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

산과 염기 | ||
---|---|---|
산·염기 반응 이론 | ||
산화·환원 | 전기화학 | |
중화 반응 | 이온화 상수(Kd) | |
수소 이온 농도 지수 (pH) | ||
산·염기 지시약 | 완충 용액 | |
여러가지 산 | ||
유기산 | 무기산 | 초강산 |
여러가지 염기 | ||
유기염기 | 비친핵성 염기 | 초염기 |
강산(強酸)은 수용액에서 수용액에서 완전히 이온화한다고 가정할 수 있는 강전해질(strong electrolyte)이다.[1] 염산(HCl), 질산(HNO3), 과염소산(HClO4), 황산(H2SO4)등 대부분의 강산은 무기산이다.
강산 용액의 종류[편집]
강산에는 다음과 같은 산이 있다.
유의사항
- 황산(H2SO4)는 첫번째 해리만 거의 100% 진행된다. 강산 HA에서 A가 HSO4인 형태로 볼 수 있으며, HSO4는 약산이므로 두번째는 해리는 일부만 진행된다.
- 불산(HF)은 강산이 아닌 약산으로 분류된다. 사람의 몸에 닿거나 근처에 있기만 해도 심장마비 등의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는 강한 산인 것은 맞으나, 수소 이온과 음이온으로 완전하게 해리되지 않는다. 하지만 순수한 농도일 경우에는 염산,황산등 다른 강산보다 더 센 산성도를 갖는다.
강산 용액의 Ka[편집]
강산 HA의 이므로 물 속에서 거의 100% 이온화하는 강산은 매우 큰 Ka 값을 가지고 있다.[2] (Ka>>>1 이므로 HA (aq) ⇄ H+ (aq) + A- (aq)의 역반응은 거의 진행되지 않는다.)
강산 용액의 PH 계산[편집]
x M HA 수용액의 pH 구하기
1. 강산 HA는 거의 100% H⁺와 A⁻로 해리된다. 따라서 HA로부터 해리된 [H⁺] = x M이다.
2. 물의 자동 이온화에 의한 [H⁺] = 1.0×10⁻⁷ M이지만, 아주 작은 값이기 때문에 거의 무시할 수 있다.[3]
3. 위에서 구한 [H⁺]와 pH = -log([H⁺])를 이용하여 pH를 구한다.
각주[편집]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