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2.166.237.133 (토론)님의 2013년 10월 27일 (일) 13:20 판 (→‎드라마)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초명은 기축(己丑), 자(字)는 희설(希說) 또는 희열(希說), 시호는 양의(襄毅)이다. 효령대군의 8대손으로 왕족 출신이었으나, 그는 서자였다. 무과에 급제한 후 사촌 형 이서(李曙)가 1622년(광해군 14) 장단부사(長湍府使)로 부임할 때 함께 내려가 반정을 모의하고 능양군의 집에 자주 출입하며 모의하였다.

1623년 장단에서 군사를 이끌고 선봉장이 되어 입성했고 반정이 성공하자 인조 반정에 참여한 공로로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책록되고 완계군(完溪君)에 봉군되었으며 금군장(禁軍將)이 되었다. 이후 수별장, 호위별장, 오위장(五衛將), 군문천총별장(軍門千摠別將) 등을 역임했다.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때 왕을 남한산성에 호종하고, 어영별장(御營別將)으로 활약하였다. 이듬해 완성군(完成君)에 봉군되고 다시 완계군(完溪君)으로 개봉되었다. 정축하성청나라에 가는 소현세자선양(瀋陽)까지 호종했다가 3년 뒤 병으로 귀국하였다. 1642년(인조 20) 장단부사가 되었으나 모친의 병으로 사임하였다. 한성부 판윤에 추증되었으며, 경종 때 양의(襄毅)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임진왜란 때의 장군 이경록의 조카이며, 인조 반정의 주동자인 이서의 사촌 동생이 된다. 정조 때의 작가 이옥의 고조부가 된다.

생애

출생과 가계

이기축은 1589년(선조 22)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내고 완원군(完原君)에 추봉된 이경유(李慶裕)와 그의 첩인 고씨 사이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기축년에 태어났다 하여 기축(己丑)이고 뒤에 인조가 이름을 지어주어 기축(起築)이 되었다. 자는 희열(希說)이다. 그는 왕족으로 조선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補)의 8대손이었다.

증조부 이광윤풍덕군수이고, 할아버지 이간은 오위장이며, 큰아버지 이경록임진왜란 때의 조선군 지휘관의 한 사람이었다. 아버지 이경유전라좌도수군절도사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완원군(完原君)에 추봉되었다. 그러나 그는 서자였는데 어머니 고씨는 옥구현감 고언명(高彦命)의 서녀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의 조카딸이었다.

이복 형 이정(李日+丁)이 있었고[1], 친동생으로는 이상(李㫾)이 있었다. 이복 누이는 첨정 이경항에게 출가했는데, 예송논쟁 당시 남인 논객이던 이서우(李瑞雨)가 그의 외조카가 된다.

소년기

아버지 이경유는 연일정씨(延日鄭氏) 정희석(延錫禧)의 딸과 결혼했으나 자녀가 없었고, 다시 죽산박씨(竹山朴氏) 병절교위(秉節校尉) 박문좌(朴文佐)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는 본래 서자로 태어났으나 이경유의 계비 죽산박씨에게 얻은 아들 아들 이정(李日+丁)이 일찍 죽었으므로 아버지 이경유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그를 성서탈적시켰다. 그러나 사촌 형 이서는 반정 직후의 논공행상 과정에서 그가 자신의 얼속이라 칭하기도 했다.

어릴 때부터 비범했다 하며, 궁마(弓馬)로 단련하였다. 소년기의 절친한 친구의 한 사람은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이었는데 후일 그를 임금으로 받들게 된다.

과거 급제

1620년(광해군 12)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 충좌위(忠佐衛) 부사과(副司果) 등을 지냈다. 당시 장단부사(長湍府使)로 있던 사촌형 이서(李曙)는 광해군인목대비 폐모론인목대비서궁 유폐에 분개해 반정(反正)을 모의하였고, 김류, 이귀 등과도 기맥이 통하였다.

이때 이기축은 이서와 서로 지기(志氣)가 통하여 능양군(綾陽君)에게 접근, 능양군의 별장과 장단군 사이를 거의 매일 오고 가면서 거사를 준비, 동태를 보고하고 연락을 맡았다.

인조 반정 이후

1623년(광해군 15년) 3월 장단군의 병력을 이끌고 선봉장으로 한성부에 들어왔다. 이어 김류, 이귀, 이괄 등이 이끄는 군사가 도성을 점령하고 반정이 성공하였다. 반정 성사 직후 인조는 그가 선봉으로 한성에 들어온 것을 기념하여 친히 그를 소환하여 어포(御袍)를 벗어 입혀주기도 했다. 반정 직후 인조는 말하길, “내가 기축과 더불어 아이 적에 서로 놀아 아명을 익히 불렀으니 이제 이 녹훈(錄勳)에는 아명으로 기록케 하라.”하고 수일 후에 친히 이름을 '기축'(起築)이라고 이름을 써서 내려주었다. 소자(小字)가 기축(己丑)이어서 글자의 음이 서로 같으므로 고쳐 쓴 것이다.

인조 즉위 후, 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그해 10월 분충찬모정사공신 3등(奮忠贊謨靖社功臣三等)에 책록되고, 완계군(完溪君)에 봉해졌다.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승진하여 금군장(禁軍將)이 되었고, 이어 수별장(首別將)이 되었다. 그해에 다시 통정(通政)으로 가자되었다. 1627년(인조 5년) 정묘호란 당시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까지 수행하였다. 1629년 위원군수(渭源郡守)로 부임하였다.

1629년 위원군수로 재직 중 읍민이 허가를 받지 않고 국경을 넘어 인삼을 채삼(採蔘)한 사건으로 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가 곧 복관되었다. 이후 호위별장(扈衛別將)이 되고, 다시 금군장이 되었다가 오위장(五衛將), 군문천총별장(軍門千摠別將) 등을 지냈다. 그 뒤 1635년 삭주부사가 되었다가 근무 중 술을 마시고 술취한 것이 죄가 되어 결국 양사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병자호란 전후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금군장으로서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다. 남한산성 파천 후, 어영별장(御營別將)이 되어 성곽 남문을 지켰으며, 민심이 혼란에 빠지자 그해 12월 21일에 선봉장으로 자원 출정하여 적군을 생포하고, 10여 급의 적군의 목을 베어 가지고 돌아와 성안의 민심을 일부 안정시켰다. 그 공으로 1637년 다시 한성으로 돌아온 후 특별히 가선(嘉善)으로 품계가 오르고 완성군(完成君)에 봉군되었다. 그 뒤 완성군에서 다시 완계군(完溪君)으로 개봉되었다.

1637년(인조 15) 1월 19일청나라군이 동성으로 쳐들어오자 성이 거의 함락지경에 이르렀다. 이 때 이기축은 어가를 모시고 장경사(長慶寺)까지 인조와 왕실을 호위했으며 장경사까지 따라온 청나라군사를 사력을 다하여 정신독전(挺身督戰) 끝에 청나라 추격대을 물리치고, 나머지는 따돌려 인조 일가를 보호하였다. 곧 인조가 항복, 정축하성 이후 청나라와의 조청화약(朝淸和約)이 체결되고 소현세자가 청나라에 가게 되자, 소현세자를 호종하여 심양(瀋陽)에 따라갔다. 그러나 3년 뒤 신병으로 돌아왔다.

귀국 얼마 후 어머니는 연로했으나 변방이 날로 위태로워 자원해 삼척첨사(三陟僉使)로 나갔다.

생애 후반

재물 욕심이 없었는데 사람들이 그가 가산(家産)을 돌보아 자손을 위하는 계책을 하라고 권하자 그는 사양하였다.“나는 미천한 사람으로 만 번 죽을 뻔하다가 살아나서 나라의 후한 은혜를 입어 2품(品)에 이른 것도 분에 넘치는데, 여기에다가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만약 내 자손들이 어질다면 비록 산업이 없더라도 스스로 살아갈 것이요 어질지 못하다면 장차 세업(世業)을 지키지 못할 것이니,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자손을 위해 1묘(畝)의 땅도 경영하지 않았고, 부패혐의에 연루되지 않았다. 또한 공신에 녹훈된 뒤 받은 사패(賜牌) 전민(田民) 역시 모두 버리고 받지 않아 녹봉 이외에는 살림이 쓸쓸하였는데, 날마다 친지 일가들과 술을 마시며 스스로 한가롭게 지냈다.

1642년(인조 20)에는 장단부사에 제수되었으나 어머니의 병 때문에 사양하였다. 인품이 기개가 있고 의협심이 강하며 비범한 점이 있었다 한다.

1644년(인조 22년) 모친상을 당하였고, 1645년 6월 6일양주군 송산병사(松山丙舍)에서 병으로 죽었다. 사후 입관 전에 인조가 특별티 (贈) 자헌대부 한성부판윤오위도총부도총관(資憲大夫漢城府判尹兼五衛都摠府都摠管)을 추증하였으며, 불천지위를 내렸다. 1723년(경종 3년) 조태억(趙泰億)의 상소로 양의(襄毅)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사후

경기도 양주군 시둔면 송산리(현, 경기도 의정부시 고산동 송산) 선영하에 안장되었다. 사당인 부조묘경기도 광주군 중부면(현, 하남시) 상사창에 세워졌다.

가족 관계

정조 때의 문인 이옥(李鈺)은 그의 4대손이었다. 아들 이만수와 이만림은 모두 무과에 급제하였고, 그의 서자 이만영과 이만정은 아들 이만림 보다도 연상이었다.

  • 고조부 : 파성군 이철동(把城君 李哲仝)
  • 증조부 : 이광윤(李光胤, 1490년 ~ 1535년)
  • 할아버지 : 이간(李幹, 1527년(?) ∼ 1598년)
  • 할머니 : 경주김씨
  • 할머니 : 인동장씨, 영의정 장순손의 증손 사헌부감찰 장경량(張景良)의 딸, 아버지 이경유의 생모
  • 아버지 : 이경유(李慶裕, 1562년 - 1620년)
  • 어머니 : 연일정씨(延日鄭氏) 정희석(延錫禧)의 딸, 자녀 없음, 아버지 이경유의 첫째 정실
  • 어머니 : 죽산박씨(竹山朴氏) 병절교위(秉節校尉) 박문좌(朴文佐)의 딸, 아버지 이경유의 둘째 정실
    • 이복 형 : 이정(李日+丁, 요절)
    • 이복 누나 : 이씨
    • 이복 매부 : 이경항(李慶恒)
  • 어머니 : 장흥고씨(長興高氏), 옥구현감 고언명(高彦命)의 서녀(? - 1644년)
    • 동생 : 이상(李㫾, 1604년 - ?)
  • 부인 : 우씨(1605년 - 1698년), 절충장군 우종남(禹終男)의 딸
    • 아들 : 이만실(李萬實), 가선대부 완림군(完林君)
    • 아들 : 이만식(李萬植)
    • 아들 : 이만수(李萬樹), 무과에 급제
    • 아들 : 이만림(李萬林, 1633년1712년), 무과에 급제
    • 딸 : 전주이씨
    • 사위 : 장상주(張相周), 참봉 역임
  • 첩 : 이름 미상
    • 서자 : 이만영(李萬英)
    • 서자 : 이만정(李萬挺)
  • 외증조부 : 고맹영
  • 외할아버지 : 고언명(高彦命)

관련 작품

드라마

기타

인품이 기개가 있고 의협심이 강하며 비범한 점이 있었다 한다. 그는 1623년 인조 반정 직후까지 아명인 기축(己丑)을 이름으로 사용하다가 인조가 특별히 이름을 지어주어 기축(起築)이라 하였다.

1697년(숙종 23년)까지 살아있던 그의 부인은 90세가 넘은 고령이었으므로 그해 3월 예조판서(禮曹判書) 신완(申琓)의 건의로 특별히 남편의 계급을 뛰어넘어 정경부인으로 봉작되었다. 이를 두고 부인에게 노인직으로 첩지를 내리면 남편에게도 1품 벼슬을 추증해야 된다는 반론이 나왔으나, 숙종의 특별지시로 그와 상관 없이 특별히 정경부인이 되었다.

주석

참고 문헌

  • 국조인물고
  • 국조방목
  • 초목필지

외부 링크