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아과 (菊花亞科, 학명 : Asteroideae 아스테로이데아이[* ] )는 국화과 의 아과 이다.[1] 참취족 (Astereae), 금잔화족 (Calenduleae), 등골나물족 (Eupatorieae), 왜떡쑥족 (Gnaphalieae), 해바라기족 (Heliantheae), 금방망이족 (Senecioneae) 그리고 천수국족 (Tageteae) 등의 여러 식물 족을 포함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약 1,130 속에 16,200 종에 이른다.
하위 분류 [ 편집 ]
금방망이족 (Senecioneae Cass. )
금불초족 (Inuleae Cass. )
금잔화족 (Calenduleae Cass. )
기생초족 (Coreopsideae Lindl. )
길뚝개꽃족 (Anthemideae Cass. )
네우롤라이나족 (Neurolaeneae Rydb. )
도로니쿰족 (Doroniceae Panero )
등골나물족 (Eupatorieae Cass. )
마디아족 (Madieae Jeps. )
밀레리아족 (Millerieae Lindl. )
바히아족 (Bahieae B.G.Baldwin )
아트로이스마족 (Athroismeae Panero )
왜떡쑥족 (Gnaphalieae Cass. ex Lecoq & Juill. )
참취족 (Astereae Cass. )
천수국족 (Tageteae Cass. )
카이낙티스족 (Chaenactideae B.G.Baldwin )
페데아족 (Feddeeae Pruski, P.Herrera, Anderb. & Franc.-Ort. )
페리틸레족 (Perityleae B.G.Baldwin )
폴림니아족 (Polymnieae Panero )
해바라기족 (Heliantheae Cass. )
헬레니움족 (Helenieae Lindl. )
계통 분류 [ 편집 ]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2]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3] [4] [5]
국화과
에스피나아과 (Barnadesioideae): 9 속, 93 종. 남아메리카 , 주로 안데스 에 분포.
사칸사아과 (Famatinanthoideae): 남아메리카 1속 1종.
멸가치아과 (Mutisioideae): 58 속, 750 종. 남아메리카 에 분포.
스티프티아아과 (Stifftioideae): 남아메리카 와 아시아 에 분포.
♦
운데를리키아아과 (Wunderlichioideae): 8 속, 24 종, 베네수엘라 와 가이아나 에 대부분 분포.
고크나티아아과 (Gochnatioideae): 4 또는 5 속, 90 종.
프리클리프아과 (Hecastocleidoideae): 유일 종 Hecastocleis shockleyi . 미국 남서부에 분포.
엉겅퀴아과 (Carduoideae): 83 속, 2,5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단풍취아과 (Pertyoideae): 5 또는 6 속, 70 종.
김나레나아과 (Gymnarrhenoideae): 유일 종 Gymnarrhena micrantha . 북아프리카 에 분포.
•
치커리아과 (Cichorioideae): 224 속, 3,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코림비움아과 (Corymbioideae): 유일 속 코림비움속 (Corymbium )에 7종.
•
국화아과 (Asteroideae): 1,130 속, 16,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2]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3] [4] [5]
↑ Lindley, John. In: Loudon, John Claudius. An Encyclopedia of Plants 1074. 1829.
↑ 가 나 Panero, J.L.; Funk, V.A. (2002).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 《Proc. Biol. Soc. Wash.》 115 : 909–922.
↑ 가 나 Panéro, José J.; Freire, Susana E.; Ariza Espinar, Luis; Crozier, Bonnie S.; Barboza, Gloria E.; Cantero, Juan J. (2014).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0 (1): 43–53. doi :10.1016/j.ympev.2014.07.012 . 2017년 1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Zhi-Xi Fu; Bo-Han Jiao; Bao Nie; Tiangang Gao (2016).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4): 416–437. doi :10.1111/jse.12216 .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Funk, Vicki A.; Fragman-Sapir, Ori (2009). 〈22. Gymnarrheneae (Gymnarrhenoideae)〉. V.A. Funk; A. Susanna; T. Stuessy; R. Bayer.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PDF) . Vienn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327–332쪽.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