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냉각
과냉각(過冷却, 영어: supercooling, undercooling[1])은 액체나 기체의 온도를 고체가 되는 일 없이 어는점 아래로 낮추는 과정이나 상태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 상전이 온도 밑으로 내려가더라도 원래의 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순수 물은 273.15 K(0 °C, 32 °F)에서 얼지만 균질 핵생성(거의 224.8 K, 즉 −48.3 °C/−55 °F) 이하에 이르기까지 표준 압력에서 과냉각할 수 있다.[2][3] 그러나 106 K/s의 속도로 냉각되면 결정 핵생성을 피하게 되어 물은 유리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유리 전이 온도는 훨씬 더 차가워서 알아내기 쉽지 않지만 연구에 따르면 약 165 K(−108 °C/−162.4 °F)에 이른다.[4]
각주[편집]
- ↑ Rathz, Tom. “Undercooling”. NASA. 2010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moore, Emily; Valeria Molinero (24).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supercooled water controls the crystallization rate of ice”. 《Nature》 479: 506–508. doi:10.1038/nature10586. 24November2011에 확인함.
- ↑ Debenedetti & Stanley 2003, 42쪽 .
- ↑ Giovambattista 등. 2004, 047801-1쪽 .
같이 보기[편집]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