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함수의 역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수 범위에서 그린 1/Γ(x)의 그래프
복소평면 위에 그린 1/Γ(z)의 그래프.

수학에서 감마 함수의 역수는 감마 함수 Γ(z)에 역수를 취한 함수이다.

감마 함수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유리형 함수이고 영점이 없으므로 그 역수는 전해석 함수이다.

이 함수는 감마 함수를 수치 근사하는 데에 사용되며 일부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에서는 이를 일반 감마 함수와 별도로 제공한다.

카를 바이어슈트라스는 이 함수를 "factorielle"이라고 부르고 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곱 정리에 사용했다.

무한곱 전개[편집]

감마 함수의 무한곱꼴 정의에서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모든 복소수 z에서 성립하며, γ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테일러 급수[편집]

z=0에서의 테일러 급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1]

여기서 γ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n > 2일 때 zn 항의 계수 an은 다음 점화식이나 적분으로 계산할 수 있다.[2][3] ζ리만 제타 함수이다. 적분꼴은 2014년에 Fekih-Ahmed이 발견했다.[3]

처음 30개의 항의 값은 다음과 같다.

의 근사공식은 다음과 같다.[3]

여기서 람베르트 W 함수의 -1번째 분지이다.

이상적분[편집]

양의 실수축 위에서의 이상적분 값은 다음과 같으며, 이를 프랑세즈-로빈슨 상수라고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공식이 알려져 있다.[4]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편집]

  1. Weisstein, Eric W. “Gamma function”. 《mathworld.wolfram.com》 (영어). 2021년 6월 15일에 확인함. 
  2. Wrench, J.W. (1968). “Concerning two series for the gamma function”. 《Mathematics of Computation》 22 (103): 617–626. doi:10.1090/S0025-5718-1968-0237078-4.  and

    Wrench, J.W. (1973). “Erratum: Concerning two series for the gamma function”. 《Mathematics of Computation》 27 (123): 681–682. doi:10.1090/S0025-5718-1973-0319344-9. 
  3. Fekih-Ahmed, L. (2014). “On the power series expansion of the reciprocal gamma function”. 《HAL archives》. 
  4. Henri Cohen (2007). 《Number Theory Volume II: Analytic and Modern Tool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40. doi:10.1007/978-0-387-49894-2. ISBN 978-0-387-49893-5. ISSN 0072-5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