자료 2주일 6권
  • 과월호 잡지 2주일 3권
  • DVD(2년내 발행된 영화 DVD 제외), CD-ROM, 음악CD, 비디오, 카세트테이프 등 비도서자료 2주일 3점
  • 대출 예약: 평일 13:00 - 17:00, 주말 13:00 - 16:30까지 예약하면 안내데스크에서 22:00까지 대출할 수 있다.

개방 시간[편집]

이용 시간 평일 주말
세부 3 - 10월 11 - 2월 3 - 10월 11 - 2월
인문사회과학실 09:00 - 20:00 09:00 - 19:00 09:00 - 17:00
자연과학실
어문학실
연속간행물실
디지털자료실 09:00 - 18:00 09:00 - 18:00
일반열람실 07:00 - 22:00 08:00 - 22:00 07:00 - 22:00 08:00 - 22:00
독서상담실 09:00 - 18:00
  • 디지털자료실은 중학생 이상 1인당 1일 2회, 1회 1시간 이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편집]

다른 일반 도서관과는 달리, 남산 도서관에는 어린이 도서관이나 어린이실이나 청소년실이 없다.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다문화코너에는 다수의 경제, 경영, 문학 도서가 있다.[7]


사진[편집]

각주[편집]

  1. 서울시 도서관 길잡이
  2. 남산도서관. “남산도서관 도서관안내:인사말”. 2009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1일에 확인함. 
  3. 이범승이 건립한 경성도서관과는 구별된다.
  4. 京城圖書館移轉, 長谷川町 大觀亭으로, 《동아일보》, 1927.5.18.
  5. 경성부립도서관(京城府立圖書館) Archived 2016년 3월 6일 - 웨이백 머신, 서울六百年史
  6. 南山(남산)에서 起工式올리고 現代化될 市立圖書舘, 《경향신문》, 1963.11.27.
  7. 서울교육청 남산도서관, 남산 중턱 '문학의 요람'…독서치료도 자랑거리, 《한국경제》, 2015-08-13 .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