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염소산 나트륨
![]() | |
![]() | |
이름 | |
---|---|
별칭
Sodium chlorate(VII)
Sodium hyperchlorate Perchloric acid, sodium salt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8.647 |
EC 번호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UNII | |
UN 번호 | 1502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aClO4 NaClO4.H2O (monohydrate) | |
몰 질량 | 122.44 g/mol |
겉보기 | White crystalline solid |
밀도 | 2.4994 g/cm3 2.02 g/cm3 (monohydrate) |
녹는점 | 468 °C (874 °F; 741 K) (decomposes, anhydrous) 130 °C (monohydrate) |
끓는점 | 482 °C (900 °F; 755 K) (decomposes, monohydrate) |
209.6 g/100 mL (25 °C, anhydrous) 209 g/100 mL (15 °C, monohydrate) | |
굴절률 (nD)
|
1.4617 |
구조 | |
orthorhombic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0715 |
GHS 그림문자 | ![]() ![]() ![]() |
신호어 | 위험 |
H271, H302, H319, H373 | |
P102, P220, P305+351+338, P338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400 °C (752 °F; 673 K)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Sodium chloride Sodium hypochlorite Sodium chlorite Sodium chlorate |
다른 양이온
|
Lithium perchlorate Potassium perchlorate Ammonium perchlorate Caesium perchlorate |
관련 화합물
|
Perchloric acid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과염소산 나트륨은 화학식 NaClO4 을 가진 무기화합물이다. 물과 알코올에 용해성이 높은 하얀 결정체이자 저온성 고체이다. 그것은 보통 일수화물로 구성된다. 이 화합물은 과염소산염중 제일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주목할 만 하다. 또한, 화성에도 과염소산 나트륨이 존재한다.
용도
[편집]과염소산나트륨은 용해성이 낮다는 점을 이용해 다른 많은 과염소산염의 전구체이다. 폭약 기술에 해당하는 암모늄과 과염소산칼륨은 과염소산 나트륨 용액과 염소산칼륨 또는 암모늄 용액의 이중분해로 제조된다. 과염소산의 수용액을 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켜 증류하면 생긴다. 50 °C 이하에서는 1수화염(水化鹽), 50 °C 이상에서는 무색 또는 백색 결정인 무수염이 생긴다. 1수화염은 무색의 육방 결정계의 결정으로 흡습성이 있고, 130°C에서 분해한다.
실험실에서
[편집]NaClO4 용액은 비활성 전해액으로 사용되며 분자 생물학에서 표준 DNA 추출에 이용되거나 잡종 반응에 이용된다.
약품
[편집]과염소산 나트륨은 갑상선기능항진증(TSH) 환자에게 요오드화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에 요오드의 흡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동물 훈련
[편집]또한, 과염소산 나트륨은 폭발 물질을 탐지하게 하기 위해 훈련시키는 재료로 사용될 수 도 있다.
생산
[편집]과염소산 나트륨은 백금과 같은 불활성 전극에서 염소산나트륨의 애노드 반응으로부터 제조된다.
ClO3− + H2O → ClO4− + 2H+ + 2 e−
ClO3− + 2 OH− → ClO4− + H2O + 2 e−
- 공업적으로는 염소산나트륨의 농축 수용액을 백금 전극을 이용해서 전해하고, 양극액을 꺼내 진공 증발관에서 농축하여 염소산나트륨을 분리한다.
- 염소산나트륨을 용융하면 자체 산화를 일으켜 과염소산나트륨과 염화나트륨을 만든다.
- 여기에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과염소산염을 추출하고 증발시켜 염산을 제거하면 결정이 얻어진다.
- 실험실에서는 과염소산 수용액을 탄산 나트륨으로 중화하고, 중성 용액을 건고할 때까지 증발하면 50°C 이하에서 1수화염이, 50°C 이상에서 무수염이 결정한다. 수용액에서 재결정에 의해 정제한다.
안전
[편집]무수염에는 흡습성이 없으나, 물이나 에틸알코올에는 잘 녹는다. 유기물이나 가연물과 섞어 충격을 가하거나 진한 황산과 접촉시키면 폭발한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4042&cid=40942&categoryId=3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