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비귀상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리비귀상어(학명:Sphyrna couardi)는 흉상어목 귀상어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2.5m가 일반적이며 최대 4.3m까지도 자랄 수가 있는 중대형의 상어에 속한다.

특징과 먹이[편집]

가리비귀상어는 다른 귀상어과의 상어들과 마찬가지로 망치 모양의 머리를 가진 것이 특징으로서 홍살귀상어와 똑같이 영어권에선 스캘롭트 해머헤드샤크(Scalloped hammerhead Shark)'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물고기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남부머리귀상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홍살귀상어와 대체적으로 특징이 비슷하지만 차이점으론 홍살귀상어와는 달리 몸의 등쪽이 측선을 기준으로 푸른색갈색의 혼합으로서 이뤄진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가리비귀상어의 눈과 콧구멍은 확장된 머리의 끝에 존재하며 확장된 망치 모양의 머리가 크지만 큰귀상어에 비해서는 작다. 가리비귀상어는 먹이의 행동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적합한 매우 높은 신진대사율을 지배하여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삼차 영양 수준을 차지한다. 높은 신진대사율로 인하여 젊은 나이의 가리비귀상어는 먹이를 매우 많이 필요하게 되며 인지 능력, 사회 지능, 감각 운동 기능, 복잡한 서식지의 이주, 먹이의 운동 기능을 탐지하는 높은 수준으로 크고 발달된 뇌를 가지게 된다. 가리비귀상어의 사회적 지능은 가리비귀상어의 집계 행동에 특히 중요하며 종은 적당한 일원으로 재현하고 종을 쉽게 증식할 수가 있도록 도와준다. 가리비귀상어는 학교의 넓은 군영을 이루어 집단 생활을 하는 어종 중에 하나이며 , , 아침에 모두 거대한 무리를 지은 가리비귀상어의 모습을 관찰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공격을 하지 않는 상어로 위험한 상어에선 논외가 되며 오히려 사람을 보면 스스로 피하는 어종이다. 가리비귀상어는 바다에서 항해하는 호밍의 동작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을 할 때에는 대체적으로 밤에 이동하는 상어이다. 지형의 지도와 지리를 읽는 사람과 유사한 지도를 이용하여 그곳의 환경을 사용하며 가리비귀상어를 관찰하는 실험을 통해 가리비귀상어가 움직이는 나타내는 지침을 실험할 수가 있다. 가리비귀상어는 군집 수영의 요점과 2번째의 요점이 가진 유형을 모두 사용하며 수온이 자신의 현재 유영 속도와 방향 변화랑 신진대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너무 깊은 수심에 가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가리비귀상어는 높은 신진대사율과 수영을 통해 수행하여 일어나는 전류를 허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결과에 따라 가리비귀상어는 자신이 현재 수영하는 위치와 머무르려는 경향이 있는 깊이를 선택할 수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 지구자기장을 이용하기도 한다. 가리비귀상어는 먹이를 포착하는 매우 좋은 몇 가지의 장점이 더 있는데 머리의 모양으로 해저에 묻고 가오리를 고정할 수가 있다. 넓은 머리와 특수 감각 세포와 로렌치니 기관은 가리비귀상어가 먹이를 쉽게 감지할 수가 있도록 도와준다. 이빨은 위턱에 16~17개와 아래턱에 17~18개의 이빨이 존재하며 위턱과 아래턱은 매우 날카로운 이빨들이 촘촘히 발견된다. 먹이로는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고등어와 같은 물고기들과 오징어와 문어랑 같은 두족류갑각류를 주로 섭이하는 육식성물고기에 속한다.

서식지와 산란기와 보호 활동[편집]

가리비귀상어의 주요한 서식지로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모든 열대아열대바다로 수심 20~500m의 깊은 곳까지 서식을 하는 어종이다. 대륙붕으로 이뤄진 해저암초자갈, 모래, 진흙이 많은 곳들을 주요한 서식지로 삼는다. 어린 개체는 표해수대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어는 좀 더 깊은 곳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가끔 바다의 이라고 불리는 맹그로브의 나무가 가득한 지역에서도 서식을 하는 어종이기도 하다. 가리비귀상어의 산란기는 6월~8월여름으로 산란기에 수컷의 수정을 받은 암컷은 약 12개월이라는 1년의 임신 기간을 거쳐 이듬해의 여름에 6~20마리의 유어를 출산하게 된다. 수컷의 경우는 태어난 아후에 1m~1.4m까지 자랐을 때에 성적으로 성숙해지게 되며 암컷은 태어난 이후에 2.4m까지 자랐을 때에 성적으로 성숙해지게 된다. 가리비귀상어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DC)이 정한 멸종위기등급에서 위급의 등급이 되는 매우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서 국제적으로 개체수의 보호를 받는 어종이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