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8.41.90.89 (토론)님의 2014년 4월 8일 (화) 10:35 판
림화
林和
작가 정보
출생1908년 10월 13일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1953년 8월 6일(1953-08-06)(44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특별시
국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직업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영화평론가
영화배우
연극배우
정치가
학력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중퇴
활동기간1926년 ~ 1953년
장르문학평론, 시, 소설
배우자이귀례(이혼), 지하련

임화(林和, 문화어: 림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가이다. 서울 출신이며, 본명은 임인식(林仁植)이며, 아호(雅號)는 쌍수대인(雙樹臺人), 성아(星兒), 청로(靑爐)이다. 그 외에도 임화(林華), 김철우(金鐵友) 박성근 등의 필명을 사용했다.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의 멤버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정계에 진출하여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건국준비위원회 활동, 남조선로동당 창당 활동 등에 참여했다.

1947년 미군정의 탄압을 피해 월북, 남북 협상에 참여한 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에 참여하였으나 휴전 직후인 1953년 8월 6일에 남로당 중심 인물들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재판소 군사재판부에서 ‘미제간첩’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당했다.

생애

생애 초반

한성부의 소시민 가정에서 태어나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중퇴했다. 이상, 이강국과는 보성고보 동기생이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시 창작과 비평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 무렵 친구인 윤기정과 함께 영화배우로도 활동했다.

항일 작가, 문필 활동

임화, 1932년 무렵
김복진이 그린 임화 소묘

임화라는 필명은 1927년 경부터 계급문학에 관심을 보이며 쓰기 시작했다. 1929년에 시 〈우리 옵바와 화로〉, 〈네거리의 순이〉 등을 발표하여 대표적인 경향파 시인으로 자리를 잡고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했다.

약 1년 동안 일본 유학을 다녀와 1931년 귀국한 이후로도 참여적인 성향을 대표하는 카프에서 좌파 문학 이론을 생산하고 김기진, 김화산 등을 공격하는 각종 논쟁에 적극 참여하면서 활발히 활동했다. 카프 활동으로 제1차 카프 검거 사건 때 체포되어 수감되기도 했다.

제2차 카프 검거 사건 이후 1935년 자신이 서기장까지 지낸 카프가 강제적으로 해산된 이후 순수 문학으로 전향하는 듯하였으나,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가동맹 등 좌익 문학 단체에 적극 참여하면서 박헌영에게 매료된 그는 이후 남로당 노선을 걸었다.

일제 강점기 후반

일제는 그에게 회유를 하며 전향을 권고했지만 거부하였다. 그는 대화숙에 강제로 입소되었지만 창씨 개명은 끝까지 거부하였고, 총독부는 그를 요시찰 인물로 지정하여 감시하였다. 특히 박헌영과의 관계를 의심, 내통 여부를 중점적으로 감시하였다.

해방 이후

박헌영

박헌영의 열렬한 추종자였던 그는 8월 15일 여운형, 안재홍이 이끄는 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였으나, 1945년 8월 20일 박헌영경성에 나타나자 그와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 동참했다.

1947년 두 번째 부인이며 소설가인 지하련과 함께 월북하였고, 1948년 4월의 제1차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에 참석했다. 그해 8월 해주에서 개최된 제2차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9월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동참하였다. 1953년 박헌영, 이강국, 리승엽남로당 수뇌부와 함께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해 총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세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임화는 흰 피부에 수려한 외모로 '조선의 루돌프 발렌티노'로 불렸다고 하며, 김유영이 연출한 영화 《혼가》(1929)에 주연으로 출연한 적도 있을만큼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1] 초창기에는 '임다다'라는 필명을 쓰면서 다다이즘 성향을 보였고, 카프 시절에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이식문학론’을 내세우는 등 외국의 최신 문화 이론을 수입하여 자생적으로 소화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임화의 첫 부인은 일본 유학 시절에 함께한 동지 이북만의 동생 이귀례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딸이 있었는데, 임화는 그 딸을 생각하며 한국 전쟁 중 〈너 어느 곳에 있느냐〉(1951)라는 시를 썼다. 이 시를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영웅적 투쟁에 궐기한 우리 후방 인민들을 모욕하고 그들에게 패배주의적 감정과 투항주의사상을 설교하였다”고 하여 숙청의 빌미로 삼았다.[2] 월북 작곡가인 김순남이 작곡하여 한국 전쟁 시기에 인민군과 빨치산들이 즐겨 부른 노래 〈인민항쟁가〉의 작사가이기도 하다.

사후

한국 전쟁 발발후 만주에 피난차 머물고 있던 그의 부인 지하련1953년 박헌영 계열이 몰락하면서 임화가 간첩 혐의로 처형 당했으며 시신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실성한 상태가 되어 불행히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3]

가족 관계

평가와 비판

일본의 소설가 마쓰모토 세이초는 그의 북한에서의 활동을 소설화한 「북의 시인, 임화(원제: 北の詩人)」(1964년)이라는 작품을 쓰기도 했다. 이는 1987년 한국에도 번역본이 소개되었다.

같이 보기

임화를 연기한 배우

참고 문헌

  • 조영복. 〈임화 - 운명에 동화되어버린 낭만주의자〉. 《월북 예술가, 오래 잊혀진 그들》.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150-3. 
  •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303~306쪽쪽. ISBN 978-89-90626-26-4. 
  • 임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석

  1. 문태준. “[애송시 100편-제36편] 우리 오빠와 화로 - 임화”. 조선일보.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2. 김윤식. “문학과 정치의 우정은 어떻게 가능하고 또 지속되는가 - 백철과 임화의 경우”. 《문학의 문학》 (가을 창간호): 318~341쪽. 
  3. 《조선일보》 (2001.9.5) 월북작가 임화(林和)의 기구한 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