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망초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국화아과 |
족: | 참취족 |
속: | 개망초속 |
종: | 개망초 |
학명 | |
Erigeron annuus | |
(L.) Pers. 1807 |
개망초(영어: annual fleabane, daisy fleabane 또는 eastern daisy fleabane)는 전 세계 온대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망국초, 왜풀, 개망풀이라고도 한다.[1]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형태
[편집]
개망초는 주로 한해살이풀(1년생 식물)로 자라지만, 때때로 두해살이풀(2년생 식물)로 자라기도 한다. 줄기는 녹색이며 드물게 털이 나 있고, 단순하고 어긋난 잎을 가진 초본식물이다. 높이는 보통 30cm에서 150cm 사이까지 성장한다. 잎은 동일 속의 다른 종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많은 편이다. 특히 하위 잎과 근생엽(뿌리 근처의 잎)은 거칠게 톱니모양이거나 갈라져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대부분의 다른 개망초속(Erigeron) 종들과 쉽게 구별되는 점이다.[2][3] 상부 잎은 항상은 아니지만 때때로 톱니를 가지고 있으며, 바깥쪽 끝 부분에 몇 개의 거친 톱니가 있는 경우도 있다.[4][5]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지를 조금 친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난형이고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15미터, 나비 1.5~3미터이다. 잎 양면에 털이 있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위에 붙은 잎은 좁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관상화는 황색이다. 5~7월, 9~10월에 백색 또는 연자줏빛 꽃이 두상꽃차례를 이루고 가지 끝과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붙는다. 총포에 짧은 털이 있고 혀 모양의 화관은 길이 7-8밀리미터, 나비 1밀리미터 정도이다.
개망초의 꽃은 흰색의 설상화(혀꽃)와 노란색 중심부(관상화)를 가지고 있으며, 설상화는 흰색에서 옅은 자주색을 띤다. 개체에 따라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피며,[6] 설상화의 수는 40개에서 100개 사이이다.[2]
분포 및 서식지
[편집]개망초는 북아메리카 및 중앙아메리카 원산이다. 미국 전역, 특히 동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서부 및 최남단 지역에서는 드문드문 나타나는 편이다.[7] 한국,[8] 유럽, 인도 및 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포함한 세계 여러 곳에 도입되었다.[9][10][11]
개망초는 햇빛이 잘 드는 곳부터 반그늘 지역까지 다양하게 자라며, 수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자갈이나 점토질을 포함한 다양한 토양 조건을 견딜 수 있는 내성이 있으며, 덥고 건조한 날씨에는 하위 잎이 누렇게 변하거나 시들기 쉽다.[4]

생태
[편집]개망초는 교란된 지역에 우선적으로 자리잡는 선구종(pioneer species)으로, 목초지, 방치된 농지, 공터, 도로변, 철도 주변, 폐기장 등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러한 서식지에서는 종종 외래 침입종 잡초들과 경쟁하여 성공적으로 자리잡는다.[4]
개망초의 꽃은 다양한 벌에 의해 수분되는데, 여기에는 작은 어리호박벌, 뻐꾸기벌, 땀벌(할릭틴 벌), 가면벌 등이 포함된다. 또한 꽃에는 다양한 파리류도 방문하며, 이들에는 꽃등에, 재니등에, 기생파리, 쉬파리, 기타 파리과 종들이 포함된다. 그 외에도 일부 말벌, 소형 나비류 및 꽃꿀을 찾는 곤충들, 그리고 꽃가루를 섭취하는 몇몇 딱정벌레가 꽃을 찾기도 한다.[4]
링스꽃나방(Schinia lynx)의 유충은 개망초 및 관련 식물의 꽃과 씨앗을 먹으며, 광역노린재(Lygus lineolaris)는 식물의 즙을 흡수한다. 양, 마멋(groundhog), 토끼 등 일부 포유류도 잎, 꽃, 줄기 등을 섭취한다.[4]
쓰임새
[편집]어린 잎은 식용하고, 한방에서 감기·학질·전염성감염·위염·장염·설사·항암치료(암세포의 세포 자살) 등에 사용한다.
사진
[편집]-
꽃
-
가까이에서 본 두상화
-
잎
-
무리지어 꽃 핀 모습
-
꽃 핀 개망초
문학 속의 개망초
[편집]“ | 개망초가 피었다 공중에 뜬 꽃별, 무슨 섬광이 이토록 작고 맑고 슬픈가 … |
” |
— 문태준.〈번져라 번져라 病이여〉,《가재미》(문학과지성사, 2006)
|
각주
[편집]- ↑ 개망초,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가 나 Ann Fowler Rhoads and Timothy A. Block, Ill. Ann Anisko, Plants of Pennsylvania, 2nd 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7. pp. 923.
- ↑ David M. Brandenburg, Field Guide to Wildflowers of North America,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Sterling Publishing Co., New York, 2010, pp. 150.
- ↑ 가 나 다 라 마 Hilty, John (2020), “Annual Fleabane (Erigeron annuus)”, 《Illinois Wildflowers》 (영어)
- ↑ Nesom, Guy L. (2006), 〈Erigeron annuus〉,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20, New York and Oxford – eFloras.org, 미주리 식물원,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경유
- ↑ “Annual Fleabane”, 《USGS》, 2006년 8월 3일,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state-level distribution map
- ↑ “개망초”. 《www.doopedia.co.kr》. 2018년 5월 7일에 확인함.
- ↑ “Erigeron annuu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PLANTS Database. USDA
- ↑ Chen, Yilin; Brouillet, Luc, 〈Erigeron annuus〉, 《Flora of China》 – eFloras.org, 미주리 식물원,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경유
- ↑ Altervista Flora Italiana, Cespica annua, Erigeron annuus (L.) Desf. includes photos and European distribution map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개망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 ― 개망초
- 한국잡초학회 잡초 DB ― 개망초
![]() |
이 글은 국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