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괼디원숭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괼디원숭이
괼디원숭이
괼디원숭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소목: 광비원소목
과: 비단원숭이과
속: 괼디원숭이속
(Callimico)
Miranda Ribeiro, 1922
종: 괼디원숭이
(C. goeldii)
학명
Callimico goeldii
Thomas, 1904
괼디원숭이의 분포 지역

괼디원숭이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나비를 잡아먹는 마모셋원숭이

괼디원숭이 또는 괼디마모셋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의 상부 아마존 분지 지역에서 사는 남아메리카의 작은 신세계원숭이이다.[2] 괼디원숭이속(Callimico)의 유일 종이며 ‘캘리니코스’(callimicos)로 불리기도 한다. 괼디마모셋은 거무스름하거나 검은 갈색을 띤다. 이들의 키는 20–23cm 정도이고, 꼬리는 25–30cm 정도이다. 괼디마모셋은 1904년에 처음 명명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명명된 원숭이속 중 하나이다. 예전의 분류 체계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딴 괼디마모셋과(Callimiconidae)로 분류되기도 하였고, 때때로 (현재는 폐기되었지만) 마모셋타마린을 포함하는 마모셋과에 분류되기도 하였다. 좀 더 최근에는 꼬리감는원숭이과로 분류되었고, 꼬리감는원숭이다람쥐원숭이뿐만 아니라, 모든 마모셋과 타마린을 포함했었다. 현재는 비단원숭이과로 분류하고 있다.

암컷은 생후 8.5개월, 숫컷은 16.5개월이면 생식이 가능하다. 임신 기간은 140일에서 180일 정도이다. 다른 신세계원숭이들과는 다르게, 이들은 한 해에 두 번의 생식이 가능하다. 꼬리감는원숭이과의 다른 종들이 대부분 보통 한 쌍을 낳는 데 반하여, 어미는 한 번의 한 마리의 새끼 원숭이를 밴다. 새끼가 젖을 떼는 시기는 생후 약 65일 이후이다. 동물원 등에서의 평균 수명은 약 10년이다.

괼디마모셋은 키 작은 덤불이 우거진 곳에서 먹이를 구한다. 우기에 이들의 먹이는 과일, 곤충, 거미, 도마뱀, 개구리, 뱀 등이다. 건기에 이들은 먹이로 버섯류를 먹는 데, 이런 종류의 먹이에 의존하는 것은 열대 영장류 중에서 이 종이 유일하다. 이들은 (약 6 마리 정도로) 작은 사회 집단을 이루며 사는 데, 시간의 대부분을 서로 불과 몇 피트 내에서 지내며, 고음의 소리를 통해 서로 연락한다. 이들은 또한 타마린과 함께 다특이성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이는 아마 괼디마모셋이 다른 신세계원숭이 종들의 일부 개체에게 완전한 삼원색의 시각을 갖도록 해 주는 X-연관 다형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3] 이 종은 스위스의 박물학자 에밀 어거스트 괼디에 의해 발견되어 이름 붙여졌다.

계통 분류

[편집]

비단원숭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비단원숭이과

사자타마린속

괼디원숭이속

마모셋(비단마모셋속, 미코속, 피그미마모셋속)

타마린아과

검은망토타마린속

타마린속

각주

[편집]
  1. “Callimico goeld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2.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29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3. Alison K. Surridge, Nicholas I. Mundy (2002) Trans-specific evolution of opsin alleles and the maintenance of trichromatic colour vision in Callitrichine primates Molecular Ecology 11 (10) , 2157–2169 doi:10.1046/j.1365-294X.2002.01597.x
  4. Thomas Geissmann: Comparative primatology Springer-Verlag, Berlin u. a. 2003, ISBN 3-540-43645-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