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즈나 왕조
가즈나비얀 | ||||
---|---|---|---|---|
غزنویان | ||||
| ||||
국기 | ||||
![]() | ||||
수도 | 가즈나(963년 ~ 1163년) 라호르(1163년 ~ 1186년)[1] | |||
정치 | ||||
정치체제 | 세습군주제 | |||
술탄 961년 ~ 963년 1160년 ~ 1186년 | 알프티긴(초대) 쿠스라우 말리크(말대) | |||
역사 | ||||
• 설립 | 중세 963년 | |||
• 멸망 | 1186년 | |||
지리 | ||||
1029년 어림 면적 | 3,400,000 km2 | |||
인문 | ||||
공용어 | 페르시아어[2][3] | |||
공통어 | 아랍어(신학어) 튀르크어(군사어)[4] | |||
종교 |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가즈나 왕조(페르시아어: غزنویان 가즈나비얀), 또는 가즈나 제국은 호라산, 아프가니스탄 및 인도 북부 지역에 수립되었던 투르크계 술탄국(975년~1187년)이다. 가즈나 왕조는 그 전의 왕조인 사만 왕조를 멸망시키고 들어섰다. 그리고 거대한 영토를 다스렸으나 얼마 안 있어 셀주크 투르크에 의해 영토를 빼앗기고, 고르 왕조에게 멸망하고 만다.
역사[편집]
아프가니스탄의 가즈니에 의한 투르크계의 이슬람 왕조이다. 사만 왕조의 궁정 노예 출신 알프티긴(재위 962~963)이 962년에 가즈니에서 독립하여 왕조를 창립하였으며, 그 후 수부크티긴(재위 976~997)이 영토를 넓혀 왕조의 기초를 견고히 했다. 그의 아들 마흐무드(재위 998~1030) 시대는 왕조 전성기였으며, 북쪽의 카라한 왕조나 셀주크 왕조의 남하를 방해하며 펀자브 지방을 완전히 영유하였으며, 그 곳을 근거지로 하여 10여 차례나 북인도 침입을 되풀이했다. 마흐무드는 또 학문과 예술의 보호자이기도 했으며, 그의 보호하에 피르다우시나 알 비루니 등의 페르시아 문학가가 활약했다. 그러나 마흐무드의 사후 왕조는 쇠퇴하여 1186년에 고르 왕조에게 넘어갔다.
각주[편집]
- ↑ "Lahore" Encyclopædia Britannica
- ↑ Homa Katouzian, "Iranian history and politics", Published by Routledge, 2003. pg 128: "Indeed, since the formation of the Ghaznavids state in the tenth century until the fall of Qajars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most parts of the Iranian cultural regions were ruled by Turkic-speaking dynasties most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he official language was Persian, the court literature was in Persian, and most of the chancellors, ministers, and mandarins were Persian speakers of the highest learning and ability"
- ↑ "Persian Prose Literature." World Eras. 2002. HighBeam Research. (3 September 2012);"Princes, although they were often tutored in Arabic and religious subjects, frequently did not feel as comfortable with the Arabic language and preferred literature in Persian, which was either their mother tongue—as in the case of dynasties such as the Saffarids (861–1003), Samanids (873–1005), and Buyids (945–1055)—or was a preferred lingua franca for them—as with the later Turkish dynasties such as the Ghaznawids (977–1187) and Saljuks (1037–1194)". [1]
- ↑ C.E. Bosworth, The Ghaznavids:994–1040,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63), 134.
참고 자료[편집]
![]() |
이 글은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